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지역자산화지원사업

Public Policy Wiki
JK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9월 28일 (목) 23:22 판 (새 문서: == 지역자산화 지원사업의 개념과 특징 == 지역자산화 지원사업은 지역주민들이 지역에 필요한 공간을 공동으로 소유·운영할 수 있도록 매입·운영 자금을 보증 및 저리 대출해 주는 금융지원 사업이다.<ref>[https://www.nabis.go.kr/termsDetailView.do?menucd=189&menucd=189&eventNo=376&gbnCode=S51&searchCode=&searchCondition=&pageIndex=0&appfileUrl=terms&appfileName=???????????_??????????????2017(??).pdf&virfileName=...)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지역자산화 지원사업의 개념과 특징

지역자산화 지원사업은 지역주민들이 지역에 필요한 공간을 공동으로 소유·운영할 수 있도록 매입·운영 자금을 보증 및 저리 대출해 주는 금융지원 사업이다.[1] 지역자산화 지원사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 지역자산화 지원사업은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어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원칙이다. 지역주민이 직접 공간을 매입하고 운영함으로써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 지역사회의 공동체 활성화: 지역자산화 지원사업은 지역주민이 함께 모여 공간을 소유·운영함으로써 지역사회의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한다. 지역주민이 함께 모여 협력하고 소통함으로써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 지역경제의 발전: 지역자산화 지원사업은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경제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지역주민이 지역의 유휴 공간을 활용하여 새로운 사업을 창출함으로써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지역자산화 지원사업의 기대효과

지역자산화 지원사업은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 지역 주민의 삶의 질 개선: 지역 주민이 주도적으로 지역의 필요한 공간을 조성하고 운영함으로써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이 개선될 수 있다.
  • 지역 공동체 활성화: 지역 주민이 함께 공간을 소유하고 운영함으로써 지역 공동체가 활성화될 수 있다.
  •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 자산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지역자산화 지원사업의 사례

2020년에는 전국 10개 시·도에서 11개 민간단체가 선정되어 지역자산화 지원사업을 추진하였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 목포 건맥1897: 지역주민 100여 명이 구도심 건해산물 거리에 협동조합형 마을펍과 마을 호스텔을 조성하였다.
  • 전주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임대료 상승에 부담 갖지 않고 안정적으로 공간을 확보하여 치과와 한의원으로 제한되었던 진료과목을 확대하고, 돌봄센터 등도 만들어 우리동네사랑방 역할을 하는 지역 커뮤니티 공간을 운영할 계획이다.
  • 푸른바이크쉐어링: 농촌마을에 자전거 학교를 조성하고 자전거로 여행하며 쓰레기를 줍는 친환경 자전거여행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자전거 문화마을을 조성하는 등 지역을 관광명소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