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설치 이슈: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 '''개요''' ==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설치 논쟁은 1995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28년간 지속되고 있는 뜨거운 사회적 이슈이다. 이 논쟁은 단순히 케이블카 설치 여부를 넘어, 지역 발전과 환경 보호, 경제적 효과와 생태계 훼손, 관광 활성화와 자연 경관 보존 등 다양한 가치관과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복잡한 문제이다. == '''주요 사건 및 주체별 입장''' == === 주요...)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설악산 케이블카 이슈.png|섬네일|477x477픽셀|<그림> 설악산 케이블카 이슈 도식화]]
== '''개요''' ==
== '''개요''' ==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설치 논쟁은 1995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28년간 지속되고 있는 뜨거운 사회적 이슈이다. 이 논쟁은 단순히 케이블카 설치 여부를 넘어, 지역 발전과 환경 보호, 경제적 효과와 생태계 훼손, 관광 활성화와 자연 경관 보존 등 다양한 가치관과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복잡한 문제이다.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설치 논쟁은 1995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28년간 지속되고 있는 뜨거운 사회적 이슈이다. 이 논쟁은 단순히 케이블카 설치 여부를 넘어, 지역 발전과 환경 보호, 경제적 효과와 생태계 훼손, 관광 활성화와 자연 경관 보존 등 다양한 가치관과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복잡한 문제이다.  
15번째 줄: 17번째 줄:


=== 주체별 입장 ===
=== 주체별 입장 ===
 
'''찬성집단'''
==== 찬성집단 ====
 
* 양양군: 지역 경제 활성화, 관광객 유입 증대, 일자리 창출 기대
* 양양군: 지역 경제 활성화, 관광객 유입 증대, 일자리 창출 기대
* 지역주민: 편리한 등산 환경 제공, 지역 경제 발전 기대
* 지역주민: 편리한 등산 환경 제공, 지역 경제 발전 기대
* 일부 정치인: 지역 발전 공약, 경제 성장 촉진 주장  
* 일부 정치인: 지역 발전 공약, 경제 성장 촉진 주장  
 
'''반대집단'''
==== 반대집단 ====
*환경단체: 생태계 훼손, 멸종위기종 위협, 자연 경관 파괴 우려
 
* 환경단체: 생태계 훼손, 멸종위기종 위협, 자연 경관 파괴 우려
* 산악인: 등산 문화 훼손, 자연 탐험의 가치 감소 우려
* 산악인: 등산 문화 훼손, 자연 탐험의 가치 감소 우려
* 일부 주민: 소음 발생, 환경 오염, 삶의 질 저하 우려  
* 일부 주민: 소음 발생, 환경 오염, 삶의 질 저하 우려


== '''다각적 관점 및 논쟁 심화''' ==
== '''다각적 관점 및 논쟁 심화''' ==
72번째 줄: 70번째 줄:
* 대체 방안 검토: 케이블카 외에 설악산의 자연 경관과 생태계를 보존하면서 지역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대체 방안 검토
* 대체 방안 검토: 케이블카 외에 설악산의 자연 경관과 생태계를 보존하면서 지역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대체 방안 검토


== '''결론''' ==
== '''결론 및 정책적 함의''' ==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은 다양한 가치관과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복잡한 문제이다. 경제적 효과, 환경 보호, 지역 발전, 자연 경관 보존, 관광 활성화, 등산 문화 등 다양한 가치를 고려하여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합리적인 결정을 내려야 한다.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은 다양한 가치관과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복잡한 문제이다. 경제적 효과, 환경 보호, 지역 발전, 자연 경관 보존, 관광 활성화, 등산 문화 등 다양한 가치를 고려하여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합리적인 결정을 내려야 한다.
== '''참고문헌''' ==
* 강정길, & 이승곤. (2011). CVM 기법을 적용한 국립공원 설악산의 관광자원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35''(4), 51-73.
* 장현주. (2019). 개발과 환경보전을 둘러싼 공공갈등의 재해석: 옹호연합모형과 갈등주기모형을 통해 본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사업 갈등.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9''(4), 57-88.
* 한겨레, "대청봉 편히 오르자고 ‘멸종 1급 산양’ 내쫓나", 2015.01.23
* 한국일보, "설악산 케이블카 설치 가시화", 2015.01.29
* 동아일보, "설악 오색케이블카… 41년만에 설치 결정", 2023.02.28
* 한국일보, "41년 만에 인허가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4월 ‘첫 삽’", 2024.01.10
[[분류:정책이슈]]
[[분류:건설교통정책]]
[[분류:국토교통부]]

2024년 2월 5일 (월) 17:45 판

<그림> 설악산 케이블카 이슈 도식화

개요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설치 논쟁은 1995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28년간 지속되고 있는 뜨거운 사회적 이슈이다. 이 논쟁은 단순히 케이블카 설치 여부를 넘어, 지역 발전과 환경 보호, 경제적 효과와 생태계 훼손, 관광 활성화와 자연 경관 보존 등 다양한 가치관과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복잡한 문제이다.

주요 사건 및 주체별 입장

주요 사건

  • 1995년: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설치 논의 시작
  • 2001년: 양양군, 케이블카 설치 사업 추진 본격화
  • 2008년: 동서남해안권발전특별법 개정으로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 규제 완화
  • 2015년: 환경부, 오색 케이블카 사업 승인
  • 2019년: 환경부, 오색 케이블카 사업 환경영향평가 부동의 결정
  • 2020년: 국민권익위원회, 양양군의 청구 인용으로 사업 재개 가능성 제기
  • 2022년: 윤석열 정부 수립 이후 사업 재추진 속도 가속화

주체별 입장

찬성집단

  • 양양군: 지역 경제 활성화, 관광객 유입 증대, 일자리 창출 기대
  • 지역주민: 편리한 등산 환경 제공, 지역 경제 발전 기대
  • 일부 정치인: 지역 발전 공약, 경제 성장 촉진 주장

반대집단

  • 환경단체: 생태계 훼손, 멸종위기종 위협, 자연 경관 파괴 우려
  • 산악인: 등산 문화 훼손, 자연 탐험의 가치 감소 우려
  • 일부 주민: 소음 발생, 환경 오염, 삶의 질 저하 우려

다각적 관점 및 논쟁 심화

  • 경제적 효과 vs 환경 보호

  - 찬성집단은 케이블카 설치가 관광객 증가, 일자리 창출,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 반대집단은 케이블카 설치가 생태계 훼손, 멸종위기종 위협, 자연 경관 파괴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경제적 효과보다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다.

  - 경제적 효과와 환경 보호의 균형점을 찾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 지역 발전 vs 자연 경관 보존

  - 찬성집단은 케이블카 설치가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 반대집단은 케이블카 설치가 설악산의 자연 경관을 파괴하고, 설악산의 가치를 훼손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 지역 발전과 자연 경관 보존의 조화로운 발전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 관광 활성화 vs 등산 문화 훼손

  - 찬성집단은 케이블카 설치가 편리한 등산 환경을 제공하여 더 많은 관광객 유입을 유도할 것이라고 주장하다.

  - 반대집단은 케이블카 설치가 등산 문화를 훼손하고, 자연 탐험의 가치를 감소시킬 것이라고 주장하다.

  - 관광 활성화와 등산 문화 보존의 공존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현재 상황 및 전망

환경영향평가 진행 중

현재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은 환경영향평가(환경부) 및 환경부 장관의 최종 결정 단계에 있다. 2024년 4월 27일까지 환경부가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다각적 관점 반영 및 사회적 합의 필요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은 단순히 찬성과 반대로 나누어 판단할 수 없는 복잡한 문제이다. 경제적 효과, 환경 보호, 지역 발전, 자연 경관 보존, 관광 활성화, 등산 문화 등 다양한 가치관과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사회적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

지속적인 논의 및 합리적인 결정 필요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은 설악산의 자연환경과 지역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업이다. 따라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충분히 참여하고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환경영향평가 결과, 전문가 의견, 사회적 합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합리적인 결정을 내려야 한다.

추가 논의 사항

  • 지역 주민들의 의견: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은 주변 지역 주민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업이다. 따라서 사업 추진 과정에서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고 소통해야 한다.
  • 투명하고 공정한 의사 결정 과정: 사업 추진 과정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여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 환경 보호 및 생태계 조사: 케이블카 설치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 마련, 생태계 조사 및 보호 노력 필요
  • 대체 방안 검토: 케이블카 외에 설악산의 자연 경관과 생태계를 보존하면서 지역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대체 방안 검토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은 다양한 가치관과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복잡한 문제이다. 경제적 효과, 환경 보호, 지역 발전, 자연 경관 보존, 관광 활성화, 등산 문화 등 다양한 가치를 고려하여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고,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합리적인 결정을 내려야 한다.

참고문헌

  • 강정길, & 이승곤. (2011). CVM 기법을 적용한 국립공원 설악산의 관광자원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35(4), 51-73.
  • 장현주. (2019). 개발과 환경보전을 둘러싼 공공갈등의 재해석: 옹호연합모형과 갈등주기모형을 통해 본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사업 갈등.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9(4), 57-88.
  • 한겨레, "대청봉 편히 오르자고 ‘멸종 1급 산양’ 내쫓나", 2015.01.23
  • 한국일보, "설악산 케이블카 설치 가시화", 2015.01.29
  • 동아일보, "설악 오색케이블카… 41년만에 설치 결정", 2023.02.28
  • 한국일보, "41년 만에 인허가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4월 ‘첫 삽’", 202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