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서울시 청년취업사관학교(SeSAC)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

서울시 청년취업사관학교인 SeSAC(Seoul Software ACademy)[1]는 SW혁신 인재의 양성과 적소공급을 위해 서울특별시와 서울경제진흥원(SBA)이 조성하였다.

새싹(SeSAC)은 캠퍼스의 교육브랜드로 서울시에서 SW인재 양성을 위해 ‘싹’을 틔우고 성장시켜, 개발자를 꿈꾸는 청년들이 ‘SW개발자로 데뷔’ 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브랜드 소개

SeSAC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컨셉

SeSAC(새싹)은 실질적으로 싹을 틔우기 위해 더 높은 곳을 향해 도전하고 한단계 한단계 성장을 추구하는 인재들의 공간이자 의지의 표현입니다.

대표 슬로건

Life Transform, 꿈꾸는 개발자 데뷔코스

선발 절차

지원대상자

20~30대 청년구직자인 서울시민

교육생 선발

기본자격 확인 → 기초지식레벨테스트 → 면접

교육분야

소프트웨어 개발자 양성 과정

디지털전환인재 양성 과정

교육비

무료[2]

캠퍼스 안내

캠퍼스명 주소 연락처
영등포캠퍼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9길 30 106동 02-3667-7304~5
금천캠퍼스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로 70 02-6673-1804
마포캠퍼스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점로 31길 21 서울창업허브 본관 9층 02-2078-2183
용산캠퍼스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109(나진전자월드상가) 3층 02-2078-2182
강동캠퍼스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로 429 4층 02-6249-1602
강서캠퍼스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61길 29 SBA국제유통센터 A동 02-3665-9183
동작캠퍼스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10 스페이스살림 2층 02-2078-2183
광진캠퍼스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76, 광진문화예술회관 1,2층 02-2078-2185
서대문캠퍼스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5나길 19 02-2078-2185
중구캠퍼스 서울시 중구 창경궁로5다길 27 6층(상생지식산업센터) 02-2279-9022
종로캠퍼스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283 5층(서울디자인지원센터) 02-2088-8823
성동캠퍼스 서울특별시 성동구 자동차시장1길 64 02-6216-3803~4
성북캠퍼스 서울특별시 성북구 오패산로3길 12(BT-IT융합센터 2층) 02-6216-3804
동대문캠퍼스 서울시 동대문구 용두동 39-1, 청량리역 한양수자인 그라시엘 3층 02-2088-2792
도봉캠퍼스 서울시 도봉구 마들로13길 61 씨드큐브 창동 7층 02-6249-7400

교육 로드맵

교육 프로그램 핵심 키워드 '3F'

필요기술(Funtionality): 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개발 역량 중심의 커리큘럼

현장중심(Field): 개발역량은 물론 협업능력, 프로세스,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실무인재 양성

유연함(Flexibility): 기술변화에 신속한 접문을 위해 최신 트렌드 교육 기법 운영

Life Transformation, 꿈꾸는 개발자 대뷔 코스: 새싹(SeSAC)

교육대상 정의 교육특징 교육기간 목표
A그룹 (80%내외) 기초레벨 이상의 학습수준을 갖춘 그룹

활용과정 - Working-Level Developer

현장실전형 중심 3개월 ~ 6개월 내외 기업 현장에서 즉시 활동이 가능한 주니어개발자 수준의 SW 인재 양성
Pre-A그룹 SW개발 분야에 관심과 학습 의지가 있는 그룹

입문과정 - Start-Level Developer

자기주도 학습&코칭 1주 ~ 2개월 내외 A그룹 수준 진입
Post-A 그룹 실무 레벨 업이 필요한 현업 재직 및 활동그룹

재직자 과정 - Developer-Level

재직자 실무 역량강화 과정 실무 레벨 업

교육 프로그램 구성 체계도

과정도출 및 커리큘럼 구성

① 교육 콘텐츠

레벨 테스트, 마인드 셋(Mindset)

기본 역량: [서비스]-[직무]-[기술스택][3]

특화 역량: [직무특화/응용역량][4]

② 교육 기법

강의, 프로젝트/현장실습, 외주연계, 플립러닝[5], 동료학습, 온라인, 멘토링/튜터/코칭/퍼실/토론

우수 교육 파트너 발굴 및 커리큘럼 확정

① 우수 민간 SW 교육 파트너 발굴 및 유치

② 수요기업 참여연계 보완(CEO, CTO, 개발책임자 등)

③ 커리큘럼 확정

교육과정 운영: 실전중심(learning by Doing)

① 교육생 선발(홍보, 모집, 레벨 테스트)

② 교육 과정 진행(수요 기업 연계 프로젝트 진행)

③ 레벨 업 측정

일자리 연계 / 사후 프로그램

① 일자리 연계(데모데이[6], 포트폴리오, 외주, 개발연구 등)

② 개발자 커뮤니티 지원

③ 기타 사후 연계 지원 프로그램 제공

교육 프로그램 특징

  • 교육과정이 기업의 수요에 기반하여 구성 - 새싹은 과정 기획 전, 200개가 넘는 기업현장에서 실제로 필요로 하는 기술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여 과정과 커리큘럼을 구성한다.
  • 검증된 교육기관은 물론 현업 실전 전문가로부터 개발역량을 직접 전수 - 교육기관은 공모과정을 거쳐 교육역량과 취업연계까지 검증된 곳이며, SW온라인 플랫폼 운영자, 대기업 개발팀장 출신 등의 현업 실전 전문가가 소규모 집중 클래스도 운영한다.
  • 기본역량뿐만 아니라 특화/응용역량까지 충분히 경험 가능 - 새싹은 개발자로서 기본적으로 갖춰야할 기본역량(분야-직무-스택) 외에 특화/응용역량을 제공하기 위해 전통적인 일방향 강의방식 보다 학습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동료학습, 집중멘토링/코칭, 실전프로젝트, 자기주도 방식 등의 교육방식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 현장 수요기업과 연결하여 취업과정을 적극적으로 도움 - 새싹은 단순 교육 목적이 아닌 실제 개발자로 데뷔할 수 있는 일자리까지 연계하기 위해 취업 후 실제 일을 할 때 필요한 소통 및 협업 역량 등 소프트스킬 교육과 현장 수요기업과 적극적인 연계와 매칭하는 사후 프로그램도 지속 제공할 계획이다.

연구동향

진상기, 박영원(2017)의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기 미래대응 전략체계 도출을 위한 빅데이터분석, 전문가 심층인터뷰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도출한 AHP 분석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의 협동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책환경이 점점 복잡하게 되고 정책이 고도로 전문화됨에 따라 공공정책은 더 이상 한 기관이나 단일 정부부처에 의해 추진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이전, 산업시대의 정책형성과정과 비교했을 때, 제4차 산업혁명기 미래대응 정책은 관련된 정보의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매우 높고, 참여자의 범위 및 그 성격의 모호성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진 것이 사실이다.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는 우리나라의 제4차 사업혁명 대응 준비에 대한 평가를 다음과 같이 정리 한바 있다. 우선 강점 요인으로는 세계 최고 수준의 ICT 인프라와 최신기술에 친근한 국민성 그리고 정부의 높은 R&D 투자 비중, 글로벌 수준의 제조업 산업 기반 마지막으로 국민들의 높은 교육열을 제시하였다. 반면 약점은 핵심기술 보유 스타트업에 대한 가치 인정(투자・M&A) 미흡과 신기술・신산업에 과감히 도전하는 기업가정신 및 이를 장려하는 조직문화 부족, 고품질 데이터 인프라 부족, 획일적 교육체계, 채용 중심 고용정책, 경직적이고 수직적인 규제체계를 그 약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을 정리하면, 대한민국 미대대응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전략 가치구조는 주요 기술의 개발과 확산 그리고 미래인재양성을 위한 기술적 접근과 그 정책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며, 다음으로 융합혁신산업의 발굴과 도입이 강조되어야할 산업분야 정책이 중요함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한국고용정보원(2017)의 연구는 디지털 시대의 직무역량 변화에 대한 분석과 예측을 통해 신직무 개발과 미래 인재 양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단순노무 직종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직무를 수행 하는 전문직에서도 일자리가 감소하고, 근로자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능력도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제조업의 생산라인에서도 반복적인 활동보다 지식 집약적인 활동이 늘어날 것으로 보여 생산공정 개발, 감독, 점검 및 조정 등의 역할이 강화될 것이다. 한편 인공지능, 로봇, 사물인터넷 등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새로운 변화가 예상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고도의 전문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는 업무에서는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전 산업에 지능화된 ICT가 접목되면서 근로자가 수행하는 직무와 이들에게 요구하는 역량이 크게 변화될 것으로 보인다. ‘신직무 개발'은 기술 및 경제 환경 변화에 따라 “기업 내 에서 새롭게 발생하는 직무와 새로운 사업기회의 포착에 따라 필요한 직무를 발굴하는 것"을 말한다. 미래 직업은 대부분 다양한 학문이 융합되고 리더십, 의사소통 능력, 협업 등 소프트스킬과 산업에 대한 지식, 신기술, 소프트웨어, 데이터 기술 등으로 새로운 직무분석과 직무설계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진상기, 박영원. (2017). "제4차 산업혁명의 미래전략체계에 관한 연구 :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고용정보원. (2017). "4차 산업혁명 미래 일자리 전망" p 118-120, p 131-132.

각주

  1. 공식 웹사이트 - https://sesac.seoul.kr/common/greeting.do
  2. 단, 교육의지 제고 위해 예치금(최대 20만원) 부담 후 수료시 반환
  3. *기업수요조사 결과 반영
  4. * 전문교육기업 특화역량 접목
    • 기타 소프트 스킬: 직장예절, 협업 등
  5. 역진행 수업,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수업에서 학습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강의보다는 학생과의 상호작용에 수업시간을 더 할애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식
  6. 스타트업을 홍보해 투자, M&A, 구매, 채용, 홍보로 이어지는 기회를 제공하는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