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인구소멸대응기금: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1. 인구소멸대응기금이란?
1. 지방소멸대응기금이란?
인구소멸대응기금은 지역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2022년부터 도입한 재원이다. 행정안전부는 지역별 투자계획 평가를 거쳐 연간 1조원 규모로 2031년까지 10년간 배분할 계획을 발표했다.


2. 현황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지역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지원하기위한 재정적 지원으로 2022년부터 도입하였다.
올해 평가 결과에 따라 상위 20%에 해당하는 인구감소지역 18개와 관심지역 4개 등 총 22개 지역은 해당 지자체의 여건을 반영해 특색있는 기금사업을 진행할 계획을 밝혔다.
 
 
2. 규모 및 기간
 
연간 1조원(광역 25%, 기초 75%) 규모로 10년(‘22년~’31년)간 지원 계획이다.
 
 
3.  지원대상
 
총 122개 지자체(광역 15개*, 기초 107개**)
 
- (광역) 서울, 세종 제외함
 
- (기초) 인구감소지역 89개, 관심지역 18개
 
 
4. 배분방법
 
- (광역) 인구감소지수, 재정·인구 여건 등을 고려하여 배분함.
 
- (기초) 지역별 투자계획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차등 배분함.

2023년 12월 18일 (월) 00:13 판

1. 지방소멸대응기금이란?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지역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지원하기위한 재정적 지원으로 2022년부터 도입하였다.


2. 규모 및 기간

연간 1조원(광역 25%, 기초 75%) 규모로 10년(‘22년~’31년)간 지원 계획이다.


3. 지원대상

총 122개 지자체(광역 15개*, 기초 107개**)

- (광역) 서울, 세종 제외함

- (기초) 인구감소지역 89개, 관심지역 18개


4. 배분방법

- (광역) 인구감소지수, 재정·인구 여건 등을 고려하여 배분함.

- (기초) 지역별 투자계획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차등 배분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