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광주형 일자리 이슈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이슈 요약

<그림 1> 광주형 일자리 이슈 마인드맵

광주형 일자리 모델은 사회적 합의와 혁신적인 노사관계를 바탕으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고용을 확대하려는 한국의 새로운 시도이다. 이 모델은 지역 산업의 특성에 맞추어 설계되어, 광주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 계획은 노동 시장의 불평등 문제와 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해결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광주형 일자리는 노동자와 기업 간의 상생 협력을 강조하면서,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과 함께 근로 조건의 개선에 중점을 둔다.

이러한 모델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협력을 바탕으로 구축되었다. 지방 정부, 기업, 노동 단체 등이 함께 참여하여 지역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사회의 다양한 요구와 기대를 반영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광주형 일자리는 또한 지역 내 산업의 다각화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포함되어 있다.

총체적으로 볼 때, 광주형 일자리는 지역 경제의 활성화와 더불어 사회적 가치와 노동의 질을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 모델은 향후 다른 지역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지역 경제 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슈 전개과정

광주형 일자리는 2014년 지방선거에서 윤장현 광주시장 후보가 공약으로 내세운 정책으로, 노·사·민·정이 사회적 대타협을 통해 일하고 싶은 기업을 만들어보자는 구상에서 시작되었다. 2018년 6월 현대차그룹이 투자의향서를 제출하면서 사업이 본격화되었으나, 노동계와 전문가들의 반발로 두 차례 협상이 무산되었다. 2023년 7월 현재, 광주시는 현대차와 재협상을 준비하고 있다.

하위 이슈별 관련 주체의 입장

<그림 2> 광주형 일자리 이슈 픽토그램

광주광역시

생산 차종은 전기차 등 친환경 차량 배정을 원한다.

최소 7만 대 이상을 생산해 판매하는 것을 현대차가 보증해 줄 것을 요구한다.

원·하도급 개선을 위해 적정 단가를 보장하는 장치를 마련해 달라고 요구한다.

현대차

임단협 유예 조항을 넣어야 투자할 유인이 된다고 주장한다.

원·하청 관계에서 하청업체의 임금을 보장하는 안을 반대한다.

현대·기아차 노조, 민주노총

임단협 유예 조항은 근로기준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주장한다.

광주형 일자리의 평균 임금은 현대차 평균 임금의 절반 수준으로, 하향평준화될 것을 우려한다.

현대차의 글로벌 생산능력이 과다한 상황에서 광주형 일자리 공장 설립은 국내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슈의 주요 이슈

임단협 유예

광주시와 현대차는 임단협 유예 조항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노동계는 임단협 유예 조항이 근로기준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주장한다.

적정임금과 적정 근로시간

광주시는 초임 연봉 3,500만 원, 근로시간 주 44시간 등을 요구하고 있다.

노동계는 임금 하향 평준화 정책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사업의 지속가능성

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 불가피성으로 인해 사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광주시는 독일 슈투트가르트와 메르세데스-벤츠사 사례를 제시하며 사업의 성공을 자신하고 있다.

정책적 함의 및 해결 과제

광주형 일자리 모델 이슈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 광주형 일자리 모델은 제조업의 위기, 대기업의 해외 공장이전, 양극화 등 한국사회가 직면한 구조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혁신모델이다.
  • 광주형 일자리 모델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노·사·민·정 간 사회적 대타협과 이해관계 조정이 필요하다.

광주형 일자리 모델은 한국사회의 노동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의미 있는 변화의 물꼬를 만들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들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 노·사·민·정 간 사회적 대타협

  - 임단협 유예, 적정임금, 적정 근로시간 등 핵심 쟁점에 대한 사회적 대타협이 필요하다.

  - 노동계의 참여를 확대하고,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합의를 도출해야 한다.

  • 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 대응

  - 자동차 산업의 구조조정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를 대비해야 한다.

  -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성공적으로 안착시켜 일자리 창출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 지역 경제 활성화

  - 광주형 일자리 모델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 지역 기업과 협력업체의 참여를 확대하고, 지역 내 연관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

참고문헌

  • 이지은, & 염지선. (2019). 광주형 일자리에 내재된 갈등 관계 파악을 통한 정책적 함의: 갈등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서. 한국갈등학회보, 5(1), 55-80.
  • 윤상용, & 정현우. (2020). 광주형일자리 정책 효과성 제고를 위한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 연구. 재정정책논집, 22(1), 37-68.
  • 전남일보, "[윤장현 정책 공약] 광주형 좋은 일자리 1만개 창출", 2014.06.03.
  • 한겨레, "꼬이는 ‘광주형 일자리’…노조 경영참여 등 ‘평행선’", 2018.11.16
  • 조선일보, "광주시 "현대차와 협상, 계속하겠다"", 2018.12.06
  • 동아일보, "광주형 일자리 사실상 타결…폴크스바겐 사례 벤치마킹, 광주형 일자리란?", 2018.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