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해외유입모기매개감염병관리

Public Policy Wiki
토피아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3월 25일 (월) 14:28 판 (새 문서: = 개요 = === 사업목적 === 바이러스성 모기매개감염병의 국내 유입 예방 및 유입시 신속한 대응을 통해 국내 모기감염 및 바이러스 토착화 방지 === 기본방향 === * 조기인지 및 발생양상 파악 * 철저한 환자 관리 * 모기 방제 * 사전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교육, 훈련 및 홍보 강화 === 대상감염병 === 황열, 뎅기열, 웨스트나일열,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감염증...)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사업목적

바이러스성 모기매개감염병의 국내 유입 예방 및 유입시 신속한 대응을 통해 국내 모기감염 및 바이러스 토착화 방지

기본방향

  • 조기인지 및 발생양상 파악
  • 철저한 환자 관리
  • 모기 방제
  • 사전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교육, 훈련 및 홍보 강화

대상감염병

황열, 뎅기열, 웨스트나일열,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감염증

관리정책

관리정책 - 감시, 역학조사, 관리, 예방, 매개체 관리로 구성
감시 역학조사 관리 예방 매개체 관리
  • 환자
    • 전수 감시
    • 집단발생
  • 병원체
    • 균주 분리 동정
    • 의심균주확인
    • 혈청형 / 유전자분석 등
  • 환경
    • 매개모기 및 유충 감시
  • 발생 규모
  • 전파 경로
  • 감염원 및 병원체규명
  • 환자
    • 환자 조기 발견 및 치료
    • 격리
  • 접촉자
    • 발병 여부 확인
    • 노출 후 예방 조치(필요시)
  • 환경
    • 거주지 환경 관리
    • 방역조치
  • 위험지역 여행객 대상 홍보
  • 예방접종
  • 매개 모기 밀도 및 분포 등 감시
  • 매개체 방제 가이드라인 개발 및 방제관련 교육 등 방제 관련관리

주요사업내용

  • 감염병 발생감시사업
    • 감염병의 발생과 분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
    • 유행 발생의 조기 발견 및 예측과 신속한 대처
    • 감염병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자원 배분
  • 감염병 매개체 감시 및 방제
    • 매개체 감시(서식여부, 분포, 밀도 등)를 통해 감염병 유입 시기 및 유행양상 예측
    • 국내 서식하고 있는 매개체에 대한 효율적인 방역을 수행하여 감염경로를 차단
  • 대응체계 구축
    • 해외 여행시 감염예방, 해외유입환자 발생시 조치사항, 국내 자체 환자 발생 및 유행시 조치사항으로 구분하여 대응체계 구축
  • 기관 간 협력 체계 구축
    • 지역 내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자, 보건의료인 단체 등 지역사회 내의 조직들과 협조체계를 구축

해외유입 모기매개감염병 감시체계 사업 운영

  • 매개모기의 해외유입 가능성이 높은 국제공항 및 국제항 주변의 모기 다발생지역 모기감시를 통해 해외유입 모기매개감염병의 국내 전파 예방 및 토착화 방지

질병 개요

황열

황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열성질환

병원소

: 모기, 사람 및 영장류

매개체

: 모기(이집트숲모기,흰줄숲모기)

전파경로

  • 감염된 매개모기에 물려 전파되거나 혈액을 통한 전파(수혈, 주삿바늘 등)

잠복기

: 3~6일

주요증상

  • 대부분의 경우 감염기간은 짧고 완전히 회복함
  • 경증은 갑자기 발열, 두통이 나타나 48시간 이내에 좋아짐. 일부에서는 체온에 비하여 서맥(맥박이 느린 것)을 보임
  • 중증의 경우 섭씨 40도에 이르는 고열이 갑자기 나타나고, 심한 두통, 오심, 구토, 복통, 근육통을 동반하여 황달과 출혈성 경향을 보이며, 이런 증상이 3일 정도 지속 된 후 수 시간 내지 하루정도 열이 없는 시기가 오고, 다시 열이 나면서 환자상태가 악화됨. 이 때 신부전, 간부전이 동반되고 피를 토하게 되며, 중추신경계가 영향을 받으면 뇌막염, 뇌염의 증세를 보이고 경련이 나타날 수 있음
  • 대개 후유증 없이 회복되지만 드물게 심근손상, 부정맥, 심부전 등을 보일 수 있음

치사율

: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경우 5%, 중증 황열은 20~50%

환자관리

: 환자 혈액 및 체액격리, 접촉자 관리 필요 없음

예방

  • 황열백신접종(필수 접종국가 존재)
  • 황열 유행지역에서는 모기기피제, 모기장 등을 사용하여 모기 물림 방지

뎅기열

뎅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

병원소

: 모기, 사람

매개체

: 숲모기류를 통해 전파

전파경로

  • 감염된 매개모기에 물려 전파, 주산기감염, 수직감염, 혈액을 통한 전파(수혈, 장기이식 등)

잠복기

: 5~7일

주요증상

  • 뎅기 바이러스 감염이 되면 뎅기열, 뎅기 출혈열, 뎅기쇼크 증후군 등으로 진행
  • 발열기(Febrile phase)
    • 일반적으로 2~7일정도 지속
    • 심한 두통, 안와통증, 근육통, 관절통 및 뼈 통증, 홍반 및 반구진 발진,출혈성 반점, 자반병, 구강출혈 등
  • 급성기(Critical phase/Plasma leak phase)
    • 해열 이후부터 1~2일정도 지속되며 4일까지도 진행됨
    • 대부분의 환자는 이시기에 회복되지만 일부 중증 뎅기열로 진전 · 흉막 삼출, 복수, 저단백혈증, 혈액농축을 동반 · 쇼크상태가 지속된 경우 환자들은 심각한 출혈성 징후(토혈, 혈변, 하혈 등) · 드물게는 간염, 심근염, 췌장염, 뇌염이 발생
  • 회복기(Recovery or Convalescent phase)
    • 발진은 피부가 벗겨지거나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음

치사율

: 약 5%(조기 치료시 1%, 치료가 늦어진 경우 20%)

환자관리

: 환자 혈액 및 체액 격리, 접촉자 관리 필요 없음

예방

  • 모기기피제, 모기장 등을 사용하여 모기 물림 방지

웨스트나일열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감염질환

병원소

: 모기 및 조류(까마귀, 까치, 어치, 참새목 등)

매개체

: 주로 집모기류(빨간집모기, 지하집모기 등), 금빛숲모기, 일본숲모기

전파경로

  • 감염된 매개모기에 물려 전파, 주산기감염, 수직감염, 혈액은 통한 전파(수혈, 장기이식 등)

잠복기

: 2~14일(일반적으로 2~6일)

주요증상

  • 신경계 비침습 질환(Non-neuroinvasive disease)
    • 발열, 오한, 주로 허약감, 두통, 식욕감퇴, 근육통, 구역, 구토, 발진, 림프절병증, 안구통 등
  • 신경계 침습 질환(Neuroinvasive disease)
    • 수막염, 뇌염, 급성 이완성 마비(acute flaccid paralysis) 또는 급성의 중추 혹은 말초 신경계 이상

치사율

: 신경계 감염을 일으킨 경우는 약 10%

환자관리

  • 수혈, 장기이식, 출산, 모유수유 등 전파 가능성에 대한 주의, 접촉자 관리 필요 없음

예방

  • 모기기피제, 모기장 등을 사용하여 모기 물림 방지
  • 웨스트나일바이러스 감염 의심되는 조류 취급시 개인보호장비 작용

치쿤구니야열

치쿤구니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 질환

병원소

: 모기, 사람 및 영장류

매개체

: 숲모기류(이집트 숲모기, 흰줄숲모기 등)

전파경로

  • 감염된 매개모기에 물려 전파, 혈액은 통한 전파(수혈, 장기이식 등)

잠복기

: 1~12일(일반적으로 3~7일)

주요증상

  • 주 증상으로는 급성 발열, 관절통 등이며 그 외에도 두통 근육통, 관절 부종 또는 발진이 있으며 피로가 수주까지 지속
  • 심근염, 뇌수막염, 길랑-바레 증후군, 뇌신경마비, 눈 질환(포도막염, 망막염)과 골수염, 간염, 급성신질환 등 중증 합병증

치사율

: 극히 낮음

환자관리

: 환자 및 접촉자에 대한 격리 필요 없음

예방

  • 모기기피제, 모기장 등을 사용하여 모기 물림 방지

지카바이러스감염증

지카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 질환

병원소

: 모기, 사람 및 영장류

매개체

  • 숲모기류(이집트 숲모기, 흰줄숲모기 등)

전파경로

  • 감염된 매개모기에 물려 전파, 성접촉, 수직감염, 수혈감염 가능

잠복기

: 3~14일

주요증상

  • 반점구진성 발진과 함께 다음증상 중 2개 이상 증상 동반
    • 발열, 비화농성결막염/결막충혈, 관절통, 근육통. 관절주의 부종 등
  • 대부분 경미하게 진행, 감염되어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불현성 감염자가 80%
  • 신경학적 합병증(길랭-바레증후군) 등의 중증 합병증 발생 가능하나 드물게 보고
  • 임신부가 감염되었을 경우 신생아 소두증과 연관이 있음이 보고

치사율

: 극히 낮음

환자관리

: 환자 격리 필요 없음

예방

  • 모기기피제, 모기장 등을 사용하여 모기 물림 방지


예방수칙

여행전

  • 질병관리청 홈페이지에서 여행지역별 주의해야 할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확인 * 나라별 감염병 정보는 질병관리청 홈페이지(www.kdca.go.kr→감염병→해외감염정보→해외감염병NOW) 및 질병관리청 모바일 사이트(m.kdca.go.kr→감염병→해외감염정보→해외감염병NOW)에서 확인 가능
  • 모기 퇴치 제품(기피제, 모기장, 모기향 등) 및 밝은 색의 긴팔 상의와 긴바지 의류를 준비
  • 임신부는 지카바이러스감염증 환자 발생국 여행을 출산 이후로 연기를 고려
  • 여행을 연기할 수 없는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주의사항 및 태아의 건강상태를 체크

여행중

  •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에서 생활
  • 야외 외출시에는 긴팔 상의 및 긴바지 의류(가능한 밝은 색)를 착용하고, 숙소에서는 모기장, 모기향 등 모기 퇴치 제품을 사용
  • 모기 기피제는 허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노출된 피부나 옷에 엷게 바르고, 눈이나 입, 상처에는 사용 금지
  • 모기 퇴치 제품 사용시 자세한 주의사항 확인 후 사용 * 모기기피제 사용시 주의방법 등은 제품에 동봉된 설명서 또는 식약처 홈페이지(http://www.mfds.go.kr)에서 확인 가능

여행후

  • 귀국한 뒤 2주 이내 의심증상(발열, 발진, 관절통, 근육통, 결막염, 두통 등)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최근 해외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
  • 증상이 발생하지 않아도 방문국가별 헌혈 보류기간에 헌혈을 금지
  • 지카바이러스 환자 발생국가를 방문자는 남녀 모두 증상에 상관없이 귀국 후 최소 3개월간 임신연기, 성관계를 피하거나 콘돔을 사용
  • 산전 진찰을 받던 의료기관에서 주기적으로 태아 상태를 모니터링

모기회피방법

모기기피제

  • 기피성분으로 DEET, Icaridin(=picaridin), eucalyptus oil(PMD), IR3535 등이 함유된 스프레이 또는 바르는 모기 기피제 준비
  • 허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노출된 피부나 옷에 엷게 바르고, 눈이나 입, 상처에는 사용 금지
  • 야외 활동시에 주로 사용하고 건물 내에 들어와서는 바른 부위를 물로 깨끗이 세척 * 약효는 주로 3∼4시간 정도 지속
  •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

살충제

  • 숙소 내에 모기가 침입하였을 경우 사용하며 모기를 향하여 직접 분사
  • 모기가 눈에 잘 띄지 않을 경우 주로 어둡고 구석진 곳을 향하여 분사
  • 분사 중에는 분사하는 사람 외에는 입실을 피하고, 분사 후 실내의 공기가 외부의 공기와 교환된 후 입실

안전한 숙소 꾸미기

  • 문과 창에 방충망을 설치하고, 만일 방충망이 없을 때는 반드시 잠자리 둘레에 모기장을 사용
  • 모기장에 구멍난 곳이 없는지 확인
  • 방충망이 있더라도 문을 여닫을 때 모기가 따라 들어 올 수 있고, 침입한 모기는 에어로졸 살충제를 이용하여 제거

관련 사이트

감염병포털https://dportal.kdca.go.kr/pot/index.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