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문화도시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문화도시의 개념

문화도시란 문화예술, 문화산업, 관광, 전통, 역사, 영상 등 지역별 특색 있는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문화창조력을 강화하고, 시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도시를 말한다.[1]

문화도시의 등장 배경

문화도시의 개념은 유럽연합에서 추진하고 있는 유럽문화수도(유럽문화도시)에서 유래하였다. 유럽문화수도는 1984년부터 시작된 사업으로, 매년 한 도시를 선정하여 문화예술 행사와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유럽문화수도는 문화를 통해 도시의 정체성과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 1980년대 이후 문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 1980년대 이후 경제성장에 따라 문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기 시작하였다. 문화는 단순한 오락이나 여가활동이 아니라, 사회의 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었다.
  • 유럽문화수도사업의 확산: 1984년부터 유럽연합에서 추진하고 있는 유럽문화수도사업은 문화도시의 개념과 모델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유럽문화수도사업은 한 도시가 일년 동안 유럽 문화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해당 도시는 문화예술 행사와 프로그램, 문화시설 조성 등을 통해 문화적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의 문화적 활력을 증진한다.
  •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일환으로서의 문화도시: 문화도시 정책은 지역균형발전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기도 한다. 문화도시로 지정된 지역은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국내 문화도시 추진 사례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지자체 단위로 문화도시 전략을 추진해 왔다. 2002년 대선공약사업인 광주아시아문화중심도시(2004~)를 시작으로, 2005년에는 경주역사문화도시, 전주전통문화도시, 공주부여백제역사문화도시 등이 지역거점 문화도시로 지정되면서 국가정책으로 본격화되었다.

문화도시의 정책적 의의 및 향후 과제

문화도시 정책은 문화의 가치와 중요성을 제고하고, 문화가 사회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정책은 문화자원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지역균형발전을 촉진한다. 마지막으로 문화도시 정책은 문화자원을 활용한 창의적인 문화콘텐츠 개발과 생산을 촉진함으로써 문화창조력을 강화한다.

문화도시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들이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 문화도시의 개념과 기준의 명확화: 문화도시의 개념과 기준이 명확화되어야 문화도시 정책의 목표와 방향이 명확해지고, 문화도시의 효과적인 추진이 가능해진다.
  • 문화도시의 지속가능성 확보: 문화도시 정책이 단발적인 이벤트로 끝나지 않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문화도시의 운영과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과 지원이 필요하다.
  • 문화도시의 지역민 참여 확대: 문화도시 정책이 지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화도시의 운영과 관리에 지역민의 참여가 확대되어야 한다.

연구동향

서우석& 조광호(2019)[2]는 문화도시 사업이 지향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해-유럽문화수도와 한국의 문화도시 사업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교를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유럽문화수도 사업과 한국의 문화도시 사업의 진행 과정을 비교하여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도시 사업은 도시재생, 포용적 시민참여,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지역사회의 사회적 가치를 증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문화도시 사업이 지역의 문화적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 공동체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정지은(2022)[3]은 문화도시 정책 동향 및 사례 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정책 동향과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도시 조성사업은 지역 문화발전을 위한 거점 공간, 문화예술인 육성, 시민 참여 활성화,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지역 문화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문화도시 조성사업이 지역의 문화적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 공동체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정지은& 정지영(2022)[4]은 문화도시부평의 추진과정과 향후 방향성에 관한 연구한 바있다. 본 연구는 문화도시부평의 추진과정과 함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도시부평은 대중음악의 역사를 바탕으로 지역 문화도시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향후 지역 역사성과 정체성을 살린 뮤직 클러스터 조성, 다양한 축제와 음악산업 생태계 구축을 통해 문화도시 브랜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문화도시부평이 지역의 문화적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 공동체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원혜연&나윤빈(2022)[5]은 문화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자체 문화도시 조례 현황 및 주요 요소 비교 고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도시 조례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고,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문화도시 조례는 일반 요소, 부분 요소, 차별 요소, 특별 요소로 구성되며, 지역 특성과 문화도시 사업의 목표에 따라 조정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문화도시 조례가 지역의 문화적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 공동체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외부링크

각주

  1. NABIS 정책용어사전
  2. 서우석, & 조광호. (2019). 문화도시 사업이 지향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한 이해-유럽문화수도와 한국의 문화도시 사업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교를 바탕으로. 문화경제연구, 22(1), 129-160.
  3. 정지은. (2022). 문화도시 정책 동향 및 사례 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화산업연구, 22(2), 181-191.
  4. 정지은, & 정지영. (2022). 문화도시부평의 추진과정과 향후 방향성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22(3), 239-249.
  5. 원혜연, & 나윤빈. (2022). 문화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자체 문화도시 조례 현황 및 주요 요소 비교 고찰. 문화예술경영학연구, 15(3), 3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