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Compact City: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편집 요약 없음
24번째 줄: 24번째 줄:
== 외부링크 ==
== 외부링크 ==


* 정부 웹사이트: [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 Compact City]
* 정부 웹사이트: [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278&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rl=terms&appfileName=???????????_??????????????2017(??).pdf&virfileName=terms2017.pdf&categoryCd=main&searchKeyword= Compact City]


== 각주 ==
== 각주 ==

2023년 9월 19일 (화) 17:48 판

콤팩트 시티의 개념과 특징

콤팩트 시티는 도시의 확산을 억제하고 주거, 직장, 상업 등 일상적인 도시기능들을 기성 시가지 내부로 유입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주거 밀도와 토지의 혼합이용을 유도하는 도시계획 개념이다.[1] 기존의 도시개발 모델이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확산형 도시계획 모델인 반면, 콤팩트 시티는 시가지 경계 안쪽으로 밀집된 개발을 통하여 효율적인 공공교통 제도를 도입한 도시계획 모델이다. 효율적인 배치를 통해 걷기, 자전거 타기를 권장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여 좋은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콤팩트 시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기능의 집중: 콤팩트 시티는 도시 기능을 분산하는 대신에 집중시킨다. 이는 도시의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오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 기능의 혼합: 콤팩트 시티는 주거, 직장, 상업, 문화 등 다양한 기능을 혼합하여 개발한다. 이는 도시의 활력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 고밀도의 개발: 콤팩트 시티는 고밀도의 개발을 통해 도시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환경오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콤팩트 시티의 장점

콤팩트 시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 교통의 효율성 향상: 콤팩트 시티는 대중교통의 접근성을 높이고 걷기, 자전거 타기 등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의 이용을 촉진한다.
  • 환경오염 감소: 콤팩트 시티는 교통량 감소를 통해 대기오염, 소음, 미세먼지 등 환경오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 도시공간의 효율성 향상: 콤팩트 시티는 도시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도시의 자산 가치를 높여준다.
  • 사회적 통합의 증진: 콤팩트 시티는 다양한 계층과 인종이 어우러져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사회적 통합을 증진시킨다.

콤팩트 시티의 한계

콤팩트 시티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 개발비용 증가: 콤팩트 시티는 고밀도의 개발을 통해 도시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지만, 개발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 기존 도시의 재개발 어려움: 콤팩트 시티는 기존 도시의 재개발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 주민들의 반발과 재개발 비용의 문제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