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코리안데스크

Public Policy Wiki
정원석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24일 (일) 11:37 판 (새 문서: == 개념 == '''코리안 데스크'''는 현지 경찰의 부서에 '''우리나라 경찰관이 파견'''되어 외국에서 일어나는 한인 관련 사건을 전담하는 경찰 부서다. 코리안데스크에서는 '''도피사범 송환, 범죄수사 등의 공조업무'''를 담당한다. = 필리핀 코리안데스크 = == 필리핀 코리안 데스크 설치배경 == * 필리핀은 '''약 9만 명의 교민'''이 체류 * 필리핀은 전 세계 '''한국인 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

코리안 데스크는 현지 경찰의 부서에 우리나라 경찰관이 파견되어 외국에서 일어나는 한인 관련 사건을 전담하는 경찰 부서다.

코리안데스크에서는 도피사범 송환, 범죄수사 등의 공조업무를 담당한다.

필리핀 코리안데스크

필리핀 코리안 데스크 설치배경

  • 필리핀은 약 9만 명의 교민이 체류
  • 필리핀은 전 세계 한국인 피살 인원의 20.2%를 차지하고 있는 나라[1]
  • 불안정한 현지 치안여건을 고려하여 한국인 관련 강력 사건 대응과 재외국민 보호 필요성 대두
  • 양국 경찰 간 긴밀한 수사 공조를 위한 코리안데스크를 별도로 설치하여 운영
해외 피살 한국인 수(2016-2020, 단위: 명)[2]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합계
전체국가 21 7 12 31 8 79
필리핀 9 (42.8%) 1 (14.2%) 3 (25%) 3 (9.6%) 0 16 (20.2%)

필리핀 코리안데스크 활동 근거[3]

  • '필리핀 경찰청과 대한민국 경찰청간 양해각서 (2013.9.10)' 에 규정
  • 한국·필리핀 양해각서 제9조(경찰연락데스크): 양국 경찰은 상대국에 거주중인 다수의 자국 교민들의 안전과 치안확보를 위한 경찰조력·지원 서비스의 용이한 제공을 위하여 양 당사자는 상대기관에 경찰연락데스크를 설치한다.

필리핀 코리안데스크 파견 현황[4]

파견 지역 교민수 코리안데스크 파견인원 경찰주재관 ‘13 이후 한인 피살사건
마닐라 36,000명 2명 3명 12건
앙헬레스 10,800명 1명 9건
카비테 7,500명 1명 3건
바기오 9,700명 1명 5건
세부 15,000명 1명 1명 5건

필리핀 코리안데스크 임무

주요임무[5]

  1. 주재국 내 한국인 관련 강력사건 (살인, 납치, 강도 등) 수사 공조
  2. 마약,테러 등 국제범죄 관련 자료수집
  3. 주재국 내 한국인 도피사범 송환임무 지원
  4. 주재국 경찰기관과의 협력업무
  5. 기타 경찰청 지시사항

필리핀 코리안데스크 공조 범위

공조수사한계

  • 코리안데스크 담당관의 필리핀 수사권 불인정
  • 수사행위(체포, 압수)는 주재국의 사법권 침해행위로 허용되지 않음
  • 필리핀 사법체계상, 피해자가 필리핀 경찰에 고소하지 않으면 수사개시 불가능
  • 현지 고소 되지 않은 상황에서 특정사안 수사요청 등 공조 활동 실질적 불가능

공조가능범위

  • 도피사범 소재파악 및 검거공조(필리핀 경찰청, 이민청 등과 공조)
  • 도피사범 송환 지원(주필리핀한국대사관 및 필리핀 이민청과 협의)
  • 사실 확인(검거 현장 및 증거물 사진 등 사진촬영)
  • 참고인에 대한 진술서 확보(참고인이 동의하는 범위 내에서 가능)

공조불가능사항

  • 금융거래정보(계좌명의자, 거래내역 등)
  • 전화번호를 통한 인적사항 등 파악(필리핀 휴대폰은 인적사항과 연계되지 않음)
  • 증거물 등 압수(원칙적으로 불가능, 임의제출 형식은 가능)
  • 수사대상자(피의자, 참고인) 진술조서 확보

필리핀 코리안데스크 공조 사례

1) 2016년 10월 바콜로에서 발생한 한인 3명 총기 피살사건

  • 앙헬레스 코리안 데스크 담당관, 필리핀 체류중인 주범 1명을 사건 37일만에 검거
  • 공범 1명은 국내 국제범죄수사대에서 검거
  • 한국-필리핀 간 긴밀한 공조수사로 범인 전원 검거 및 증거자료 확보
  1. 경찰청, 2022 통계연보, 2022, p570
  2. 경찰청, 2021 경찰백서 제3장, 2021, p180
  3. KOICA, 필리핀 경찰 수사역량강화 사업심층기획조사 결과보고서, 2016~2018, p115
  4. 경찰청, 2021 경찰백서 제3장, 2021, p180
  5. 필리핀 경찰청과 대한민국 경찰청 간 양해각서 제13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