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관료제통제 이론

Public Policy Wiki
김김김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7월 11일 (화) 14:05 판 (새 문서: == 개념 및 의의 == == 관련 이론 == === 관료포획 이론 === ==== 등장배경 ==== - 규제되는 산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규제기관에 큰 영향을 미치거나 통제하기도 한다(Huntington, 1952) - 의회, 위원회 및 정부기관에 의해 관료제가 지배된다(Wood and Waterman, 1994). 철의 삼각형, 이슈 네트워크 - 정책 엘리트가 관료제를 통제한다. ==== 한계 ==== - 관료 포획은 실제로는 잘 발생...)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 및 의의

관련 이론

관료포획 이론

등장배경

- 규제되는 산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규제기관에 큰 영향을 미치거나 통제하기도 한다(Huntington, 1952)

- 의회, 위원회 및 정부기관에 의해 관료제가 지배된다(Wood and Waterman, 1994). 철의 삼각형, 이슈 네트워크

- 정책 엘리트가 관료제를 통제한다.

한계

- 관료 포획은 실제로는 잘 발생하지 않는다.

- 실제로 일어난 것은 행정부와 입법부의 대중적인 규제완화 정책이었다.

고객대응 이론

주요내용

- 일선 관료들은 능력주의에 기반한 직업 관료들이며, 이들 모두는 고객서비스 지향성을 지닌다.(경찰, 선생님, 사회복지공무원 등)

- 이러한 관료들은 정치적 지시에 어떻게 대응하기 보다다는 고객의 요구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더 큰 중점을 둔다.

- 자율성과 넓은 재량의 범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Lipsky, 1980; Gruber, 1987).

- 이러한 관료는 고객에 의해 '포획'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Meier, 1997).

실증적 근거

① Lipsky의 연구

- 과다한 과업과 제한된 자원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일선 관료들은 고객에 의해 그다지 포획되지 않는다.

- 정치적 통제가 가능하는가? 목표와 성과측정이 명확하지 않는 한 일선 관료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 통제불능하다는 것은 아니다. 일선관료는 법과 정책이 명확한 범위 안에서 요구하는 바를 수행한다.

② Gruber의 연구

- 이론적 근거 : 관료는 외부세력으로 부터 자신을 완충하려 한다(Tompson, 1967), 관료는 현상을 유지한다(Downs, 1967)

- 관료들이 이기적이고 통제에 저항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 관료들이 행동의 자유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을 선호하고, 권력이 없는 외부 행위자를 선호하며, 시의회나 시장의 업무에 대한 영향력을 달가워하지 않고, 시민의 영향력은 비교적 선호한다.

재량권 이론

관료의 재량의 방향 관한 세 가지 가설

- Kenneth Meier, Joseph Stewart Jr. Robert England

(1) 하위계층가설(underclass hypothesis)

- 정책 결과의 분배에 있어 편향되어 있다. 빈곤층과 소수자는 정부 서비스를 덜 분배받는다.

(2) 선거가설(elections hypothesis)

- 정치적 엘리트가 지지자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 정부 서비스를 분배할 것이다.

(3) 관료적 의사결정 규칙(bureaucratic decision rules hypothesis)

- 관료제에서 공식화된 규칙에 따라 정부 서비스가 할당된다.

실증연구 결과

- 대부분의 도시 서비스 공급에 관한 연구는 하위계층가설과 선거가설을 기각하고 관료적 의사결정 규칙 가설을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

대리인 이론

- 주인이 대리인을 완전히 통제하거나 모니터링 할 수 없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리인이 주인의 이해관계를 고려하게끔 동기화 하는 것을 설명하고자 함.

- 초기 경제적 분석(Tullock, Downs, Niskanen) : 관료는 정보를 축적하고(정보비대칭), 자율성을 추구하고, 책임을 회피한다.

- 정치행정이원론 입장에서의 이론이다(Wood & Waterman,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