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기승능력인증제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

승마이용자의 기승능력을 등급화 시켜 객관적으로 심사하고 이를 인증하는 제도로서, 안전하고 체계적인 승마 이용을 권장하고 보급하기 위한 제도이다.

목적 및 취지

기승능력인증제도는 승마입문자에게 성취감과 지속적인 기량 향상 동기를 부여할 수 있고, 기승자의 수준에 맞는 말을 배정할 수 있게 되어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승능력인증제도에 맞추어 표준화된 프로그램에 따라 교육과 강습이 진행될 수 있게 되고, 제도시행에 참여하는 승마 시설을 인증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승마 시설에 대한 높은 신뢰감을 제공 할 수 있다.

국가별로 제도 형태와 운영 방식은 다양하나 현재 프랑스, 독일, 미국, 일본 등 주요 말산업 선진국에서 시행 중이며, 국내의 유사한 제도로는 태권도 단증이 있다.

구분 이용자 참여 승마장 주관단체
혜택 • 단계별로 체계적인 교육 가능

• 표준화된 승마 교육 가능

• 자신의 기승수준 인증

• 승마시설 이용 편의성 증가

• 표준 교육프로그램 제공 가능

• 회원수 증가 및 재가입률 상승

• 이용자 만족도 향상

• 안전사고 발생 감소

• 부가적 수익 기대

• 단체 인지도 및 신뢰도 향상

• 제도시행에 따른 수입 발생

• 제도시행에 따른 역할 증가

시행내용

필기시험 → 구술시험 → 실기(말 돌보기, 말 타기, 말 끌기)

인증등급 체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