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스마트치안빅데이터플랫폼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스마트치안 빅데이터 플랫폼은 경찰·공공·민간이 협업하여 맞춤형 빅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경찰은 범죄양상 변화에 따른 선제적 대응과 시대적 여건에 부응하는 스마트 치안을 제공하고자 노력하는데 이를 위해 경찰 데이터에 위험예측·분석이 가능한 민간·공공 데이터를 결합하여 플랫폼으로 구축하였으며, 또한 범죄 예방·대응 주체의 과학적 의사결정 기반을 지원하며, 나아가 안전분야 ICT 기술 개발 및 치안 산업 생태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게다가 신종범죄의 선제적 대응이 가능한 플랫폼, 경찰·공공 ·민간 맞춤형 플랫폼, 범죄의 발생량과 원인을 찾아 대응하고 제공하는 예방치안 지원 플랫폼의 역할도 수행한다. 주관 업무부처는 경찰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다.

특징

경찰과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공공기관, 민간 부문이 협력하여 치안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시민 생활 안전 현황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고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협력적 거버넌스의 한 사례로 기능한다. 특히 민간 부문의 다양한 관련 기업들이 참여하여 공공 부문만 작동할 경우 저해될 수 있는 치안 서비스 품질과 효율성 저해를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참여 기관 및 업체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위하여 각 기관이 개별 보유하고 있던 공공 및 민간 부문의 범죄 데이터를 협약을 통해 제공받아 각 분야별 범죄 예방을 위한 질 높은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LH에서는 주변 환경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 등 안전한 도시 조성을 위해 필요한 주거 및 생활환경 데이터를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제공하고 있다. 사업지구 경계도, 토지이용계획도, 주택 노후도 등 치안 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개방된 1차년도 데이터는 주거, 상업, 교육, 문화, 녹지, 공업 등 다양한 도시 활동에 필요한 시설이 설치될 공간상 입지(배치) 계획을 쉽게 인지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속성 정보를 지도로 표현하여 제공하는 데이터로 물리적 공간에서 발생하는 각종 범죄 등의 분석을 위한 기반 데이터라 할 수 있다. 해당 데이터는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의 공간정보포털 및 LH 자체 보유 GIS뱅크 등을 통해 수집되는 기반 정보를 바탕으로 매월 정제‧가공하여 개방하고 있으며, 경찰에서 개방하는 112 신고 데이터, 범죄통계 데이터 및 지자체 등에서 개방하는 CCTV 정보, 생활인구 정보 등과 융합하여 실질적인 도시의 범죄예방 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다.

서울신용보증재단

서울신용보증재단이 제공하는 데이터는 서울시 빅데이터를 활용한 상권 관련 데이터로서, 총 17종의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권정보 데이터는 보통 분기 단위로 수집되며, 일부는 연 단위로 수집됩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가공, 정제를 거쳐 다음 분기에 업데이트되어 제공된다. 제시된 데이터표준화 가이드에 따라 별도 테이블 및 칼럼 정의를 재구성하고, 이에 따라 원천데이터를 가공하여 약 2,700만 건의 데이터를 1차적으로 적재하였으며, 특수문자, 구분문자, Null을 제거하는 등 약 5회 이상의 품질진단이 완료되어있다. 2차년도에는 40여종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스마트치안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본 재단의 데이터는 공동 연구를 통해 상권과 범죄위험지수 추천모형을 개발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지역, 시간대, 매출별, 업종별, 인구별 등 상권을 기준으로 범죄발생의 유형 혹은 빈도를 추정해볼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에는 보다 정밀하고 확대된 상권데이터를 준비하여 추가함으로써 범죄율 감소를 위한 모형 개발, 그에 따른 치안력 강화에 기여하게 될 것을 기대하며, 그 외 다양한 수요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융합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더치트

더치트는 국내 최대 사기피해 정보 공유 플랫폼으로서, 스마트치안 빅데이터 플랫폼에 '금융사기'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입금사기, 안전거래사칭사기, 보이스피싱 등의 다양한 사기유형에 대한 데이터를 다루고 있으며, 매일 가장 최신의 피해유형 데이터를 제공 및 업데이트하고 있다. 2006년부터 현재까지, 약 16년 간 수집된 금융사기와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금융사기에 이용된 은행 데이터, 물품 데이터 등)를 스마트치안 빅데이터 플랫폼에 제공하고 있다.

S2W랩

S2W랩에서는 2017년부터 다크웹의 한국어 포럼 및 한국어 불법 마켓 사이트를 발굴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으며, 각 사이트의 데이터를 원형 그대로 보존하여 월 단위로 제공하고 있다. 데이터는 사이트별로 구분되며, 메타 데이터를 통해 수집 시기 및 경로 등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원형 데이터로부터 게시글(원본글 및 댓글)의 제목, 내용, 게시 날짜를 추출하거나 게시글에 첨부된 이미지, 지리 정보 등의 파악이 가능하다.

지란지교데이터

지란지교데이터는 1일 1,000~2,000건의 피싱 URL, 불법동영상정보, 유해 URL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스마트치안 빅데이터 플랫폼에 제공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함께 신규데이터를 추가할 예정이다. 지란지교데이터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는 네트워크 보안, 온라인 수업 및 재택근무자 보호 등 사이버 공격에 노출되는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 가능하다.

이투온

민간경비 영역에서는 고객 시설물에 대한 침입, 화재 등 발생하는 사건별로 '발생일시', '사고유형', '발생지역'에 대한 통계 원표를 기록하였다. 이투온에서는 특히 스마트치안 빅데이터 플랫폼의 "지역 생활안전 융합데이터 센터"에서 민간경비 영역의 사건·사고에 대한 통계분석 및 AI 기반 예측 분석에 활용 가능한 데이터셋 제공을 위해 인구정보, 상권정보, 기상정보, 안전시설물 위치정보 등 사건·사고의 영향요인이 될 수 있는 데이터를 결합하여 다양한 데이터를 생산 및 제공하고 있다. "지역 생활안전 융합데이터 센터"에서 제공되는 14종의 데이터는 지역별, 시점별 사건·사고 발생의 예측 분석, 지역별 안전지수 산출 등에 활용 가능하며, 시설물의 공간정보 데이터는 GIS 시각화에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공되어 있다. 데이터 간의 결합은 사건·사고 발생일시의 시간 정보와 시군구 단위의 행정구역인 공간정보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며, 데이터 제공주기는 분기별이다. 지역별 사건·사고 관련 데이터 외에 기상관측소, 파출소, CCTV, 비상벨, 소방서 등의 생활안전 시설물의 위치정보 또한 별도로 제공하고 있다. "지역별 생활안전 융합데이터 센터"는 사건·사고 데이터의 활용성 증대를 위해 지역 단위를 최소화하고 영향요인의 추가 발굴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차년도에는 시군구 단위의 행정구역으로 결합하고 있는 데이터를 일정 격자 단위로 지역을 세분화하고 스마트가로등, 편의점 등 안전과 관련된 시설들의 위치정보와 백화점, 영화관 등 유동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집객시설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여 보다 정밀한 분석 결과 도출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주요 기능

빅데이터 마켓

관련 기업, 연구자, 시민 등이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제시하고 이를 연도별, 목적별로 구매 가능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없는 데이터의 경우에도 '맞춤 데이터 신청'을 통해 구매 가능 여부를 문의할 수 있으며 오픈 API 기능을 통해서 실시간 데이터의 현황을 최신화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석/시각화

분석 부분에서는 연구기관에 의해 진행된 분석 및 보고서를 열람하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스마트치안 빅데이터 플랫폼에서 진행하는 공모전의 공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분석/시각화 신청을 통해 맞춤형 분석이나 데이터 시각화를 요구할 수 있다.

혁신서비스

혁신서비스에서는 플랫폼에서 주요 시책으로 추진하는 우리동네안심지도, 112신고예측, 스탑피싱, 스마트치안 안전지도 등 생활에서 치안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주요 범죄 주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축되어 있다.

커뮤티니

커뮤니티에서는 개발자들의 정보공유, 경진대회, 인기 검색어 및 치안 네트워크 등 관련하여 교류와 소통의 장 뿐만 아니라 자료를 쉽게 검색하고 찾아볼 수 있도록 기능한다.

관련 링크

스마트치안 빅데이터 플랫폼

경찰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