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군성고충전문상담관제도

Public Policy Wiki
Yjw1026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2월 8일 (목) 22:54 판 (새 문서: {{DISPLAYTITLE:병영생활전문상담관제도}} == 병영생활전문상담관제도 개요 == '''병영생활전문상담관제도'''는 == 외부링크 == *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75571&cid=62841&categoryId=62841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지식백과 내 상담학 사전) == 근거법령 == * == 연혁 == * 2015년: == 해외사례 == * == 연구동향 == * 이민선과 곽대훈(2020)의 연구는 군대 내...)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병영생활전문상담관제도 개요

병영생활전문상담관제도

외부링크

근거법령

연혁

  • 2015년:

해외사례

연구동향

  • 이민선과 곽대훈(2020)의 연구는 군대 내 성 폭력피해자지원을 위한 성고충전문상담관 역할에 대하여 선행연구 및 실무매뉴얼을 중심으로 검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성고충전문상담관의 자격 강화, 전담인력의 확보, 상담관에 의한 성폭력 예방교육의 확대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군대 내에서 발생하는 성폭력 피해자는 성폭력 고충 지원체계에 따라 성고충전문상담관에게 지원과 보호를 요청할 수 있다. 성폭력 상담은 일반심리상담과는 달리 범죄혐의가 있어 징계와 처벌이 따르는 특성화된 상담이라 말 할 수 있다. 성폭력 상담을 위해서는 법률적 지식과 피해자 심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고도의 숙련된 상담전문성이 요구된다. 특히, 상명하복이 철저 하다못해 지시 불이행이라는 항목으로 처벌 가능한 군조직의 특성을 감안한다면 상담사의 전문성의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김시정과 최윤정(2022)의 연구는 병영생활전문상담관(군 상담관)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육과 수퍼비전의 방향을 제안할 목적으로 군 상담관이 인식하고 있는 수퍼비전 요구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살펴보았다. 군 상담관 13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실시하여 아이디어를 산출하고 이를 종합, 편집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67개 진술문을 산출하였다. 13명의 군 상담관이 진술문에 대한 유사성 분류를 한 결과를 활용하여 개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 상담관의 수퍼비전 요구는 (1) 군 상담 특수성을 반영한 수퍼비전, (2) 부대 상황에 맞는 상담 구조화에 대한 이해, (3) 사례유형별 군 상담 개입 방법, (4) 정신병리문제의 이해와 평가, (5) 사례개념화와 상담기술의 조언, (6) 군 상담관 고충의 이해와 지지, (7) 군 상담 가치에 대한 인정과 옹호의 7개의 군집으로 탐색되었다. 또한 군집별 중요도를 평정한 결과, 부대 상황에 맞는 상담 구조화 이해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군상담관을 위한 수퍼비전 실제와 관련 연구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 현희주와 신애자(2020)의 연구의 목적은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이 경험한 상담사로서의 발달 경험의 내용과 의미 및 본질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임무가 나라를 지키는 병사들을 상담하는 것이므로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발달경험을 연구하는 것은 상담관의 성장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병사들에게 효과적인 상담을 제공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연구는 병사들의 안녕과 군대 적응을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참여자들의 공통된 의미를 탐색했습니다. 이 연구를 위해 병영 전문 상담사 8명을 인터뷰했습니다. 수집된 자료는 Collaizzi(1978)가 제시한 7단계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최종적으로 144개의 주제, 29개의 주제 군집,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습니다. 5개 범주는 '병영상담사가 된 동기 및 과정', '병영상담사로서 경험한 어려움', '병영상담사로서의 긍정적 경험', '병영상담사로서의 역량 개발', '병영상담사로서 발달 경험의 의미'입니다. 병영생활상담사로서의 발달 경험은 그들에게 자신이 살아있다는 것, 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마침내 자신을 받아들이고 사랑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참고문헌

  • 이미정 외. (2019). 군성고충전문상담관제도. 국방부 연구용역보고서.
  • 이민선, & 곽대훈. (2020). 군 성폭력피해자지원을 위한 성고충전문상담관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16(3), 131-146.
  • 김시정, & 최윤정. (2022). 군 상담관이 인식한 군 상담 수퍼비전 요구에 대한 개념도. 상담학연구, 23(6), 229-258.
  • 현희주, & 신애자. (2020). 병영생활전문상담관의 상담자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군사학논집, 76(2), 151-180.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