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Public Policy Wiki
김효진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9월 12일 (화) 14:15 판 (새 문서: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은 국가 차원의 인체 자원 확보와 활용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기 위해 마련된 한국인체자원은행 사업(Korea Biobank Project, KBP)의 일환으로, 유전체 기반 정밀 의료 등 미래 보건 의료 R&D에 활용될 인체자원을 국가 차원에서 확보, 관리하여 국내 연구자에 분양함으로써 보건의료 분야 연구 활성화 및 산업 발전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은 국가 차원의 인체 자원 확보와 활용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기 위해 마련된 한국인체자원은행 사업(Korea Biobank Project, KBP)의 일환으로, 유전체 기반 정밀 의료 등 미래 보건 의료 R&D에 활용될 인체자원을 국가 차원에서 확보, 관리하여 국내 연구자에 분양함으로써 보건의료 분야 연구 활성화 및 산업 발전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외부링크

  • 공식자료: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메인 [1]
  •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인체자원 [2]

근거법령

  • 질병관리본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운영 및 관리 규정[3]

제 2조(정의) 이 규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인체자원"이란 개인으로부터 수집된 임상·역학정보와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하 "생명윤리법"이라 한다) 제2

조제11호에 따른 인체유래물(인체로부터 수집하거나 채취한 조직·세포·혈액·체액 등 인체 구성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된 혈

청, 혈장, 염색체, DNA, RNA, 단백질 등(배아줄기세포는 제외한다. 이하 같다)을 말한다) 및 이로부터 분석된 유전정보 등을

말한다.

  • 질병관리청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운영 및 관리 규정[4]

연혁

  • 2008년 보건 의료 및 바이오 헬스 연구 개발 목적으로 첫 출범 및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1기 시작.
  • 2012년 4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개관.[1]
  • 2013년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운영 규정 제정 및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2기 착수.
  • 2016년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3기 착수.
  • 2021년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4기 착수.
  • 2022년 이 운영하는 한국인정기구(KOLAS)에 의해 국내 제 1호 생물자원은행으로 공인.[2]
  1.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공식 출범. 이투데이. 2012년 4월 25일 작성.
  2. 국내 1호 ‘공인 생물자원은행’ 탄생…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한겨레. 2022년 10월 6일에 작성함. 2022년 10월 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