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심뇌혈관질환 홍보사업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심뇌혈관질환 홍보사업은 사회마케팅(Social Marketing)에 입각한 건강행태 교정 및 선행질환(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비만) 예방차원의 ‘공중건강 캠페인’을 통해 심뇌혈관질환 관리 정책의 수행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근거에 기반한 정보제공을 통하여 심뇌혈관질환의 심각성과 예방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제고하며 이를 지원하는 사회적 여론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심뇌혈관질환은 위험요인 관리를 통해 예방 가능하며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홍보캠페인 효과는 검증되었다는 것을 근거로 한다. TV광고의 경우 메시지 도달범위가 광범위하여 비용에 비해 엄청난 효용가치를 가지는 미디어로 일반 공중의 태도 및 행동 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공익광고 분야에서 효과 를 검증였다. 또한 스탠포드 대학 건강캠페인 실험 결과, 미디어 및 홍보, 교육이 심뇌혈관질환 관련 정보습득 및 행동변화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심뇌혈관질환 현황

심뇌혈관질환은 우리나라에서 질병부담이 크고 주요 사망원인

  • 2021년 주요 만성질환 중(암 제외) 사망률이 가장 높은 것은 심장질환으로 인구 10만명당 61.5명으로 나타났으며, 폐렴에 이어 뇌혈관질환 44.0명 순임.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 급증

  • 순환기계질환 진료비는 9조 4천억원으로 암 진료비 7조원보다 높음
  • 고혈압, 당뇨병 등 선행질환 유병률 및 진료비 증가 추세 - 단일상병으로 가장 많은 진료비 사용 1, 2위(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연보, 국민건강통계 2019) ※ 고혈압 유병률 25.4%(’14) → 27.2%(‘19), 진료비 2.4천억원(’02) → 3.6조원(‘19) ※ 당뇨병 유병률 11.9%(’14) → 11.8%(’19), 진료비 1.6천억원(’02) → 2.7조원(‘19)
  • 고령화로 인해 발생률은 증가하는 한편 치료기술 발달로 치명률은 감소, 장애인구 증가에 따른 국가부담 급증 예상

심뇌혈관질환의 예방관리 수준 미흡

  •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은 심뇌혈관질환의 선행질환으로, 적절히 관리하면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관리 필요
  • 흡연, 음주 등 생활습관 요인은 전반적으로 정체 [생활습관 연도별 추이] (단위: %, 연령표준화, 19세 이상)

목표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에 대한 인지율 및 실천율 제고

[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 ]
  1. ① 담배는 반드시 끊습니다.
  2. ② 술은 하루에 한두 잔 이하로 줄입니다.
  3. ③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고, 채소와 생선을 충분히 섭취합니다.
  4. ④ 가능한 한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합니다.
  5. ⑤ 적정 체중과 허리둘레를 유지합니다.
  6. ⑥ 스트레스를 줄이고, 즐거운 마음으로 생활합니다.
  7. ⑦ 정기적으로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을 측정합니다.
  8. ⑧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을 꾸준히 치료합니다.
  9. ⑨ 뇌졸중, 심근경색증의 응급 증상을 숙지하고 발생 즉시 병원에 갑니다.

추진방향

‘자기혈관 숫자알기-레드서클 캠페인’의 지속적 홍보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주간(9월 첫 주)을 활용, 중앙-시도-시군구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전국 합동 캠페인 수행
  • 국민 행태 개선을 독려하고자 장기적 캠페인으로 추진하고 있는 레드서클 캠페인을 효과적으로 지속하기 위해 보도자료 배포 및 다양한 매체의 미디어 믹스를 통한 홍보 병행

교육‧홍보 콘텐츠의 효율적 활용 방안 모색

  • 홍보 메시지 전달에 용이한 형태로 기 제작 교육‧홍보콘텐츠 재가공 및 신규 매체 개발을 통한 지속 확산
  • 기 제작된 광고‧홍보 콘텐츠의 무상 지원으로 활용 확대

지자체 단위의 홍보 활성화 추진 및 다매체 활용 홍보 강화

  • 중앙 제작 홍보물의 배포 및 적극적 활용 독려
  • 중점 타깃에게 적합한 대중매체, 옥외매체, 온라인매체 등 접점별 매체의 전략적 구사

레드서클 캠페인

레드서클이란

  • ‘레드서클(Red Circle)’은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건강 캠페인의 심벌로 건강한 혈관을 상징적으로 표현
  • 질병관리청는 전문 학회와 함께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을 개발하고 건강한 혈관을 위한 ‘레드서클 캠페인’을 활발히 전개

캠페인 목적

시민참여 캠페인 및 언론 매체 홍보를 통하여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 수칙'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여 국민들의 인지율과 실천율 제고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주간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9월 첫째주)은 국민들에게 심근경색, 뇌졸중과 같은 중증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방법을 알리고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계기 마련을 위하여 지정됨(2014)

연혁

슬로건에 대한내용이 년도, 내용으로 구성
년도 내용
2006 심뇌혈관질환 위험성
2007 심뇌혈관질환 심각성
2008 심뇌혈관질환 예방 가능성 (심뇌혈관질환 예방과 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2009 실천 캠페인(신체활동)
2010 실천 캠페인(금연)
2011 -
2012 -
2013 100세 건강, 시작은 혈압관리부터
2014~ 자기혈관 숫자알기, 레드서클 캠페인

레드서클 캠페인

슬로건

개요

  • 일시 : 9.1. ~ 9.30. ※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 집중홍보 9.1~9.7
  • 방법 : 전국 곳곳에 혈관 수치 측정 및 건강상담이 가능한 건강부스를 설치·운영
  • 장소 : 홍보 가능한 장소(특히, 3040세대 직장인에게 캠페인 노출이 많은 장소)
  • 참여기관: 시·도 및 시·군·구 지자체(전국 보건소), 시도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지원단 등
  • 주요내용
    • 합동캠페인 슬로건(자기혈관 숫자 알기, 레드서클 캠페인) 메시지를 유지하며, 혈관 수치의 측정 및 결과 상담이 가능한 체험형태의 온·오프라인 건강부스(레드서클존)*를 운영 *레드서클 존 : 혈압·혈당·콜레스테롤 수치 측정 및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방법 등을 안내 받을 수 있는 장소(건강부스)를 지칭
    • 캠페인을 구성하는 기타 세부 프로그램은 시도 및 시군구 지자체에서 개별적으로 계획 및 수행

홍보콘텐츠

TV 공익광고

제작

년도

광고명 주요메세지 주요전략
2006 ‘결투’ 편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성 고지

메세지 단순화,

Creative 부각

2007 ‘엑스레이’ 편 생활습관 개선

필요성 고지 (뇌졸중편/심근경색편)

엑스레이 기법의

위협소구

2008 ‘예방수칙’편 9대 예방관리

수칙 고지

전문의 권고로

메시지 신뢰성 제고

2009 ‘레드서클’편 움직이는

습관 강조

건강한 혈관을 상징하는

‘레드서클’ 심볼 활용한 장기적 차원의 캠페인 전략 수립

2010 ‘침묵의살인자’ 편 금연으로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영화 예고편 같은

세련된 영상미로 주목도 제고

2014 ‘'자기혈관 숫자알기'편 본인의 혈관수치

인지의 중요성 고지

캠페인 중점 메시지인

수치의 시각적 강조

2014 ‘'생활습관개선'편 일상생활 속

생활습관 개선의 중요성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주목도 제고

2015 ‘'생활습관진단'편 직장인들의 생활습관 개선의 중요성 아나운서의 신뢰감 있는

모습을 활용한 메시지 전달

교육ㆍ홍보자료

구분 제작년도 자료명 주요내용
동영상등 2009 예방관리수칙 교육

플래시애니메이션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2013 고혈압 동영상 혈압관리의 중요성 강조

(인포그래픽 영상)

2013 당뇨병 동영상 혈당관리의 중오성 강조

(인포그래픽 영상)

2014 자기혈관 숫자알기 동영상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 인지 중요성 메시지 전달

(화이트보드 영상)

2014 생활습관 개선 동영상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 메시지 전달 (화이트보드 영상)

2015 건강한혈관 직장인 직장인들의 일상을 통해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 방법 안내 (직장인편)

2015 건강한혈관 어린이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율동 영상(어린이편)

2018 자기혈관 숫자알기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정상 수치 및 측정 권고
2019 건강을 지키는 습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2020 당신을 위기에서 구할 숫자는 자기혈관 수치 인지가 건강의 시작임을 강조
2020 혈관이와 두야의 위험한 겨울 심근경색과 뇌졸중의 조기증상 및 대처요령
2022 당신의 혈관은 안녕하십니까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실천이 행복으로 가는 지름길
연극

및 마당극

2009 교육문화연극

(행복은 멀리 있지 않아요)

직장과 가정생활에

지친 중년의 가장이 동료의 죽음을 통해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의 중요성을 깨닫고 생활 습관 개선을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

2010 건강마당극

(신비의 명약을 찾아라!)

바다 속 왕국의 백성들이

심뇌혈관질환으로 하나둘 쓰러지자 별주부는 명약을 구하라는 명을 받고 육지로 올라와 명약을 찾는 모험 끝에, 명약은 다름 아닌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생활수칙임을 깨닫게 된다는 내용으로 별주부전을 패러디

인쇄물 2011 역학과 관리 주요 질환 : 심근경색증, 협심증, 심부전, 뇌졸중,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혈증, 비만

주요 내용 : 개요, 역학, 임상양상, 진단, 예방, 치료, 대상별 맞춤정보, 합병증관리 및 재활, 기타 : FAQ(환자들이 잘못 알고 있는 상식, 최신뉴스 등 대주제 포함시키기 어려운 내용)

2011 예방관리수칙 소책자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2014 레드서클 캠페인 포스터 레드서클 캠페인
2014 레드서클 클린핑 포스터 레드서클 클린핑
2016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포스터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2016 캠페인 주간 포스터 캠페인 주간(9.1-9.7)
2016 자기혈관 숫자알기 포스터 자기혈관 숫자알기 포스터
2016 자기혈관 숫자알기 리플릿 자기혈관 숫자알기 (혈압, 혈당 알기) 리플릿
2018 자기혈관 숫자알기 포스터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 자기혈관 숫자알기
2018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9대 생활수칙 포스터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안내
2018 자기혈관 숫자알기 리플릿 자기혈관 숫자알기 (혈압, 혈당 알기) 리플릿
2019 고혈압의 예방과 관리 리플릿 고혈압 정의, 현황, 진단 및 합병증, 예방관리법 안내
2019 당뇨병의 예방과 관리 리플릿 당뇨병 정의, 현황, 진단 및 합병증, 예방관리법 안내
2019 이상지질혈증의 예방과 관리 리플릿 이상지질혈증 정의, 현황, 진단 및 합병증, 예방관리법 안내
2019 심근경색의 예방과 관리 리플릿 심근경색 정의, 통계, 위험요인 및 조기증상, 대처방법 등 안내
2019 뇌졸중의 예방과 관리 리플릿 뇌졸중 정의, 통계, 위험요인 및 조기증상, 대처방법 등 안내
2020 심근경색 및 뇌졸중 예방 포스터 심근경색 및 뇌졸중 조기증상 및 대처방법
2020 겨울철, 심근경색 및 뇌졸중 예방 포스터 심근경색 및 뇌졸중 조기증상 및 대처방법
2020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9대 생활수칙 포스터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안내
2020 심근경색 및 뇌졸중 예방 리플릿 심근경색, 뇌졸중 알기 리플릿
2021 자기혈관 숫자알기 포스터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 자기혈관 숫자알기
2021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9대 생활수칙 포스터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 안내
2021 자기혈관 숫자알기 리플릿 자기혈관 숫자알기 (혈압, 혈당 알기) 리플릿
2022 자기혈관 숫자알기 포스터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 자기혈관 숫자알기
2022 자기혈관 숫자알기 리플릿 자기혈관 숫자알기 (혈압, 혈당 알기) 리플릿

연구동향[1]

송정국 외(2015)는 일개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의 경로당노인을 표적집단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 노인대상 교육프로그램의 장기적 효과는 단계적 연구진행을 따르도록 하였으며 단면연구로서 프로그램 수행 1년 시점에서 실험군(참여군)과 대조군(비참여군)의 급성 심근경색과 뇌졸중 경고증상에 대한 지식수준을 조사하고 각각의 지식수준을 서로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를 확인하였다.


Lecouturier 외 (2010)은 대중매체 캠페인이 다수의 사람들에 대해서 응급대처로까지의 행태 변화를 일으키는 효과는 제한적이지만 뇌졸중에 대한 지식수준을 높이는 효과는 분명하다고 하였다.


Gardois 외(2014)는 소수 인종 집단을 표적집단으로 하는 중재에 대한 효과를 평가한 최근의 한 체계적 문헌고찰은 어떠한 결론도 내리지 못한 채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하였다.


Jones 외(2010)은 뇌졸중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 수준은 여전히 낮은 것을 밝혔다.


Andersson 외(2002)는 뇌졸중 인지도 제고를 위한 노력들은 어떠했는지에 대해서 Bjaras 등의 개념을 확장시켜 지역사회 중재를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하나는 어떤 물리적 공간에 속한 모든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구집단에 대한 “지역사회 기반 중재(community-based interventions)이고, 또 다른 하나는 종교, 여가, 직업, 인종 등 특정 이해와 문화를 공유하는 지역사회 내 소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중재(interventions in communities)라고 밝혔다.

참고문헌

송정국, 박형근, 홍성철.(2015).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대상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농촌의학·지역보건,40(3),126-136.

Lecouturier J, Rodgers H, Murtagh MJ, White M, Ford GA, Thomson RG. Systematic review of mass media interventions designed to improve public recognition of stroke symptoms, emergency response and early treatment. BMC Public Health 2010;10:784

Gardois P, Booth A, Goyder E, Ryan T.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s for increasing stroke awareness in ethnic minoriti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BMC Public Health 2014;14:409

Jones SP, Jenkinson AJ, Leathley MJ, Watkins CL. Stroke knowledge and awareness: and integrative review of the evidence. Age Ageing 2010;39:11-22

Andersson CM, Bjaras G, Ostenson CG. A stage model for assessing a community-based diabetes prevention program in Sweden. Health Promot Int 2002;17:317-327

  1. 송정국, 박형근, 홍성철.(2015).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대상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농촌의학·지역보건,40(3),126-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