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스마트팜 청년창업보육센터

Public Policy Wiki
River9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22일 (금) 12:27 판 (새 문서: = 개요 = ==== 사업목적 ==== * 기존 교육은 단기적‧산발적이며 기존 농가 중심으로, 신규 진입하는 청년을 위한 체계적 보육과정 미흡 * 스마트팜에 특화된 실습중심의 장기 교육과정 운영으로 스마트팜 청년 전문인력 양성 ==== 사업내용 ==== * 스마트팜 기초이론부터 농장 경영실습까지 실습 위주의 장기보육프로그램 운영(최대 20개월) 운영 지원 ** 혁신밸리 실습...)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사업목적

  • 기존 교육은 단기적‧산발적이며 기존 농가 중심으로, 신규 진입하는 청년을 위한 체계적 보육과정 미흡
  • 스마트팜에 특화된 실습중심의 장기 교육과정 운영으로 스마트팜 청년 전문인력 양성

사업내용

  • 스마트팜 기초이론부터 농장 경영실습까지 실습 위주의 장기보육프로그램 운영(최대 20개월) 운영 지원
    • 혁신밸리 실습온실 조성 전에는 지자체 및 선도농가 온실을 활용하여 실습
혁신밸리 핵심시설 구분, 주요 내용
구 분 주요 내용
입문과정

(2개월)

◇ 창농 지식, 투자유치 컨설팅, 경영·마케팅, 정착 지원, 온실 설계·관리, 양수분 급배액, 양액재배, 스마트 팜 운영관리, 해외전문가 특강
교육형실습

(6개월)

◇ 보육센터 실습장 등을 활용하여 최대 6개월간 현장실습하며 경험축적, 컨설팅‧현장지도, 우수 스마트팜 사례 벤치마킹 등
경영형실습

(12개월)

◇ 자기 책임하에 스마트팜 경영을 경험해 볼 수 있도록 경영실습장 운영, 컨설팅‧현장지도 교육, 교육생 간 정보공유

사업규모

  • (교육인원) 혁신밸리 4개소에서 매년 200명(각 50명)을 선발하여 20개월 교육함에 따라 연간 600명*이 교육 참여
    • (`22년 예시) `20년 선발 200명(`20.7∼`22.6월) + `21년 선발 200명(`21.7∼`23.6) + `22년 선발 200명(`22.7∼`24.6월)
  • (예산) (`20) 300명, 4,000백만원 → (`21) 500명, 7,000백만원

향후계획

  • 매년 200여명의 신규 교육생을 선발하여 스마트팜 청년인력 양성(`22년∼)


현황

스마트농업 국내·외 시장 현황 (Marketsandmarkets, 2020)

  • 세계 시장 현황
    • 세계 스마트농업 시장은 ’20년 138억 달러에서 ’25년 220억 달러로 성장 전망(연평균 9.8%↑)
      • - 가장 비중이 큰 정밀농업 분야는 ’20년 64억 달러에서 ’25년에는 110.7억 달러로 성장 전망(연평균 11.6%↑)
      • - 스마트온실과 가축모니터링 분야는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으며, 각각 ’20년 12.5억/14억 달러에서 ’25년에는 18.5억/22.8억 달러로 성장 전망(연평균 8.2%↑, 10.2%↑)
  • 국내 시장현황
    • 우리나라의 스마트농업 시장은 ’20년 2.4억 달러에서 ’25년에는 4.9억 달러로 성장 전망(연평균 15.5%↑)


스마트팜 보급 현황(2021)

  • 시설원예 : ’21년까지 총 6,485ha 보급(잠정, 누계)
시설원예 연도별 누적면적 및 당해년도 면적
연도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잠정) ’22년(목표)
누적면적 (ha) 405 769 1,912 4,010 4,900 5,383 5,985 6,485 7,000
당해연도면적(ha) 60 364 1,143 2,098 890 483 602 500 515

출처 MarketsandMarkets, 2020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 축사 : ’21년까지 총 4,785호 보급(누계)
축사 연도별 누적호수 및 당해년도 호수
연도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21년(잠정) ’22년(목표)
누적호수 (호) 23 181 430 801 1,425 2,390 3,463 4,785 5,750
당해연도호수(호) - 158 249 371 965 1,073 1,322 965

출처 MarketsandMarkets, 2020 /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관련 링크

스마트팜 코리아https://www.smartfarmkorea.net/main.do


연구동향

임병옥 외(2021)은 창농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20년 스마트팜 청년창업보육센터 교육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엄지범(2020)은 영농승계자에 대한 역량지표를 설정하였는데 ①재배관리 역량군(육묘관리, 비배관리, 병충해관리) ②작업관리 역량군(작업이해, 인력확보배치, 기계조작, 자재조달) ③판매관리 역량군(재고관리, 고객관리, 판매계획) ④재무관리 역량군(재무분석, 재무대책, 투자계획) ⑤정보관리 역량군(작업기록, 부기회계, 정보수집)의 5가지 영역과 16개의 세부역량을 선정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이소영·김은경(2018)은 ‘창업농교육 경험이 창업자기효능감,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연구를 수행하여 창업자기효능감을 향상을 위한 창업의지, 자기 능력에 믿음과 확신, 동기 등을 증대시켜주는 교육 강화가 필요하며, 교육생들의 요구되는 역량 규명과 교육 운영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보고 교육생의 한 가지 요인이 아닌 스마트팜 청년 창업농의 교육 요구 분석 여러 요인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육적 처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마상진(2017)은 신규 취농에 농업인들은 여러 장애요인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승계농과 창업농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황인욱·이소영·주진수·김종숙(2016)의 연구에서는 청년농업인들의 영농정착 성공 특성 및 영농수준을 파악하여, 졸업생 우수사례에 해당하는 영농수준에 대해 분석하였다.

김중기(2016)는 창업에 있어서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창업생태계를 제안하였다.

참고문헌

김중기. 2016. “미래농업인력 육성을 위한 전라북도의 대응방향”, 전라북도 삼락농정 포럼 자료.

황인욱·이소영·주진수·김종숙. 2016. “청년농업인의 영농수준 및 성장단계 분석 –한국농수산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16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1-28.

마상진. 2017. “농업인력 육성정책의 방향과 과제”, 전라북도 삼락농정 포럼 자료.

이소영·김은경. 2018. “창업농교육 경험이 창업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4호, pp. 483-505.

엄지범. 2020. “영농승계자 역량강화를 위한 영농실습 요구도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제27권 제4호, pp. 159-171.

임병옥, 황성일, 엄지범.(2021).스마트팜 청년 창업농의 교육 요구 분석 - 교육과정 우선순위 도출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137-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