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농촌치유농업

Public Policy Wiki
Jo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6월 21일 (금) 20:45 판 (새 문서: == 개념 == 농촌치유농업의 개념은 국민 건강 회복과 유지·증진을 위해 농업·농촌자원을 활용하거나 이와 관련한 활동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을 말한다. == 관련법률 ==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 2020년 3월에 제정되었는데, 이 법은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사항을 정하여 농업·농촌자원을 활용한 치유농업을 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

농촌치유농업의 개념은 국민 건강 회복과 유지·증진을 위해 농업·농촌자원을 활용하거나 이와 관련한 활동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을 말한다.

관련법률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 2020년 3월에 제정되었는데, 이 법은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사항을 정하여 농업·농촌자원을 활용한 치유농업을 활성화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 및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요 내용

농촌진흥청은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법’ 제정에 따라 국민 건강 증진과 농업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4대 중점 추진 방향을 정했는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먼저 과학적 효과 검증으로 맞춤형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치유농장 활성화 및 산업화 기술 개발을 도모하며, 치유농업 서비스 제공 모델을 발굴하는 것. 또한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정보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식물․동물․곤충 등의 농업 소재와 농촌자원이 중증질환과 만성 질환, 스트레스에 미치는 임상·비임상적 효과를 추가 검증하여 치유농업 서비스의 신뢰성을 높이고, 아동․청소년․노인 등 생애주기에 따른 문제점 해결을 위해 치유자원을 발굴하며, 대상자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또한 ‘농업·복지 융합형 사업’을 추진하고 성공사례를 발굴함으로써 고객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치유농업 서비스 모델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치유농업의 치유 메커니즘

치유농업의 구성은 동·식물-환경, 동·식물-활동, 인간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며, 치유효과 영역은 신체, 심리정서, 인지, 사회영역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