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경관농업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경관농업의 개념과 특징

경관농업이란 농산물을 이용한 농촌경관을 지역관광의 자원으로 활용하여 농가소득 증대, 지역경제 활성화 등 경제적인 이득을 창출하는 농업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경관농업은 농촌의 자연스러운 특징을 살리는 농업으로 농촌체험 프로그램과 같은 관광객을 위한 프로그램과 연계되는 경우가 많다. 경관농업을 통해 지역 특산물 판매 증대, 관광 수입 증대, 주민 취업 기회 확대 등 경제적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다.[1]

경관농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농산물 생산과 경관 보존을 동시에 추구하는 농업 형태이다.
  • 농촌의 자연스러운 특징을 살리는 농업이다.
  • 농촌체험 프로그램과 같은 관광객을 위한 프로그램과 연계되는 경우가 많다.

경관농업의 경제적 효과

경관농업은 다음과 같은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 지역 특산물 판매 증대: 경관농업을 통해 생산된 농산물은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아 판매량이 증가할 수 있다.
  • 관광 수입 증대: 경관농업은 지역관광의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관광 수입을 증가시킬 수 있다.
  • 주민 취업 기회 확대: 경관농업과 관련된 다양한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

경관농업의 정책적 지원

농어촌 경관 및 경관농업과 관련한 대표적인 정책 사업은 경관보전직불제이다. 경관보전직불제는 지역별로 특색 있는 경관작물을 재배하여 농어촌 경관을 아름답게 가꾸고 공익적 기능을 증진함으로써 도농교류 및 농어촌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취지에서 도입된 사업이다.

경관보전직불제의 지원 대상 지역은 전국의 읍, 면 지역 및 준농촌지역 내의 농지로, 경관의 형성을 위하여 경관작물의 식재면적이 경관작물은 2㏊ 이상, 준경관작물은 10ha 이상 집단화되어 있어야 한다. 경관작물은 170만원/㏊, 준경관작물은 100만원/㏊의 직불금이 지원된다.

연구동향

박구원(2005)[2]는 고창청보리밭을 중심으로 연구하여 경관농업의 실용적 특징이 무엇인가를 제시하였다. 본고에 따르면 경관 농업 농장이 "붐" 상태를 넘어 경쟁력 있는 산업으로서 굳게 자리잡기 위해서는 단순한 이벤트 장소로서의 기능이 아니라 지역 관광 또는 산업의 주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논지에 따라 본고는 경관 농업 농장을 효과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개발 요건과 7단계 개발 모델을 제시히였다.

정철모(2005)[3]는 농촌지역에서 최근 급속히 등장하는 경관농업의 특성화 및 소득증대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경관농업의 전략을 위해 실행할 수 있는 방안들을 세 가지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경관농업의 영역이 지역농업의 여건에 부합하도록 재배열 및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경관농업을 산업으로 발전시킴으로써 농민소득을 증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경관농업이 그린 투어리즘 및 도시-농촌 교류와 밀접히 연계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철모 & 박미호(2007)[4]는 전북 고창군 공음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경관농업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창군이 녹색 투어리즘의선두에 설 수 있도록 고창군의 경관농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제시하였다. 먼저, 경관조경의 개발은 계절별 생태학적 재배방법 및 웰빙트렌드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한다. 다음으로, 지역 주민들의 수입을 증대하기 위해 주민들의 노력으로 생산된 경쟁력 있는 시골 녹색 제품 및 다양한 녹색 관광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창의적인 지역의 리더가 경관농업의 개발 및 녹색관광의 장소 마케팅을 주도해야 한다.

외부링크

각주

  1. NABIS 정책용어사전
  2. 박구원. (2005). 고창청보리밭을 통해 본 경관농업의 실용적 특징. 관광연구저널, 19(2), 83-97.
  3. 정철모. (2005). 경관농업의 특성화 및 소득증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19(1), 153-166.
  4. 정철모, & 박미호. (2007). 한국의 경관농업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전라북도 고창군 공음면 사례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3(3), 1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