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사회정체성이론: 두 판 사이의 차이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Hjms3914님이 사회정체성이론 문서를 분류:사회정체성이론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잔글 (Hjms3914님이 분류:사회정체성이론 문서를 사회정체성이론 문서로 이동하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되돌리기)
(차이 없음)

2024년 6월 20일 (목) 23:38 판

개념 및 의의

사회 정체성(social identity)은 사회적 집단에 소속되었다는 지각에 기반한 자기 개념의 일부이다. 사회 정체성 이론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Tajfel과 Turner(1986)가 개발한 이론으로, 이 이론에서는 집단 간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사회 정체성의 개념을 도입한다. 사회 정체성 이론은 지각된 집단 간 지위의 차이, 그런 차이의 지각된 정당성과 안정성, 한 집단에서 다른 집단으로 옮겨 갈 수 있는 지각된 능력을 근거로 집단 간의 행동을 예측하는 이론이라고 서술할 수 있다.

주요내용

Turner와 Oakes(1986)는 사회 정체성 이론의 한계를 인식하고 자기와 집단 과정에 관한 더 일반적인 이론인 자기 범주화 이론 (self-categorization theory)을 발표했다. 사회 정체성 접근(social identity approach) 또는 사회 정체성 관점(social identity perspective)이라고 할 때는 이 사회 정체성 이론과 자기 범주화 이론 두 가지의 내용을 통합해서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정체성의 범주화 수준은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가치, 적절성, 옳음에 대한 정의에 영향을 미친다. 즉 어떤 상황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할지, 나아가 어떠한 행동을 하는지가 결정된다.

참고문헌

Turner, John; Oakes, Penny (1986). “The significance of the social identity concept for social psychology with reference to individualism, interactionism and social influence”.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5 (3): 237–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