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국가 항생제 내성 감시체계(Kor-GLASS)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1]

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는 AMR 세균 문제에 대응 하는 국가행동계획의 일환으로 GLASS 플랫폼 기반의 새로운 AMR 세균 감시체계, Kor-GLASS (Global Antimicrobial Resistance Surveillance System in Korea)를 2016년에 설립하였다. Kor-GLASS는 대표성(representativeness), 전문화 (specialization), 표준화(harmonization) 및 현지화(localization)의 4가지 개념을 고려하여 고안되었다. 국내 AMR 세균 감시체계로서의 대표성을 확립하기 위해 국내 종합병원 중 500-1000병상 규모의 병원을 거점별 수집센터로 선정하였으며, 질병관리청 항생제내성관리과가 국가 조정센터(National Coordinating Center, NCC), 국립 보건연구원 약제내성연구과가 국가표준실험실(National Reference Laboratory, NRL)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전문화를 위하여 임상미생물 전공 진단검사의학 전문의가 상근하고, 재단법인 진단검사의학재단에서 시 행하는 우수검사실 신임인증 평가에서 우수검사실로 인 증 받은 종합병원을 수집센터로 선정하였다. 표준화를 위 하여 국제보건기구의 GLASS 플랫폼 기반으로 임상정보 를 수집하고, 균종별 전문 분석센터를 설치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국가 간 내성현황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Kor-GLASS의 현지화를 위해, GLASS 플랫폼에서 제시하 는 감시대상 세균 이외에 국내에서 중요도가 높은 Entero coccus faecium, Enterococcus faecalis, Pseudomonas aeruginosa 등의 MDR 세균을 대상 균종으로 포함시켰고, GLASS가 권장하는 AST 대상 항생제에 내성 특성 파악에 필요한 중요 항생제를 추가하여 세균의 감수성 프로파일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하였으며, 분자역학적 분석을 추가 하여 내성기전의 분석이 가능하게 하였다.


집센터로 6개 권역(서울, 경기 북부, 강원, 충북, 전남, 경 남)별 지역거점 종합병원 1개씩 선정하였으며, 4개의 균 종별 분석센터를 구축하였다. Kor-GLASS의 시범운영 결과는 국제보건기구와 관련 전문가들로부터 가장 모 범적인 AMR 세균 감시시스템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이며 발전적인 사업을 구상할 수 있었다. Kor-GLASS 1기 사업(2017-2019)에서는 시범사업의 기 존 6개 수집기관에 2개 기관을 추가하여, 총 8개 권역(서 울, 경기 북부, 경기 남부, 강원, 충북, 전남, 경남, 제주)의 8개 기관을 수집센터로 선정하였고, 5개의 분석센터를 운영하였다. 또한, 독립적인 시험관리센터를 설립하여 KorGLASS에 참여하는 모든 수집센터와 분석센터는 수집ㆍ분석 과정에 대한 질 관리를 받아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Kor-GLASS 2기 사업(2020-2022)은 1기 사업의 운영체계에 1개 권역(경상북도)을 추가하여 9개 권역의 9개 수집센터에서 균주와 임상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또한, 균종별로 세분화된 총 7개의 분석센터를 운영하여 전문성을 높였다.


Kor-GLASS는 기존 AMR 세균 감시체계와 비교하였을 때 몇 가지 뚜렷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Kor-GLASS 는 균주 수집 기반 감시체계로서 수집된 균주를 대상으로 표준화된 시험법을 통해 내성률을 산출하였기 때문에, 데이터 기반 감시체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검사실간 검사법 및 판정기준의 차이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항생제 감수성 표현형에 따라 내성유전자와 분자 역학적 특성을 함께 분석하여 MDR 세균의 내성기전과 클 론 분포 변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세번째로, 균주의 특성뿐 아니라 환자의 임상정보를 동시에 수집하여 지역사회감염과 병원감염을 구분하여 내성률을 산출할 수 있었으며, 입원구분별로 외래, 일반병동, 중환자실에서 각 주요 내성균에 의한 감염발생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네 번째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수집, 분석된 자료를 관리하고, 별도의 시험관리센터를 통해 질관리를 시행하여 자료 의 신뢰도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Kor-GLASS의 내성률 산 출 결과는 국가데이터로서 GLASS에 제공된다. 현재 국제 보건기구의 GLASS에는 2022년 5월 기준으로 총 121개 국가가 참여하고 있으며 매년 참여 국가의 내성률 현황을 보고서로 출간하고 있어, 지역별, 소득별로 국가간 내성률 비교가 가능하게 되었다.

목적

  • 국내 주요 항균제 내성균의 내성 현황을 감시하여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 정책에 활용

사업내용

  • 국가 항균제 내성균 조사(Kor-GLASS): 국내 종합병원 중심으로 주요 항균제 내성균을 수집하여 특성분석(항생제 감수성 검사 및 유전자 검사)을 통해 내성률을 조사
  • 국가 항균제 내성정보 모니터링(KARMS): 국내 중소·요양병원, 의원 대상 주요 항균제 내성균의 내성률 현황 및 추이 파악

< 국가 항생제 내성균 조사·감시체계 >

구분 Kor-GLASS

국가 항균제 내성균 조사 (Korea-Global Antimicrobial Resistance Surveillance System)

KARMS

국가 항균제 내성정보 모니터링 (Korean Antimicrobial Resistance Monitoring System)

대상

의료기관

국내 10개 권역의 종합병원 및 종합병원과 지리적 연관성이 있는 동일권역의 요양병원 중소병원, 요양병원, 의원
수집항목 대상검체에서 확인된 대상균종 전수를 수집하고, 그 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 및 유전자 분석 등 특성분석 수행 후 결과 수집 자동화장비를 통해 검사된 대상균종의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 수집
대상균종 황색포도알균, 장알균 2종, 폐렴알균, 대장균,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디피실균, 폐렴막대균, 녹농균, 아시네토박터균속, 살모넬라균속, 이질균속, 임균, 칸디다균속, 수막염균, 헤모필루스인플루엔자균(15종) 황색포도알균, 장알균 2종. 폐렴알균, 대장균, 폐렴막대균, 엔테로박터균, 녹농균, 아시네토박터바우마니균(9종)
대상검체 혈액, 뇨, 대변, 비뇨생식 검체, 뇌척수액, 하기도 모든 검체
활용 「국가 항균제 내성균 조사」* 연보 발간

2) WHO GLASS에 항생제 내성정보 공유

「국가 항균제 내성균 조사」* 발간

* 게시장소 : One Health AMR 포털시스템(https://www.kdca.go.kr/nohas/) > 자료실


법적근거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약칭: 감염병예방법 )

[시행 2024. 1. 1.] [법률 제19715호, 2023. 9. 14., 일부개정]

제17조(실태조사) ① 질병관리청장 및 시ㆍ도지사는 감염병의 관리 및 감염 실태와 내성균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표하여야 한다. <개정 2010. 1. 18., 2015. 7. 6., 2016. 12. 2., 2020. 3. 4., 2020. 8. 11.>

② 질병관리청장 및 시ㆍ도지사는 제1항에 따른 조사를 위하여 의료기관 등 관계 기관ㆍ법인 및 단체의 장에게 필요한 자료의 제출 또는 의견의 진술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을 받은 자는 정당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협조하여야 한다. <신설 2020. 3. 4., 2020. 8. 11.>

③ 제1항에 따른 실태조사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실태조사의 시기, 방법, 절차 및 공표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개정 2010. 1. 18., 2020. 3. 4.>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 약칭: 감염병예방법 시행규칙 )

[시행 2024. 1. 1.] [보건복지부령 제990호, 2023. 12. 29., 일부개정

제15조(실태조사의 방법 및 절차 등) ① 법 제17조제1항에 따른 실태조사(이하 “실태조사”라 한다)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7. 6. 2., 2018. 9. 27., 2020. 6. 4., 2020. 9. 11.>

1. 의료기관 감염관리 실태조사

가. 「의료법」 제47조에 따라 의료기관에 두는 감염관리위원회와 감염관리실의 설치ㆍ운영 등에 관한 사항

나.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인력ㆍ장비 및 시설 등에 관한 사항

다. 의료기관의 감염관리체계에 관한 사항

라.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교육 및 감염예방에 관한 사항

마. 그 밖에 의료기관의 감염관리에 관하여 질병관리청장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2. 감염병 실태조사

가. 감염병환자등의 연령별ㆍ성별ㆍ지역별 분포 등에 관한 사항

나. 감염병환자등의 임상적 증상 및 경과 등에 관한 사항

다. 감염병환자등의 진단ㆍ검사ㆍ처방 등 진료정보에 관한 사항

라. 감염병의 진료 및 연구와 관련된 인력ㆍ시설 및 장비 등에 관한 사항

마. 감염병에 대한 각종 문헌 및 자료 등의 조사에 관한 사항

바. 그 밖에 감염병의 관리를 위하여 질병관리청장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3. 내성균 실태조사

가. 항생제 사용 실태에 관한 사항

나. 내성균의 유형 및 발생경로 등에 관한 사항

다. 내성균의 연구와 관련된 인력ㆍ시설 및 장비 등에 관한 사항

라. 내성균에 대한 각종 문헌 및 자료 등의 조사에 관한 사항

마. 그 밖에 내성균의 관리를 위하여 질병관리청장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② 실태조사의 실시 주기는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다. 다만, 질병관리청장 또는 시ㆍ도지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제1호 및 제2호에 해당하는 실태조사를 수시로 실시할 수 있다. <신설 2020. 6. 4., 2020. 9. 11.>

1.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실태조사: 3년

2. 감염병 실태조사: 3년

3. 내성균 실태조사: 매년

③ 실태조사의 방법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17. 6. 2., 2020. 6. 4.>

1. 감염병환자등 또는 내성균과 관련된 환자에 대한 설문조사 및 검체(檢體) 검사

2. 의료기관의 진료기록부 등에 대한 자료조사

3. 국민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청구 명세 등에 대한 자료조사

4. 일반 국민에 대한 표본 설문조사 및 검체 검사

④ 질병관리청장 또는 시ㆍ도지사는 실태조사를 전문연구기관ㆍ단체나 관계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실시할 수 있다. <개정 2017. 6. 2., 2020. 6. 4., 2020. 9. 11.>

⑤ 질병관리청장 또는 시ㆍ도지사는 법 제17조제1항에 따라 실태조사의 결과를 질병관리청 또는 시ㆍ도의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공표해야 한다. <신설 2020. 6. 4., 2020. 9. 11.>

⑥ 제1항부터 제5항까지의 규정에서 정한 사항 외에 실태조사에 필요한 사항은 질병관리청장이 정한다. <개정 2017. 6. 2., 2020. 6. 4., 2020. 9. 11.>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 약칭: 감염병예방법 시행령 )

[시행 2023. 9. 29.] [대통령령 제33757호, 2023. 9. 26., 일부개정]

연구동향

김도균 외(2022)는 Kor-GLASS는 항생제 감수 성 시험 및 내성 유전자 특성 분석의 표준시험법을 제시하였고, 시험관리센터를 통해 정도관리를 받는 신뢰도 높은 감시체계를 구축하였으며, 이는 사람-동물-환경의 원헬스 AMR 세균 감시체계 구축의 초석이 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진행 중인 원헬스 AMR 다부처 사업과의 밀접한 협력을 통해 이 목표에 다가가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앞으로 시행될 Kor-GLASS 3기(2023-2025)에서는 개 정판 GLASS 매뉴얼을 기반으로 기존 시스템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더욱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산 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Hwa-Su, K(2014)는 전국 중소병원 항균제 내성 감시를 통하여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내성률 추이를 분석하여 항균제 내성균에 의한 감염증의 적절한 치료와 관리대책 마련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2007-2014년 사이에 전국 중소병원에 내원한 환자에서 분리된 주요 내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 Enterococcus faecalis, Enterococcus faecium, Streptococcus pneumoniae,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Enterobacter cloacae, Pseudomonas aeruginosa, Acinetobacter baumannii 등의 항균제 감수성을 5개 임상검사센터를 통해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상오(2022)는 세계에서 각 국가별로 운영 중인 의료관련감염 감시체계의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에 도입 되지 않은 새로운 감시지표를 발굴하여 국내 도입가능성에 대해 감염관리전문가들이 평가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새로운 감시지표의 도입, 감염감시 영역의 확대, 감염감시 참여 의료기관 확대, 새로운 벤치마크 지표, 새로운 감염감시 방 법의 도입 등 5가지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새로운 감시지표의 도입과 새로운 벤치마크 지표에 대해 살펴 보고 새로운 감시지표의 도입에서는 다제내성균 감시, 항생 제 내성률과 항생제 사용량 감시 등을 검토하였다.


김동숙 외(2018)은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의 중점과제로 항생제 사용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정례화 됨에 따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소에서는 국내 항생제 사용 현황을 분석하고, 항생제가 부적절한 사용 영역에 대한 문제를 모니터링해서 항생제 적정 사용 방안을 마련코자 하였다. 또한, 국내 항생제 사용과 내성간의 연관성 분석을 통 해 국내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항생제 내성감소 방안을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김도균, 최민혁, 홍준성, 신종희, & 정석훈. (2022). 국가 항생제 내성 감시체계 Kor-GLASS 의 현황과 전망.

Hwa-Su, K., Jong-In, K., & Chan, P. 국내 중소병원 항균제 내성 모니터링 (2007-2014 년).

이상오. (2022). 한국에서 의료관련감염감시의 새로운 지표 도입. 의료관련감염관리, 27(2), 93-95.

김동숙, 이근우, 오로라, 이은지, 이다희, 김신우, ... & 조유미. (2018). 항생제 사용량 심층분석 및 내성정보 연계방안 검토.

  1. 김도균, 최민혁, 홍준성, 신종희, & 정석훈. (2022). 국가 항생제 내성 감시체계 Kor-GLASS 의 현황과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