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일학습병행제

Public Policy Wiki
JK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0월 25일 (수) 16:04 판 (새 문서: == 일학습병행제도의 개념 == 기업이 취업을 원하는 청년을 학습근로자로 채용하여 기업 현장에서 장기간 동안 실무와 이론을 병행 교육하고, 교육을 마친 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자격을 인정하는 제도이다. == 일학습병행제도의 생성배경 == 일학습병행제도는 우리나라 직업교육훈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우리나라의 직업교육훈련은 학교가 주도...)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일학습병행제도의 개념

기업이 취업을 원하는 청년을 학습근로자로 채용하여 기업 현장에서 장기간 동안 실무와 이론을 병행 교육하고, 교육을 마친 자의 역량을 평가하여 자격을 인정하는 제도이다.

일학습병행제도의 생성배경

일학습병행제도는 우리나라 직업교육훈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우리나라의 직업교육훈련은 학교가 주도하는 교과중심으로 진행되어,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과 기업에서 필요한 실무능력에 차이가 생기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실질적인 업무능력보다 기업의 채용시험에 통과하기 위해 공인어학성적과 수상경력 같은 스펙을 쌓는 반면, 기업은 실무능력이 부족한 신입사원을 다시 교육하는데 많은 돈과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학습병행제도가 도입되었다.

일학습병행제도의 주요 내용

일학습병행제도는 크게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가진다.

  • 학습근로자 : 일학습병행제도에 참여하는 청년을 학습근로자라고 한다. 학습근로자는 기업에 채용되어 학습과 훈련을 병행하며, 교육훈련을 마치면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 교육훈련 : 일학습병행제도의 교육훈련은 기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며, 기업과 학교, 정부가 협력하여 실시한다. 교육훈련의 내용은 기업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 자격 인정 : 일학습병행제도를 통해 교육훈련을 마친 자는 국가(또는 해당 산업계)의 인정을 받아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자격을 취득하면 기업에서 취업하거나 창업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된다.

일학습병행제도의 의의

  • 실무형 인재 양성 : 기업 현장에서 실무 경험을 쌓으면서 학습과 훈련을 병행함으로써, 기업에서 요구하는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수 있다.
  • 고용 안정성 제고 : 기업은 필요한 인재를 직접 양성함으로써, 채용 비용과 교육훈련 비용을 절감하고, 신입사원의 조기 정착을 통해 고용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다.
  • 교육훈련의 효율성 제고 : 일학습병행제도는 기업과 학교, 정부가 협력하여 교육훈련을 실시함으로써, 교육훈련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