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

Public Policy Wiki
JK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3월 4일 (월) 10:28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의 개념과 특징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는 지역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지역밀착형 시설로서, 단순히 건물을 조성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역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참여하여 소통과 공존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지역의 문화생태계를 만들어 나가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1]

  • 지역주민의 문화여가 향유 기회 확대: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는 공연, 전시, 도서 등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문화여가 향유 기회를 확대한다.
  • 지역 문화생태계 조성: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는 지역의 다양한 문화 활동을 지원하고 지역 예술가들의 활동을 촉진하여 지역 문화생태계를 조성한다.
  • 지역 사회 활성화: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는 지역주민의 소통과 공존을 촉진하여 지역 사회를 활성화한다.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의 운영 및 지원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자체의 지원을 받아 운영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리모델링 사업비 및 운영비를 지원하고, 지자체는 유휴시설 또는 기존시설의 부지와 건물(또는 공간)을 확보하고 총 조성사업비의 70% 이상을 지방비로 확보하여야 한다.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기반으로 운영된다. 지역 주민들은 문화동호회 활동, 자원봉사, 프로그램 기획 등 다양한 방식으로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의 운영에 참여할 수 있다.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의 사례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의 사례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부산문화재단이 위치한 ‘감만 창의문화촌 감만’은 폐교가 된 옛 동천초등학교 건물을 리모델링해 만든 복합문화커뮤니티 공간이다. 이곳은 부산문화재단의 사무공간과 문화예술인이 상주하며 창작활동을 펼치는 창작공간, 각종 예술교육시설, 커뮤니티 홀 및 주민복지시설인 감만종합사회복지관이 갖춰져 있다.
  • 경기도 시흥시의 ‘시흥시민문화센터’는 시흥시의 대표적인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이다. 이곳은 공연장, 전시실, 다목적홀, 도서관, 어린이집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지역주민의 문화여가 활동을 지원하고 지역 문화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의 향후과제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는 지역 문화 활성화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들이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 지역주민의 참여와 소통 활성화: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는 지역주민의 참여와 소통을 기반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소통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 지역 문화의 특성과 연계성 강화: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는 지역의 특성과 연계된 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지역 문화의 정체성을 강화해야 한다.
  •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운영 모델 마련: 복합문화커뮤니티 센터는 지역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바탕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운영 모델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