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관리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수인성식품매개질환은 병원성 미생물(바이러스) 또는 독성물질에 오염된 물 또는 식품 섭취로 인하여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위장관 증상이 주로 발생하는 질환을 지칭하며 이러한 감염병을 관리하기 위하여 국가는 전수감시체계, 표본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는 식중독을 식품 섭취 에 따른 건강 장해 중의 하나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미생물 이 식품에 부착, 증식하거나 독성물질의 혼입 혹은 잔류에 따른 건강상의 장해라고 하였다. 여기서 콜레라, 세균성이 질, 장티푸스같은 법정전염병은 식중독에 포함되지 않는다. 식중독은 위중하지 않은 병원성 미생물이나 독성 화학물질 이 함유되어 있거나 혹은 오염된 식품을 섭취한 후 단기간 에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설사, 복통 등의 급성위장염 증상 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살모넬라균, 장염비브리오균, 황색포 도알균, 바이러스 및 독극물 중독 등에 의한 질병이다. 수인 성/식품매개전염병과 감염성식중독은 실험실 진단을 통하 여 최종적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혼동되어 사용되기도 하며, 집단발생 원인이 비슷하고 관리대책도 원칙적으로 같기 때 문에 이 둘을 엄밀히 구분할 필요는 없다. 단지 수인성/식품 매개전염병은 전염병예방법에서 그 관리와 대책을 다루며 식중독은 식품위생법에서 관리와 대책을 다루므로 관련 법 령과 주무부서가 다르다는 사실을 명심하여야 한다[1].

전수감시체계 운영

1) 신고범위 및 방법

구분 신고범위
분류 감염병 환자 의사환자 병원체보유자
제2급감염병 콜레라
장티푸스
파라티푸스
세균성이질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A형간염
E형간염 X
제3급감염병 비브리오패혈증 X
  • (신고방법) 발생 또는 유행 시 24시간 이내, 감염병 발생 신고서 등을 작성한 후 질병관리청장에게 감염병관리통합정보지원시스템 또는 팩스를 이용하여 제출

2) 발생현황

감염병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제2급 콜레라 5 2 1 0 0 0
장티푸스 128 213 94 39 61 38
파라티푸스 73 47 55 58 29 31
세균성이질 112 191 151 29 18 31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138 121 146 270 165 211
A형간염 4,419 2,437 17,598 3,989 6,583 1,890
E형간염* - - - 191 494 528
제3급 비브리오패혈증 46 47 42 70 52 46

* (2020.7월)제2급 법정감염병 추가

표본감시체계 운영

1) 신고범위 및 방법

  • (신고범위) 제4급감염병 중 장관감염증 20종
  • (신고방법) 지정된 표본감시기관에서 매주 화요일(전주 일요일~토요일) 표본감시 감염병 신고서를 작성한 후 질병관리청장에게 감염병관리통합정보지원시스템 또는 팩스를 이용하여 제출

2) 표본감시기관 지정기준

  • 상급종합병원
  •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 공공병원

3) 발생현황

종류 2020년 2021년 2022년
제4급 세균

(11종)

살모넬라균 감염증 1,939 2,999 3,082
장염비브리오균 감염증 55 61 50
장독소성대장균 감염증 55 82 136
장침습성대장균 감염증 4 10 12
장병원성대장균 감염증 110 360 920
캄필로박터균 감염증 3,435 3,368 3,173
클로스트리듐 퍼프린젠스 감염증 3,146 3,151 1,890
황색포도알균 감염증 66 136 136
바실루스 세레우스균 감염증 12 7 12
예르시니아 엔테로콜리타카 감염증 108 148 141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감염증 8 7 11
바이러스

(5종)

그룹 A형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1,416 1,053 1,226
아스트로바이러스 감염증 201 381 1,015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 192 400 2,562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3,219 4,082 4,673
사포바이러스 감염증 70 67 764
원충

(4종)

이질아메바 감염증 13 16 5
람블편모충 감염증 33 53 59
작은와포자충 감염증 4 4 9
원포자충 감염증 0 0 0
장관감염증 표본감시 지정기관 수 207 208 208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병원체감시

사업목적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발생의 원인규명, 전파차단 및 예측을 위해 감염 환자로부터 원인병원체를 확인하고 과학적으로 분석된 병원체의 특성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

표본감시기관

  • 설사질환 병원체감시 표본감시의료기관에 참여중인 의원급 의료기관
  • 급성호흡기감염증 표본감시의료기관 중 참여의사가 있는 병원급 의료기관

집단환자 발생감시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발생

  • 2명 이상이 동일한 음식물(음용수 포함)을 섭취하여 설사, 구토 등 유사한 증상(장관감염증 증상*)의 동시 발생
  • * 장관감염 증상 : 설사, 복통, 오심, 구토, 발열 등이 주 증상이며, 사례정의에 필요한 임상상 중 '설사'는 평소에 비해 더 많이 수양성 변이나 무른 변을 보는 경우 또는 1일 3회 이상 하는 경우
  • ** 의심 증상 발생양상 파악 등으로 역학조사 진행 중에 역학조사관이 판단하는 것으로 변동 가능

사업목표 및 내용

  • (사업목표)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발생의 조기감지, 역학조사 등을 통한 감염병 확산방지
  • 환자 발생 개요 파악 : 발생 지역, 발생 일시, 발생 장소, 발생 규모, 발생 경위, 신고 일시, 신고자, 주요 증상, 섭취식품 파악
  • 조사일시, 검사의뢰 현황, 조치사항, 향후 조치계획, 시·도 역학조사관 의견

발생현황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완화되며, 학교 및 직장 등 급식 증가 등으로 그동안 잠시 주춤하였던 집단발생 증가

1) 연도별 발생 현황

  • 2022년 발생 건수는 총 492건으로 지난 5년(2018∼2022년) 평균(499건) 비교하여 1.4% 감소
  • 2022년 사례 수는 총 7,436명으로 지난 5년(2018∼2022년) 평균(8,507명) 비교하여 12.6% 감소


* 2인 이상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집단발생 보고 기준

** 2022년 통계는 잠정통계임


2) 월별 발생현황

  • 2022년 월별 발생 현황은 지난 5년간(2018~2022년) 평균 발생 건수와 비교하여 1~4월은 감소한 양상이며, 5월부터는 지난 5년간 평균 발생 건수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음


3) 장소별 발생현황

  • 2022년 장소별 발생건수를 살펴보면 음식점에서 총 224건(45.5%)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어린이집(111건, 22.6%), 학교, 학원(83건, 16.9%) 순으로 발생

비상방역체계 운영

  • (사업목표)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발생 가능성이 높은 시기의 집단발생에 신속한 대응을 통해 지역사회 확산을 방지
  • (사업기간) 하절기(5∼9월), 설 및 추석연휴(감염병 발생 유행에 따라 변동 가능), 군중모임 행사기간
  • (감시대상)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설사
  • (사업내용)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집단환자 발생현황 전파

연구동향

Nan-Ok,(2018)은 2016년에서 2018년까지 3년간 수인성· 식품매개감염병 병원체 감시사업을 통해 수집된 세균 병원체 4,436건에 대하여 병원체별, 계절별, 연령별 발생동향을 분석하였다.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은 보건위생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적 요인 등의 변화에 따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발생하고 있어 지속적인 감시 및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협력병원 및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을 연계한 병원체 감시사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을 유발하는 원인병원체에 대한 자료의 축적과 지속적인 정보 제공을 통해 질병 예방 및 관리 대책 수립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임현술(2007)는 수인성/식품매개전염병과 감염성식중독을 포함하여 병원성미생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염성수인성/식 품매개질환을 총괄하여 유행 및 발생원인을 검토하였다. 역학조사에서 오염 식품을 추정하지 못한 사례가 많았고 대부분 물, 식품 등이 오염된 원인을 추정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역학조사를 할 때에는 물과 음식을 준비하던 과정을 자세히 묻거나 재연하여 오염의 근본 원인을 찾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산후 조리원과 신생아실에 서 감염성 수인성/식품매개질환이 집단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만 대부분 임상양상만 보고하고 원인 추적이 거의 없었고 이러한 경우에도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참고문헌

Nan-Ok, K., Sahyun, H., Jeong-Hoon, C., & Jam, H. K. 2016-2018 년 국내 수인성· 식품매개감염병원인세균 병원체 감시 현황.

임현술. (2007). 감염성 수인성/식품매개질환의 발생 원인. J Korean Med Assoc, 50(7), 582-591.

  1. 임현술. (2007). 감염성 수인성/식품매개질환의 발생 원인. J Korean Med Assoc, 50(7), 582-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