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지역행복도(삶의질만족도)

Public Policy Wiki
JK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0월 16일 (월) 22:41 판 (새 문서: == 지역행복도의 개념 == 지역행복도는 일정 공간 내에서 지역주민이 자신의 삶에 대해 경험하는 만족도로 정의할 수 있다. 행복은 개인이 삶에 대해 느끼는 기쁨과 만족을 의미하기 때문에, 지역행복도는 지역주민이 느끼는 행복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역행복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할 수 있다. * 행복을 느끼는 인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지역행복도의 개념

지역행복도는 일정 공간 내에서 지역주민이 자신의 삶에 대해 경험하는 만족도로 정의할 수 있다. 행복은 개인이 삶에 대해 느끼는 기쁨과 만족을 의미하기 때문에, 지역행복도는 지역주민이 느끼는 행복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역행복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할 수 있다.

  • 행복을 느끼는 인구 비율: 행복을 느끼는 인구 비율이 높을수록 지역행복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 공간영향: 이웃하는 지역의 행복도도 지역행복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공공서비스: 병원, 도서관, 우체국 등 공공서비스의 접근성이 양호할수록 지역행복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 환경의 쾌적성: 깨끗한 환경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지역행복도의 측정

지역행복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주관적 측정: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행복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 객관적 측정: 지역의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특성을 지표화하여 지역행복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주관적 방법은 지역주민의 실제적인 삶의 만족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설문조사의 결과가 지역주민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한다는 한계가 있다. 객관적 방법은 지역행복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보다 객관적으로 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도를 완전하게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지역행복도의 생성배경[1]

지역행복도는 경제 성장 못지않게 국민이 생활 속에서 체감하는 행복도를 높이는 것이 지역발전정책의 중요한 목표로 등장하면서 중요성이 커지게 되었다.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는 급격한 산업화 및 도시화를 경험하면서 지역 간 불균형이 심화되었다. 이에 정부는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2013년 정부는 국가의 비전을 ‘국민에게 행복을, 지역에 희망을’ 주기 위해 지역희망(HOPE)프로젝트를 제시하였다. 지역희망프로젝트는 지역행복생활권 기반 확충, 교육여건 개선ㆍ창의적 인재 양성, 일자리 창출ㆍ지역경제 활력 회복, 지역문화 융성ㆍ생태 복원, 사각 없는 지역 복지ㆍ의료, 지역균형발전 시책 지속 추진 등 6대 분야에서 17개 과제를 제시하였다.

지역행복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

  • 지역사회의 특성과 환경 요소를 고려한 정책 추진: 지역마다 특성과 환경 요소가 다르기 때문에 지역행복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
  • 지역주민의 참여와 협력: 지역행복도는 지역주민의 참여와 협력 없이는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이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참여와 협력을 기반으로 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 지속적인 평가와 개선: 지역행복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지역행복도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지역행복도는 지역발전정책의 목표로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지역행복도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통해 지역주민들이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지역사회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