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서울시스마트사업: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2번째 줄: 2번째 줄:


== 서울시스마트사업 개념 ==
== 서울시스마트사업 개념 ==
=== 서울시 스마트사업: ===
서울시 스마트사업은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급변하는 미래 환경에 선제적 대응을 통해 시민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목표를 가진 일련의 사업이다.


== 서울시스마트사업 연혁 및 담당부서 ==
== 서울시스마트사업 연혁 및 담당부서 ==


=== 스마트도시 추진 연혁 ===
=== 스마트도시 추진 연혁 ===
  서울시는 ICT인프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시민소통 채널을 통한 시민참여 그리고 민관협치에 의해 도시를 미래지향적으로 변화·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서울시는 ICT인프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시민소통 채널을 통한 시민참여 그리고 민관협치에 의해 도시를 미래지향적으로 변화·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 1단계 전산화(1900~1999): 시정정보 공개, 행정문서 데이터화
* 1단계 전산화(1900~1999): 시정정보 공개, 행정문서 데이터화
* 2단계 온라인화(2000~2005): 대민 서비스 온라인 시스템 구축, 서울 데이터센터 개관 등 다양한 정보자원 통합, e-Seoul Net 구축 등
* 2단계 온라인화(2000~2005): 대민 서비스 온라인 시스템 구축, 서울 데이터센터 개관 등 다양한 정보자원 통합, e-Seoul Net 구축 등
15번째 줄: 18번째 줄:


=== 서울시스마트사업 담당부서 ===
=== 서울시스마트사업 담당부서 ===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에서 서울시스마트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스마트 서울 플랫폼 6S ==
== 스마트 서울 플랫폼 6S ==
== 유사 해외 사례 ==
{| class="wikitable"
|미국 뉴욕:
데이터 활용 도시플랫폼 구현, 다양한 데이터 기반 서비스 제공
|NY311(비응급 민원처리 시스템)등 100여개 기관으로부터 데이터 수집 후 가공한 데이터를 NYC Open Data를 통해 시민에게  개방, 데이터 수집과 공유 촉진
EX)  Taxi&Limousine Commission(TLC) 교통 빅데이터 활용 뉴욕 시민 이동패턴 및 교통 네트워크 분석
|-
|영국 런던:
데이터 활용 도시플랫폼 구현, 다양한 데이터 기반 서비스 제공
|개방형 데이터 공유포털인 런던 데이터스토어를 통해 교통, 주거, 환경 등 공공데이터를 민간에 개방, 공공데이터 투명성·신뢰성 확보
EX)  MunchDB(레스토랑 위생상태 제공), Citymapper(새로운 복합 교통서비스
|-
|중국 항저우: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행정서비스 제공 및 시민 삶의 질 향상
|인공지능시스템 시티브레인(City Brain)을 통한 교통상황 파악, 신호등 통제 및 세계 최초 안면(얼굴)인식 결제 시스템 도입·활용
‣ 5개 분야(차량경로, 센서, 카메라. 지도, 통신사)에서 13개 데이터 수집하여 인공지능 활용
|-
|스페인 바르셀로나: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행정서비스 제공 및 시민 삶의 질 향상
|무선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주차정보 제공, 원격제어 가능한 스마트가로등 설치 등
|}


== 참조문헌 ==
== 참조문헌 ==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 및 정보화 기본계획(홈페이지 계시용).pdf
최두호. (2023). 포스트 코로나 시대 스마트시티 공공공간 장소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주요 도시 혁신공간 창출형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주거환경'', ''21''(3), 233-245.
최두호. (2023). 포스트 코로나 시대 스마트시티 공공공간 장소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주요 도시 혁신공간 창출형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주거환경'', ''21''(3), 233-245.

2023년 12월 24일 (일) 11:49 판

서울시스마트사업

서울시스마트사업 개념

서울시 스마트사업:

서울시 스마트사업은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급변하는 미래 환경에 선제적 대응을 통해 시민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경쟁력을 강화하려는 목표를 가진 일련의 사업이다.

서울시스마트사업 연혁 및 담당부서

스마트도시 추진 연혁

서울시는 ICT인프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시민소통 채널을 통한 시민참여 그리고 민관협치에 의해 도시를 미래지향적으로 변화·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 1단계 전산화(1900~1999): 시정정보 공개, 행정문서 데이터화
  • 2단계 온라인화(2000~2005): 대민 서비스 온라인 시스템 구축, 서울 데이터센터 개관 등 다양한 정보자원 통합, e-Seoul Net 구축 등
  • 3단계 양방향 시민참여(2006~2010): 유비쿼터스 도시 구현, 온라인을 통한 시민참여 확대, 모바일포털 구축 등
  • 4단계 스마트화(2011~2015): 시민과 소통하는 스마트행정, 미래형 도시 생활 인프라, 창의적인 스마트경제, 글로벌 문화도시
  • 5단계 글로벌 디지털 수도(2016~2020): 시민주도형 디지털 사업, 디지털 경제 육성, 사물인터넷 도시, 해외교류협력 강화
  • 6단계 미래 스마트표준 도시(2021~2025): 미래 스마트도시 혁신 기반 조성, 사람 중심 스마트도시 구현, 시민체감 도시서비스 제공

서울시스마트사업 담당부서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에서 서울시스마트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 서울 플랫폼 6S

유사 해외 사례

미국 뉴욕:

데이터 활용 도시플랫폼 구현, 다양한 데이터 기반 서비스 제공

NY311(비응급 민원처리 시스템)등 100여개 기관으로부터 데이터 수집 후 가공한 데이터를 NYC Open Data를 통해 시민에게 개방, 데이터 수집과 공유 촉진

EX) Taxi&Limousine Commission(TLC) 교통 빅데이터 활용 뉴욕 시민 이동패턴 및 교통 네트워크 분석

영국 런던:

데이터 활용 도시플랫폼 구현, 다양한 데이터 기반 서비스 제공

개방형 데이터 공유포털인 런던 데이터스토어를 통해 교통, 주거, 환경 등 공공데이터를 민간에 개방, 공공데이터 투명성·신뢰성 확보

EX) MunchDB(레스토랑 위생상태 제공), Citymapper(새로운 복합 교통서비스

중국 항저우: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행정서비스 제공 및 시민 삶의 질 향상

인공지능시스템 시티브레인(City Brain)을 통한 교통상황 파악, 신호등 통제 및 세계 최초 안면(얼굴)인식 결제 시스템 도입·활용

‣ 5개 분야(차량경로, 센서, 카메라. 지도, 통신사)에서 13개 데이터 수집하여 인공지능 활용

스페인 바르셀로나: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행정서비스 제공 및 시민 삶의 질 향상

무선센서를 이용한 실시간 주차정보 제공, 원격제어 가능한 스마트가로등 설치 등

참조문헌

서울특별시 스마트도시 및 정보화 기본계획(홈페이지 계시용).pdf

최두호. (2023). 포스트 코로나 시대 스마트시티 공공공간 장소정체성에 관한 연구 - 주요 도시 혁신공간 창출형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주거환경, 21(3), 233-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