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디지털 인사혁신

Public Policy Wiki
Jm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1월 9일 (목) 15:06 판 (새 문서: == 개념 == * 인사혁신: 정부의 인사행정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공무원 개인에게 올바른 가치를 내재화하여 바람직한 공직문화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과정적 개념이라 해석하였고 제도혁신 뿐만 아니라, 사람혁신, 문화혁신까지 인사혁신의 범위로 포함하여 인사혁신 활동을 광범위하게 해석될 수 있음<ref>김선아・박성민(2016).</ref> * 디지털 인사혁신:...)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

  • 인사혁신: 정부의 인사행정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공무원 개인에게 올바른 가치를 내재화하여 바람직한 공직문화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과정적 개념이라 해석하였고 제도혁신 뿐만 아니라, 사람혁신, 문화혁신까지 인사혁신의 범위로 포함하여 인사혁신 활동을 광범위하게 해석될 수 있음[1]
  • 디지털 인사혁신: 채용부터 퇴직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데이터 기반 인사행정을 추진해나가는 과정

2023년 디지털 인사혁신 사례[2]

인사혁신처는 2023년 디지털 인사혁신 사례를 아래와 같이 소개하고 있다.

업무 자동화 연말정산 자동화
  • 국세청과 협업하여 국가공무원 연말정산 서비스를 원클릭으로 제공하여, 공무원의 연말정산 업무 부담을 줄이고, 처리 시간을 단축했다.
  • 연간 약 58억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가족수당 이중지급 검증 시스템 확대
  • 가족수당 이중지급 검증 시스템의 대상기관을 행정부 내에서 군과 헌법재판소까지 확대하였고, 수작업으로 확인하던 ‘가족수당 이중수급 검증 방식’을 자동화하여 업무처리 시간을 단축하고, 잘못 지급되는 사례를 차단하였다.
  • 연간 약 59.5억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출장정산 자동화 등 AI복무관리 서비스 구축
  • 출장 신청부터 정산까지의 모든 과정을 자동화하여, 공무원의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였다.
  • 코레일 등과 협력하여 출장 정산 관련 업무를 완전 자동화하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스마트)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 기존에는 출장 신청, 결재, 정산 등 7단계의 절차가 필요했지만, 전용 앱을 통한 자동화를 통해 3단계로 줄였고, 또한, 기차, 버스 등의 영수증을 인쇄 없이 연계하여 연간 종이 문서 525만 장을 줄일 수 있게 됐다.
  • 이 서비스는 공무원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종이 문서 사용을 줄여 환경 보호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연간 약 86억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정부 공동활용 부처합동 사이버 안전센터 구축·운영
  • 6개 부처(인사처, 보훈부, 법제처, 행복도시건설청, 질병청, 새만금청)가 시설, 인력, 공간, 자원 등을 공동 활용하여, 사이버 공격에 공동 대응하여 국가 정보 자산을 보호했다.
  • 구축비 72억 원, 연간 운영비 86억 원, 총 158억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 2022년 7급 공무원 시험을 앞두고, 해외에 가짜 사이버국가고시센터 홈페이지가 개설되어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우려되었는데, 인사혁신처는 신속하게 이 사실을 탐지하고 당일 폐쇄 조치하여 사고를 사전에 차단하였다.
정보시스템 장애탐지 시스템 구축
  • 정부 최초로 공개 소프트웨어(SW)를 활용한 장애 탐지시스템을 자체 개발하여, 6개 부처가 공동으로 활용하여 예산을 절감했다.
  • 구축비 약 12억 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업무 효율화 5G 기반 무선 업무망 구축
  • 국가기관 최초로 전 직원을 대상으로 시간과 공간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업무 처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 출장업무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업무 효율을 극대화했다.

기타사항[3]

  • 정부 디지털 인사관리를 더 높은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해 71개 중앙행정기관 약 40만 명이 사용하는 전자인사관리체계(e-사람)의 3세대 구축사업을 추진할 예정

참고문헌

김선아·박성민. (2016). 정부 인사혁신 핵심가치 도출에 관한 연구: 제도·사람·문화혁신 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5(4): 175-219.

인사혁신처. (2023년 9월 14일). (정보화담당관) 디지털 인사혁신으로 373억원 예산 절감. 보도자료.

  1. 김선아・박성민(2016).
  2. 인사혁신처(2023).
  3. 인사혁신처(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