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지역화폐

Public Policy Wiki
JK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9월 29일 (금) 15:38 판 (새 문서: == 지역화폐의 개념과 특징 == 지역화폐는 국가의 공식화폐와 달리 소규모 공동체 안에서만 통용되는 화폐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특정지역에만 통용되는 화폐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법정화폐를 대체하는 것이 아닌 또 하나의 지불수단으로 법정화폐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지역통화의 형태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지역 내 자원순환을 촉진함...)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지역화폐의 개념과 특징

지역화폐는 국가의 공식화폐와 달리 소규모 공동체 안에서만 통용되는 화폐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특정지역에만 통용되는 화폐를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법정화폐를 대체하는 것이 아닌 또 하나의 지불수단으로 법정화폐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지역통화의 형태가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지역 내 자원순환을 촉진함으로써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경제 안에서 화폐화하지 못한 다양한 자원들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지역활성화’라는 목적을 실현하고 있다.[1] 지역화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이자 금지: 지역화폐는 이자를 금지한다. 이자는 축적수단으로 변질되어 소수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 지역사회 내 통용: 지역화폐는 특정 지역사회 내에서만 통용된다.
  • 자유 발행: 지역화폐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자유롭게 발행된다.
  • 자발적 가입: 지역화폐는 지역사회 구성원의 자발적인 가입을 통해 유통된다.
  • 경제적·사회적 측면 공존: 지역화폐는 경제적 측면(지역경제 활성화)과 사회적 측면(공동체 활성화)이 공존한다.

지역화폐의 유형

지역화폐는 공동체화폐(community currency), 보완화폐(complementary currency), 전환/이행화폐(transition currency), 가치절감화폐(depreciative currency)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 공동체화폐: 특정 지역의 주민들 사이에서만 통용되는 화폐를 의미한다.
  • 보완화폐: 법정화폐와 함께 사용되는 화폐를 의미한다.
  • 전환/이행화폐: 기존의 경제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되는 화폐를 의미한다.
  • 가치절감화폐: 화폐의 가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도록 설계된 화폐를 의미한다.

지역화폐의 목적

지역화폐는 수평적 호혜관계와 상호부조 촉진, 및 지역경제의 자립과 활성화 촉진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최근 들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지역화폐를 도입하고 있다. 지역화폐는 내생적 지역발전을 촉진하는 수단으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

  • 지역 경제주체 활성화: 지역화폐는 지역 내의 경제주체를 활성화하고 새롭게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 지역 내 교환 촉진: 지역화폐는 지역 내 교환을 촉진함으로써 지역 내 생산과 소비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 지역주민 삶의 방식 변화: 지역화폐는 개별 시민들의 삶의 방식을 더 지역적이고, 더 지속가능하게 바꾸는 역할을 한다.

지역화폐의 효과 및 한계

지역화폐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 지역 내 소비 촉진: 지역화폐는 지역 내에서만 사용되기 때문에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한다.
  • 지역 내 소득 창출: 지역화폐는 지역 내에서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켜 지역 내 소득 창출을 촉진한다.
  • 지역 공동체 활성화: 지역화폐는 지역 주민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한다.

허나, 지역화폐는 발행량이 제한되어 있고 아직까지 대중적인 수단으로 자리 잡지 못하여 수용성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