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의료 사고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의료 사고의 개요

의료 사고의 정의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의료사고"란 보건의료인(「의료법」 제27조제1항 단서 또는 「약사법」 제23조제1항 단서에 따라 그 행위가 허용되는 자를 포함한다)이 환자에 대하여 실시하는 진단·검사·치료·의약품의 처방 및 조제 등의 행위(이하 "의료행위등"이라 한다)로 인하여 사람의 생명·신체 및 재산에 대하여 피해가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정책의 필요성

1. 환자 안전 보장

   - 의료사고는 환자의 생명과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정책을 통해 의료사고를 예방하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함으로써 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2. 법적 및 윤리적 책임 강화

   - 의료사고는 법적 분쟁과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명확한 정책과 절차를 통해 의료기관과 의료진의 법적 및 윤리적 책임을 명확히 하고, 불필요한 분쟁을 줄일 수 있습니다.

3. 신뢰 회복 및 유지

   - 의료사고는 의료기관에 대한 신뢰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정책을 통해 투명하게 사고를 관리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환자와 대중의 신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4. 국제 기준 준수

   - 의료사고 관리에 대한 국제적인 기준과 가이드라인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기준을 준수함으로써 국제적인 신뢰를 얻고, 해외 의료기관과의 협력 및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5. 의료 종사자 보호

   - 명확한 정책과 절차는 의료 종사자들이 안전하고 안정적인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는 의료진의 직업 만족도를 높이고,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6. 지속적인 개선과 학습

   - 정책을 통해 의료사고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지속적인 개선과 학습이 가능합니다. 이는 의료 시스템의 발전과 혁신을 촉진합니다.

의료 사고의 유형

1. 진단 오류

   - 오진 (Misdiagnosis): 잘못된 진단으로 인해 부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는 경우.

   - 진단 지연 (Delayed Diagnosis): 필요한 시기에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아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

   - 진단 실패 (Failure to Diagnose): 질병이나 상태를 전혀 진단하지 못하는 경우.

   - 부정확한 진단 검사 (Inaccurate Diagnostic Test): 검사 결과의 오류로 잘못된 진단을 내리는 경우.

2. 치료 오류

   - 부적절한 치료 (Inappropriate Treatment): 잘못된 치료 방법을 선택하거나 불필요한 치료를 하는 경우.

   - 치료 지연 (Delayed Treatment): 적시에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아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는 경우.

   - 치료 실패 (Failure to Treat): 필요한 치료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3. 수술 오류

   - 잘못된 부위 수술 (Wrong Site Surgery): 수술해야 할 부위가 아닌 다른 부위를 수술하는 경우.

   - 수술 중 실수 (Surgical Mistake): 수술 도구를 신체에 남겨두거나 수술 중 부주의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 수술 후 합병증 관리 실패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anagement Failure): 수술 후 감염이나 합병증을 적절히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

4. 약물 오류

   - 잘못된 약물 처방 (Medication Prescribing Errors): 환자에게 잘못된 약물을 처방하는 경우.

   - 투약 오류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s): 잘못된 용량, 경로, 시간에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

   - 약물 상호작용 (Drug Interactions): 상호작용이 있는 약물을 함께 처방하여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

   - 알레르기 반응 (Allergic Reactions): 환자의 알레르기 정보를 무시하고 약물을 처방하는 경우.

5. 의료 장비 및 기술 오류

   - 장비 오작동 (Equipment Malfunction): 의료 장비의 고장이나 오류로 인한 사고.

   - 기술 오류 (Technical Errors): 의료 기술 사용 중 발생하는 오류, 예를 들어 방사선 노출 과다, 장비의 잘못된 사용 등.

6. 환자 관리 및 환경 오류

   - 낙상 (Falls): 병원 내에서 환자가 넘어져 다치는 경우.

   - 병원 내 감염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병원에서 감염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감염.

   - 잘못된 환자 확인 (Patient Misidentification): 환자를 잘못 확인하여 다른 환자의 치료를 받게 하는 경우.

7. 의사소통 오류

   -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 오류 (Communication Errors Among Healthcare Providers): 의료진 간의 정보 전달 실패로 인한 사고.

   - 의료진과 환자 간의 의사소통 오류 (Communication Errors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and Patients): 의료진과 환자 간의 오해나 잘못된 정보 전달로 인한 사고.

8. 기록 오류

   - 의료 기록 오류 (Medical Record Errors): 의료 기록의 잘못된 작성이나 관리로 인한 사고.

9. 윤리적 문제

   - 환자의 동의 없이 진행된 의료 행위 (Lack of Informed Consent): 환자의 동의를 받지 않고 의료 행위를 진행하는 경우.

   - 환자의 사생활 침해 (Violation of Patient Privacy): 환자의 개인정보나 치료 정보가 무단으로 유출되는 경우.

의료 사고 관련 법률 및 규정

의료 사고 관련 법률

1. 의료법

   - 목적: 의료인의 자질 향상과 의료기관의 적정한 운영을 통해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

   - 주요 내용:

     - 의료인의 면허 및 자격 관리

     - 의료기관의 개설 및 운영 기준

     - 의료인의 진료 및 기록 의무

     - 의료 사고 발생 시 보고 및 처리 절차

2. 의료분쟁조정법

   - 목적: 의료 분쟁을 신속하고 공정하게 조정 및 중재하여 분쟁 해결을 도모.

   - 주요 내용:

     - 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설립 및 운영

     - 조정 및 중재 절차

     - 의료 사고 피해 구제 및 보상

3. 환자안전법

   - 목적: 환자 안전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통해 환자의 안전을 보장.

   - 주요 내용:

     -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운영

     - 의료기관의 환자 안전 관리 의무

     - 환자 안전 사고 보고 및 분석

4. 약사법

   - 목적: 의약품의 안전하고 적절한 사용을 통해 국민의 건강을 보호.

   - 주요 내용:

     - 약물의 제조, 유통, 사용 규제

     - 의약품의 처방 및 조제 기준

     - 약물 부작용 보고 및 관리

5. 감염병예방법

   - 목적: 감염병의 발생과 유행을 방지하고 신속히 대응하여 국민의 건강을 보호.

   - 주요 내용:

     - 감염병 예방 및 관리 체계

     - 의료기관의 감염 관리 의무

     - 감염병 발생 시 보고 및 대응 절차

국제 기준 및 가이드라인

1. 세계보건기구 (WHO)

   - 환자 안전 보고 및 학습 시스템: 환자 안전 사고 보고 및 분석을 통해 사고 예방 및 대응.

   - 환자 안전 가이드라인: 환자 안전을 위한 국제적인 기준과 모범 사례 제공.

2.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 (JCI)

   - 환자 안전 목표: 환자 확인, 의사소통 개선, 고위험 약물 안전 사용, 정확한 수술 부위 확인 등.

   - 의료기관 인증 기준: 의료 서비스의 질과 환자 안전을 평가하고 인증.

3. 미국 의료기기보고법 (Medical Device Reporting, MDR)

   - 목적: 의료 기기의 문제를 보고하고 분석하여 안전한 사용을 보장.

   - 주요 내용:

     - 의료 기기 문제 보고 의무

     - 문제 발생 시 대응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