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치안과학원: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 치안과학원의 개념 == * 치안과학원은 現 경찰대학의 부설기관인 치안정책연구소를 경찰청 1차 소속기관인 ‘치안과학원’으로 격상하고 확대 개편하여 설립하려는 기관이다. 아직 실제로 개편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치안과학원은 이론상으로만 존재한다. 경찰의 치안과학원과 유사한 종합연구기관으로 소방의 국립 소방연구원이 존재한다. ** cf) 치안정책연...)
 
7번째 줄: 7번째 줄:
== 추진 배경 및 목적 ==
== 추진 배경 및 목적 ==


**
=== 추진 배경 ===
 
==== 기술의 발전에 따른 필요성 증대 ====
 
* 첨단기술의 발달은 미래치안의 발전 동인인 동시에 신종범죄를 유발하는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다크웹・딥페이크 성착취물・불법콘텐츠, 해킹 등 정보통신망 침해, 가상자산 범죄, 랜섬웨어, 사이버테러, 산업기밀 탈취, 비인간에 의한 범죄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선제적 연구를 진행하여 새로운 위협 대응에 필요한 기술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 경찰의 인적・물적 자원의 한계 극복과 치안분야 과학기술의 현장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표준・인증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커지고 치안산업 육성 등 기반 조성도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였다.
* 따라서, 경찰대학 부설기관으로 운영하고 있는 「치안정책연구소」를 ‘실증적 전문 연구기관’으로 확대 개편하여 과학치안 총괄정책기능인 (가칭)「과학치안정책국」과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과학치안 정책・연구・현장적용 및 환류를 통한 ‘치안 R&D 사업’의 선순환 발전을 견인하는 구심점으로의 역할・기능 재정립이 필요하다.
 
==== 치안정책연구소의 미흡한 운영 ====
{| class="wikitable"
|+
! colspan="2" |치안정책연구소 (경찰대학 부설)
!-연구소 내 「과학기술연구부」에서 R&D사업 평가 ・ 관리 업무와 함께, 위해기체 ・ 영상분석 ・ 3D프린팅 등 일부 직접연구 수행
-2022년 기준, △과학기술연구부 인력 35명 중 연구인력은 21명이며 △연간 직접연구 예산도 약 8억원에 불과
|-
! rowspan="2" |국내외 유사기관
!국내
!-<재난안전연구원> 연구인력 48명 / 연간 연구예산 98억원 -<수산과학원> 연구인력 536명 / 연간 연구예산 348억원 -<산림과학원> 연구인력 241명 / 연간 연구예산 190억원
|-
!해외
!-<미국 NIJ(사법연구원)> 연간 연구예산 590억$(국가 R&D의 0.4%) -일본 과학경찰연구소 : 연구인력 116명 -중국 공안연구소 : 연구인력 약 3,000명 -영국 HOSDB(과학기술국) : 사이버보안펀드 1.64억£
|}
 
* 위는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개발 체제 및 국내외 유사 연구기관과의 비교를 나타낸 표이다. 표에서 볼 수 있듯, 치안정책연구소는 실질적으로 대학의 부설기관으로서, 연구내용과 규모에 한계가 확연히 존재한다. 이에, 더이상 부설기구가 아닌 경찰청 1차 소속기관으로 편입시키고 연구인력을 증원하여 치안정책 수립・시행을 직접 지원하는 ‘실증적 치안 전문 연구기관’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경찰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는 만큼, 미래를 대비하여 조직을 개편하는 것이 과학 치안을 선도한다는 목적을 수행하는데 더 적합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추진 목적 ===
 
* 경찰에 특화된 도전적인 연구 직접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 법과학 분석(지문‧족윤적‧문서감정, 위해기체 등)
* 경찰업무는 국민안전과 직결된 만큼 미래치안 급변에 대응하는 치안 분야 과학기술력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과학적 미래치안 대비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치안정책연구소의 개편뿐만 아니라, 現과학치안진흥센터를 법정기관화 하여 연구관리 전문기관인 과학치안진흥원으로 발전시키고 비상설기구인 現치안산업진흥협의회를 재단법인 상설기관화 하여 산업전략 수립 및 해외수출 지원을 위한 기관으로 격상시키려 한다. 마지막으로 과기정통부, 산업부와 MOU를 추진하여 과학치안 외연을 확대시켜 미래치안정책국 중심의 선도적 미래치안 ‘4각 견인 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설립 논의와 현황 ==
 
* 치안과학원 필요성‧방향성 논의는 2014년부터 현재까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2014년에 윤재옥 의원이 치안과학원을 설립하려는 의견을 밝히며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후 민갑룡 전 경찰청장이 치안과학원 설립을 위한 TF팀을 꾸려 추진했으나 무산되었다. 2015년에는 경찰의 R&D 예산이 22억원 정도로 적은 편이었고 국 단위 정책기능이 경찰 내부에 없었기 때문에 치안과학원 설립이 이르다고 평가되었다. 그러나 2023년 경찰의 R&D 예산은 674억원으로 2015년과 비교하였을 때 30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관련 역량도 충분하게 쌓았기에 더 이상 치안과학원 설립을 미룰 수 없다는 것이 경찰의 판단이다.
* 이에 2023년 6월 28일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는 서울 중구 바비엥2 교육센터에서 치안과학원의 필요성과 설립방안을 주제로 학술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또한, 2023년 11월 29일 치안정책연구소는 아산시 온양제일호텔 크리스탈룸에서 치안과학원의 방향성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치안과학원의 설립이 코앞으로 다가왔다는 것이 경찰의 예측이다.

2023년 12월 24일 (일) 22:28 판

치안과학원의 개념

  • 치안과학원은 現 경찰대학의 부설기관인 치안정책연구소를 경찰청 1차 소속기관인 ‘치안과학원’으로 격상하고 확대 개편하여 설립하려는 기관이다. 아직 실제로 개편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치안과학원은 이론상으로만 존재한다. 경찰의 치안과학원과 유사한 종합연구기관으로 소방의 국립 소방연구원이 존재한다.
    • cf)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정책연구소는 경찰의 치안역량 극대화와 조직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학문적·이론적으로 뒷받침하고, 합리적·효율적인 중·장기 발전모델 제시하며 치안 수요 예측 및 대응 방안을 제시하여 21세기 경찰발전 기반 조성하기 위해 설립된 경찰 연구기관이다.
    • cf) 국립 소방연구원 국립 소방연구원은 소방 및 재난대응 총괄연구기관으로서 화재안전, 장비선진화, 대응기술, 소방정책, 보건안전을 연구하는 소방청 소속 책임운영기관이다.

추진 배경 및 목적

추진 배경

기술의 발전에 따른 필요성 증대

  • 첨단기술의 발달은 미래치안의 발전 동인인 동시에 신종범죄를 유발하는 위협요인으로 작용한다. 실제로 다크웹・딥페이크 성착취물・불법콘텐츠, 해킹 등 정보통신망 침해, 가상자산 범죄, 랜섬웨어, 사이버테러, 산업기밀 탈취, 비인간에 의한 범죄 등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선제적 연구를 진행하여 새로운 위협 대응에 필요한 기술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 경찰의 인적・물적 자원의 한계 극복과 치안분야 과학기술의 현장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표준・인증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커지고 치안산업 육성 등 기반 조성도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였다.
  • 따라서, 경찰대학 부설기관으로 운영하고 있는 「치안정책연구소」를 ‘실증적 전문 연구기관’으로 확대 개편하여 과학치안 총괄정책기능인 (가칭)「과학치안정책국」과 연계를 강화함으로써, 과학치안 정책・연구・현장적용 및 환류를 통한 ‘치안 R&D 사업’의 선순환 발전을 견인하는 구심점으로의 역할・기능 재정립이 필요하다.

치안정책연구소의 미흡한 운영

치안정책연구소 (경찰대학 부설) -연구소 내 「과학기술연구부」에서 R&D사업 평가 ・ 관리 업무와 함께, 위해기체 ・ 영상분석 ・ 3D프린팅 등 일부 직접연구 수행

-2022년 기준, △과학기술연구부 인력 35명 중 연구인력은 21명이며 △연간 직접연구 예산도 약 8억원에 불과

국내외 유사기관 국내 -<재난안전연구원> 연구인력 48명 / 연간 연구예산 98억원 -<수산과학원> 연구인력 536명 / 연간 연구예산 348억원 -<산림과학원> 연구인력 241명 / 연간 연구예산 190억원
해외 -<미국 NIJ(사법연구원)> 연간 연구예산 590억$(국가 R&D의 0.4%) -일본 과학경찰연구소 : 연구인력 116명 -중국 공안연구소 : 연구인력 약 3,000명 -영국 HOSDB(과학기술국) : 사이버보안펀드 1.64억£
  • 위는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개발 체제 및 국내외 유사 연구기관과의 비교를 나타낸 표이다. 표에서 볼 수 있듯, 치안정책연구소는 실질적으로 대학의 부설기관으로서, 연구내용과 규모에 한계가 확연히 존재한다. 이에, 더이상 부설기구가 아닌 경찰청 1차 소속기관으로 편입시키고 연구인력을 증원하여 치안정책 수립・시행을 직접 지원하는 ‘실증적 치안 전문 연구기관’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경찰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는 만큼, 미래를 대비하여 조직을 개편하는 것이 과학 치안을 선도한다는 목적을 수행하는데 더 적합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추진 목적

  • 경찰에 특화된 도전적인 연구 직접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 법과학 분석(지문‧족윤적‧문서감정, 위해기체 등)
  • 경찰업무는 국민안전과 직결된 만큼 미래치안 급변에 대응하는 치안 분야 과학기술력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과학적 미래치안 대비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치안정책연구소의 개편뿐만 아니라, 現과학치안진흥센터를 법정기관화 하여 연구관리 전문기관인 과학치안진흥원으로 발전시키고 비상설기구인 現치안산업진흥협의회를 재단법인 상설기관화 하여 산업전략 수립 및 해외수출 지원을 위한 기관으로 격상시키려 한다. 마지막으로 과기정통부, 산업부와 MOU를 추진하여 과학치안 외연을 확대시켜 미래치안정책국 중심의 선도적 미래치안 ‘4각 견인 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립 논의와 현황

  • 치안과학원 필요성‧방향성 논의는 2014년부터 현재까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2014년에 윤재옥 의원이 치안과학원을 설립하려는 의견을 밝히며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후 민갑룡 전 경찰청장이 치안과학원 설립을 위한 TF팀을 꾸려 추진했으나 무산되었다. 2015년에는 경찰의 R&D 예산이 22억원 정도로 적은 편이었고 국 단위 정책기능이 경찰 내부에 없었기 때문에 치안과학원 설립이 이르다고 평가되었다. 그러나 2023년 경찰의 R&D 예산은 674억원으로 2015년과 비교하였을 때 30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관련 역량도 충분하게 쌓았기에 더 이상 치안과학원 설립을 미룰 수 없다는 것이 경찰의 판단이다.
  • 이에 2023년 6월 28일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는 서울 중구 바비엥2 교육센터에서 치안과학원의 필요성과 설립방안을 주제로 학술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또한, 2023년 11월 29일 치안정책연구소는 아산시 온양제일호텔 크리스탈룸에서 치안과학원의 방향성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치안과학원의 설립이 코앞으로 다가왔다는 것이 경찰의 예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