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말산업육성사업

Public Policy Wiki
신행정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6월 11일 (화) 22:01 판 (새 문서: == 1.말산업의 정의 및 특징 == 정의 : 말의 생산·사육·조련·유통 ·이용 등에 관련된 제1차,2차,3차 산업 분야까지 연관되는 복합사업 특징 : 식용 목적이 아닌 살아있는 상태(생축: 生畜)로의 말을 활용하여 부가가치 및 일자리 창출 == 2. 말산업 육성현황 == 배경 : 전략적인 승마산업 육성으로 연관산업 확장, 종합적인 말산업 육성 필요 경과 : 말산업육성법 제정(...)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말산업의 정의 및 특징

정의 : 말의 생산·사육·조련·유통 ·이용 등에 관련된 제1차,2차,3차 산업 분야까지 연관되는 복합사업

특징 : 식용 목적이 아닌 살아있는 상태(생축: 生畜)로의 말을 활용하여 부가가치 및 일자리 창출

2. 말산업 육성현황

배경 : 전략적인 승마산업 육성으로 연관산업 확장, 종합적인 말산업 육성 필요

경과 : 말산업육성법 제정(‘11.3.9)으로 정부 차원의 육성 근거 마련

▪ 말산업육성법 제정 : ‘11. 3. 9.

▪ 말산업육성 종합계획 : 농식품부장관 수립(5년 단위)

▪ 말산업육성전담기관 지정 : 한국마사회 지정(‘12.7.6.)

▪ 말산업 전문 자격제도 운영 : 말조련사, 장제사, 재활승마지도사(3종)

▪ 말산업 통계실태조사 (‘13년~)

▪ 말산업특구 지정 및 지원 : 제주(’14.1.2.), 경기/경북(’15.6.22.), 전북(‘18.7.9.

추진성과 : 기반확충 및 저변확대를 통해 지속 성장, 코로나-19 영향으로 일시 침체되었으나 회복 중

▪말산업 규모: (’13) 32,094억→ (’19) 33,161억→(’20) 13,476억 → (’22) 31,934억

▪승마인구(정기): (’13) 38,867명→ (’19) 57,046명→(’20) 42,315명 → (’23) 66,640명

▪종사자수(일자리): (’13) 17,963명→ (’19) 23,633명→(‘20) 21,726명 → (‘23) 22,097명

3. 제3차 말산업육성종합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