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다제내성 환자관리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목적

다제내성 결핵환자관리를 철저히 수행함으로써 지역사회 내 내성결핵 전파를 차단하고 다제내성치료성공률 제고

내용

대상 : 다제내성 또는 광범위약제내성 결핵으로 진단 및 신고한 환자

  1. ※ 항결핵제 내성코드가 U84.30 또는 U84.31로 신고한 결핵환자

항결핵주사제 투약 연계 및 비용 지원

대상 : 입원명령 해제 후 치료 의료기관으로부터 관리보건소에 항결핵주사제(Km, Amk, Cm, S) 투약 연계를 의뢰받은 결핵환자

지원내용 : 항결핵주사제 투약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 지원(1·2차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환자본인부담금)

절차 및 방법

  • 치료 의료기관 : 항결핵주사제 투약 연계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항결핵주사제 투약의뢰서’를 작성하여 발부
  • 관리보건소 : 환자의 전염성 소실 여부를 확인하고 환자가 제출한 ‘투약의뢰서’의 용량·용법, 투여방법에 따라 항결핵주사제를 투약하고 부작용 모니터링(보건소 내 주사제 투약이 불가한 경우 관내 1·2차 의료기관 연계)
  • 투약 의료기관 : 환자가 제출한 ‘투약의뢰서’의 용량·용법, 투여방법에 따라 항결핵주사제를 투약하고 부작용 모니터링

다제내성 결핵 신약 사전심사제 운영

대상 : 리팜핀내성/다제내성 결핵을 진료한 주치의가 신약 처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신약 사용 전 심사를 요청하는 경우

절차 및 방법 : 다제내성 결핵 치료 신약 3종(베다퀼린, 델라마니드, 프레토마니드)은 사용전 결핵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사전심사를 거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급여 인정 여부를 결정

사전심사 프로세스

사전심사 프로세스: 사전심사 요청, 사전심사, 결과통보, 결과확인 및 청구
사전심사 요청 사전심사 결과통보 결과확인 및 청구
  1. ·요양기관은 사전심사에 필요한 구비 서류 준비
  2. ·질병관리청에 심사 요청(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
  1. ·사전심사위원회 회의 개최
  2. ·질병관리청 결과 회신
· 요양기관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사전심사 결과’ 통보 · 요양기관은 사전심사 결과를 확인하고 약제 처방 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급여 청구

현황

‘20년 전국 의료기관 대상 수요조사 실시를 통해 50개 기관 참여

‘21년 전국 의료기관 대상 수요조사 실시를 통해 55개 기관 참여

다제내성결핵 전문의료기관 역할

다제내성 결핵 진단·치료

국가결핵관리지침에 의한 결핵관리사업 수행

다제내성결핵 컨소시엄 참여

의료인 대상(의사 및 다제내성결핵전담간호사) 교육 이수

다제내성결핵 컨소시엄 추진체계

[다제내성결핵 컨소시엄 추진체계]

※ 교육 문의 : 대한결핵협회 중앙교육원 (☎1544-5035)

다제내성결핵 전문의료기관 선정기준

시설기준

  • (병상) 다제내성 결핵환자가 입원 가능한 음압병상 구비
  • (검사) 다제내성 결핵환자 진단검사*의 원내 수행(단, 약제감수성검사는 외부 위탁 가능)
    1. * 흉부 X선, 흉부 CT, 객담 도말검사, 객담 배양검사, 약제감수성검사 등
  • (치료) 다제내성 결핵환자 치료약제 처방 가능


연구동향

박진경(2010)은 최근 국내 민간병원에서 광범위내성결핵의 비율은 과거에 비하여 호전이 없었으며 광범위내성결핵과 다제내성결핵의 치료성공률은 여전히 낮았으나 중단율은 상당히 높다고 밝혔다. 낮은 체질량지수와 진행된 방사선학적 소견은 전체 사망률에 있어 위험인자로 작용하였다. 국내에서 민간병원에서의 광범위다제내성결핵을 포함한 다제내성결핵의 전파 및 진행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결핵 관리 정책 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강영애(2014)는 다제내성 결핵은 치료가 어렵고 환자들의 주 연령층이 30-50대임을 감안할 때 사회적, 경제적 손실 또한 매우 크며 다제내성 결핵이 전염성 질환임을 고려하면 공중보건학적으로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개량화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따라서 내성 발생을 예방하고, 신속히 약제내성을 진단하여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최영순 외(2016)는 결핵치료의 장기화 현황을 살펴보고, 결핵치료의 장기화 및 다약제내성결핵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결핵환자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핵환자의 치료 기간에 따른 결핵환자 현황, 결핵 치료기간의 장기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다약제내성결핵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혔다.

참고문헌

박진경. (2010). 국내 민간병원에서 치료한 다제내성결핵 환자의 치료실태.

강영애. (2014). 다제내성 결핵의 진단과 치료.

최영순, 태윤희, & 김지윤. (2016). 우리나라 결핵 환자의 치료 장기화와 다약제내성결핵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1(3), 344-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