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개념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는 농촌마을이 지닌 유·무형의 잠재적 자원을 주민들이 발굴하여 이를 특성화·사업화·산업화함으로써 마을의 경제적·사회적 활력을 높이는 것이다. 여기서 마을의 색깔은 농업생산, 유통가공에서 도농교류, 농촌개발 및 생활여건 개선에 이르기까지 농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모든 형태의 마을 발전 요소를 포괄한다.[1]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특징 및 사업단계

  • 주민 주도: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는 주민이 주도하고 다양한 전문가가 참여하여 마을 발전의 과제를 도출하고 마을 발전계획을 수립하여 단계적으로 계획을 실행해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상향식 정책: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는 중앙정부에서 계획을 짜고 지자체에서 사업비를 확보하여 주민들에게 내려주는 ‘하향식’ 정책과 달리, 주민들이 마을별로 자원을 발굴하고 발전계획을 수립하면 정부가 지원해주는 ‘상향식’ 정책의 롤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 다양한 유형: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는 농업형, 유통가공형, 도농교류형, 생활기반형, 생활만족형 등으로 유형을 나누어 접근할 수 있다.

사업의 단계는 예비-진입-발전-선도단계로 나뉘며, 각 단계별로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 예비단계에서는 주민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하고, 진입단계에서는 마을발전계획 수립을 지원한다. 발전단계에서는 마을사업을 추진하고, 선도단계에서는 마을의 우수사례를 확산한다.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의의

  • 주민 참여를 통한 마을공동체 활성화: 주민 주도로 마을발전계획을 수립하고, 다양한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마을공동체를 활성화할 수 있다.
  • 마을의 특색을 살린 지역경제 활성화: 마을의 특색을 살린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주민들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다.
  • 농촌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 주민 주도형 마을사업을 통해 농촌지역의 자립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색깔있는 마을 만들기의 향후 과제

  • 주민 참여를 더욱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컨설팅을 강화하고, 마을사업의 성과를 공유하는 등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사업의 지속성 확보: 사업의 성과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사업의 체계적인 운영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농촌 마을공동체 활성화 지원법의 제정을 통해 사업의 근거를 마련하고, 현장활동가 육성 확대 등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