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농촌치유농업

Public Policy Wiki
Jo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6월 21일 (금) 20:50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

농촌치유농업의 개념은 국민 건강 회복과 유지·증진을 위해 농업·농촌자원을 활용하거나 이와 관련한 활동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을 말한다.

치유농업은 본질적으로 ‘치유를 위한 농업의 활용’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정의하자면 식물, 동물 등 농업의 소재나 그 산물을 활용하거나 농촌의 환경, 문화 등의 자원으로 사람의 심리적, 사회적, 신체적 건강을 도모하는 산업이나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유럽이나 일본 등 국외에서는 치유농업을 ‘치유농업(care farming), 사회적 농업(social farming), 녹색 치유농업(green care farming), 건강을 위한 농업(farming for health)’ 등 다양한 용어를 사용하지만, 본질적으로 ‘치유를 제공하기 위한 농업의 활용(using farming to provide care)’을 의미한다.

특히 치유농업은 일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받고 있거나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들 뿐만 아니라 의학적·사회적으로 치료가 필요한 사람들(정신 질환자, 우울증 환자, 학습 장애인, 약물 중독자, 사회적인 불만이 있는 사람들)을 치유하는 농업 활동이다. 또한 치유농업은 농장주, 건강 서비스 기관, 사회 서비스 기관, 프로그램 참여자 간의 파트너십이 중요하며, 다양한 사람들에게 농업을 통해 건강, 사회적 이익, 교육적 이익을 줄 수 있는 활동을 의미한다. 치유농업은 다기능적 농업(multifunctional agriculture)과 지역사회 기반 건강 치유(community-based health care)의 2가지 개념에 기반하고 있다. 치유농업은 농촌지역의 사회적 서비스를 촉진하기 위해 식물과 동물 등 농업 자원을 활용하는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 농촌지역의 사회적 서비스에는 사회적 복귀 (rehabilitation), 치료(therapy), 보호작업(sheltered work), 평생교육(life-long education) 등이 포함된다.

관련법률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이 2020년 3월에 제정되었는데, 이 법은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사항을 정하여 농업·농촌자원을 활용한 치유농업을 활성화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 및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요 내용

농촌진흥청은 ‘치유농업 연구개발 및 육성법’ 제정에 따라 국민 건강 증진과 농업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4대 중점 추진 방향을 정했는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먼저 과학적 효과 검증으로 맞춤형 치유농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치유농장 활성화 및 산업화 기술 개발을 도모하며, 치유농업 서비스 제공 모델을 발굴하는 것. 또한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정보망을 구축하는 것이다.

식물․동물․곤충 등의 농업 소재와 농촌자원이 중증질환과 만성 질환, 스트레스에 미치는 임상·비임상적 효과를 추가 검증하여 치유농업 서비스의 신뢰성을 높이고, 아동․청소년․노인 등 생애주기에 따른 문제점 해결을 위해 치유자원을 발굴하며, 대상자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또한 ‘농업·복지 융합형 사업’을 추진하고 성공사례를 발굴함으로써 고객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치유농업 서비스 모델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치유농업의 치유 메커니즘

치유농업의 구성은 동·식물-환경, 동·식물-활동, 인간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며, 치유효과 영역은 신체, 심리정서, 인지, 사회영역으로 구성된다.

국내 치유농업 추진사례와 효과

사 례 치유농업자원ㆍ활동 효과ㆍ효능
대사성만성질환자

건강 증진

(순창농장, 2019)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자 대상 농장 활동(산책, 농작업, 건강식 만들기 등)

* 주 1회 4시간씩 활동(7주)

인슐린 분비능 증가(47%)

스트레스 호르몬 감소(28%)

비만지표 감소(허리둘레2cm↓)

보건(의료)기관 연계

(홍성행복농장, 2016~)

치유농업 체험캠프(5일)→직업재활 프로그램(정신질환자, 1개월)→인턴십(6개월)→고용 지역경제 활성화(풀무농고, 로컬푸드 등)

창조지역사업유치(10억 원, 2017)

*연간 5천만 원매출

도시 인근

치유농업 경영체

(경북 뜨락, 2011~)

취약계층, 장애인, 환자 대상

원예치유 체험 프로그램(2011~)→치유농장 개소(보건소 연계)

치매환자(보호자), 지역아동센터, 지적장애인단체, 노인복지관, 전문용양병원 연계
농촌치유자원 상품화

- 소방관 심신치유

(홍천열목어마을, 2018)

소방관 대상 농촌치유자원 체험(1박2일- 치유트레킹, 명상, 약선 치유음식 등) 자율신경활성도(93→102)

심장안정도(98→116)

스트레스지수(100→89)

*도입 후 3억 원 추가 소득

청소년폭력성완화

(김천소년교도소, 2014)

교도소 내 상자텃밭(농원) 가꾸기 프로그램

*주1회 2시간씩 활동(24주)

불안감 감소(45%, 설문지)

스트레스 감소(52%, 코티졸함량)

우울감 감소(56%)

노인 건강 증진 효과

(서울시농업기술센터 실버 주말농장, 2014)

텃밭 가꾸기 및 공동체 밥상 차리기

*주1회 2시간씩 활동(27주)

우울감 감소(60%)

총콜레스테롤 감소(5%)

체지방률 감소(2%,)

학교폭력문제완화

(중학교, 2015)

교내 텃밭 조성 활동(Wee스쿨)

* 주1회 2시간씩 활동(20주)

가해학생 폭력성 감소(4.3%)

피해학생 우울감 감소(5.4%)

스트레스대처향상(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