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사회성과연계채권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

사회성과연계채권(social impact bond, SIB)이란 민간의 투자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공공사업을 추진하고 성과보상자(정부)는 성과목표 달성 시 약정된 기준에 따라 사후적으로 예산을 집행, 민간에 상환하는 계약으로 민관협력 제도의 한 유형이다.

주요 내용

sib

사회성과연계채권의 기본구조 및 작동 흐름은 다음과 같다.

①사회문제 해결에 관심이 있는 사회적 투자자가 사업 운영기관과 계약을 체결하고 투자를 결정한다.

②운영기관은 실제 사업을 추진할 수행기관과 서비스 이행계약을 맺는다.

③수행기관은 사업 종료 후 진행 결과를 정부에 보고한다.

④정부는 사업 수행 결과를 측정해 약속한 보상금을 지급한다.

⑤운영기관은 보상금을 받아 투자자들과 계약한 원금과 성과급을 돌려준다.

기대효과

  • 모든 이해관계자가 실질적인 사회적 성과에 집중 가능
  • 정부는 성과가 있을 때만 자금을 집행하여 예산 절감 및 정부 재정부족 문제 개선
  • 민관협력, 정부의 사업실패 리스크를 분산하여 혁신적인 시도 가능

사례

우리나라는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인지능력 향상(서울시, 2016년)과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의 탈수급(경기도, 2017년)을 목표로 한 사회성과연계채권 사업이 실행됐고, 두 사업 모두 기준목표치 이상 달성하는 성과를 올렸다.

유의사항

  • 보상사업에 적합한 사업

– 효과검증이 필요한 신규 사업

– 사회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는 사업

– 현재 정부예산사업보다 공익을 더 잘 달성할 수 있는 사업

  • 보상사업 방식으로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

– 평가지표가 객관적・정량적일 것

– 성과보상금(사업비+인센티브) < 장기적 행정/사회비용 절감액을 달성할 것

참고문헌

한겨례. (2013.3.26). ‘사회성과연계채권’이란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579772.html

한겨례. (2022.1.15). ‘사회성과연계채권’을 활용하자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27434.html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7). 사회성과연계채권 도입방안

같이 보기

대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