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야간관광 특화도시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정의[1]

  • 야간경제는 ‘오후 6시부터 오전 6시 사이에 발생하는 모든 것’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야간경제에서 관광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야간관광: 야간에만 즐길 수 있는 지역 내 다양한 자원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관광현상으로 정의될 수 있음[2]
    • 이른 야간관광시간(오후 6시-9시): 노동시간 이후 수행되는 야간관광
    • 핵심 야간관광시간(오후 9시-오전 12시): 식사 이후 본격적으로 야간관광이 이루어지는 시간대
    • 모빌리티 활성화 시간(오전 12시-오전 3시): 택시, 공유셔틀, 공유모빌리티 등 야간관광을 지원하는 운송수단이 활성화되는 시간대
  • 야간관광의 유형[3]
    • 시설의존형: 유희시설, 미디어파사드, 전망타워, 야간쇼핑상업시설, 야간카페시설, 박물관 및 미술관
    • 경관관람형: 유람선, 드라이브 등 야간경관 감상, 불꽃놀이, 일루미네이션 등 야간 이벤트, 야간축제, 문화재 야행 등
    • 체험활동형: 야간시티투어, 야간콘서트, 야간공연, 밤낚시, 야간스키, 야시장, 체험상품
    • 엔터테인먼트형: 찜질방/사우나, 볼링, 당구, 실내스포츠, 노래방/주점/바, 나이트클럽, 호텔(파자마 파티 등)

추진배경 및 목적[4]

  • 지역관광산업과 경제 활성화
    • 야간관광을 활성화함으로써 여행객이 머무는 일수를 증가시키고, 지역체류 목적의 관광 형태를 육성하고자 함
    • 주간관광과 야간관광의 연계와 확장을 통해 콘텐츠 다양화 시도
    • 야간관광에 특화된 비즈니스 모델 창출로 지역사회 관광산업과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 새로운 국가관광 성장동력 창출
    • 소상공인 중심의 야간상권 활성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지역관광의 자생력과 지방 재정자립도를 높이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기능할 수 있음
    • 지역 정체성을 반영하여 한국관광의 경쟁력과 매력을 높일 수 있음
  • 정부 차원의 통합 지원정책 및 체계 구축 필요
    • 야간관광이 발전해있는 국가와 비교할 때, 국내 야간관광은 콘텐츠, 인프라, 제도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바, 정부 차원의 중장기 지원전략이 마련되어야 함
    • 지방자치단체별로 산발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체계 구축 필요


그밖에 외래관광객 소비지출 확대, 고용창출효과, 내국인 여가선용 기회 확대 및 국내관광 활성화, 융복합관광 및 신사업 발굴 확대 기회 부여 등도 관련 목적으로 제시됨[5]

대한민국의 야간관광 특화도시[6]

  • 정책비전: 야간관광 특화도시 조성과 육성으로 지역관광 경쟁력 강화 및 야간경제 활성화
  • 성과목표: 야간시단대 방문객 증가; 야간 일자리 창출; 내외국인 관광객 소비지출 확대
  • 핵심 관광 콘셉트: N.I.G.H.T (New = 새로운, Ingenious = 독창적인, Global = 세계적인, Helpful = 도움이 되는, Together = 함께 하는)
  • 유형
    • 국제명소형: 국제적 수준의 관광수용태세[7]를 기반으로, 야간관광 시너지와 파급효과가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기대되는 유형
    • 성장지원형: 관광기반은 다소 미흡하지만, 잠재력있는 야간관광 콘텐츠 개발로 지역활성화가 가능한 유형

2022년 지정 야간관광 특화도시[8]

  • 인천광역시 - 국제명소형
  • 통영시 - 성장지원형

2023년 지정 야간관광 특화도시[9]

  • 누구에게나 깨어있는 도시 ‘강릉시’ - 성장지원형
  • 역동적인 밤의 도시 ‘전주시’ - 성장지원형
  • 유등 문화의 아름다움 ‘진주시’ - 성장지원형
  • 야간 레저 스포츠의 즐거움 ‘부산광역시’ - 국제명소형
  • 과학과 관광의 만남 ‘대전광역시’ - 국제명소형’

(참고) 대한민국 밤밤곡곡: 문화체육관광부는 야간관광 특화도시를 비롯해 야간관광 브랜드(BI)를 대한민국 밤밤곡곡으로 정하고 홍보하고 있음

해외 사례[10]

영국 런던의 24 HOUR LONDON
  • 24 HOUR LONDON 정책에 기반하여, 2017년 런던야간위원회(The London Night Time Commission)가 설치됨
  • 2015년부터 나이트튜브(주말 24시간 운행하는 야간 지하철) 운영으로 야간활동 제약을 완화
  • 런던 야간경제 효과
    • 런던시민의 절반 이상(54%)이 밤 11시 이후, 24%는 자정 이후에 잠이 들며, 65%는 야간에 쇼핑, 개인업무, 사교모임, 문화생활 등을 즐김
    • 2017년 런던의 야간 노동자는 약 160만 여명: 런던 고용효과의 33%, 영국전체 고용효과의 16% 창출
    • 2017년 기준, 런던 숙박 방문객 총 3,200만명 중, 국내 관광객이 1,210만명으로 38% 차지
일본의 나이트타임 이코노미 기본계획
  • 2020년부터 일본 관광청이 문화청, 환경부와 연계하여 야간-조조시간대 지역의 관광자원을 활용해 경제활성화를 달성하고자 추진 중인 사업
  • DMO(Destination Marketing Organization)를 중심으로 지역의 야간시간대 매력을 높이고자 활용전략 수립, 핵심콘텐츠 조성 지원, 안전을 위한 점포인증제도, 순찰지원 등 추진 계획
  • 문화자원 야간개장, 자연자원의 야간시간대 활용, 음식/체험형 콘텐츠의 야간운영 등
미국 뉴욕의 Office of Nightlife
  • 뉴욕의 야간경제는 오후 6시-오전 6시 사이에 외식, 주류, 예술, 스포츠, 홀/공간 관련 산업에서 발생하는 경제활동으로 정의됨
  • 뉴욕시의 야간문화 사업은 2017년 독립부서로 만들어진 Office of Nightlife에 의채 주도되며, 도시 수준에서 야간경제, 문화, 삶의 질 향상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야간라이프와 연계한 경제성장 방안 고안, 야간업체 운영개선을 위한 타부서와의 협력, 야간산업 종사자/전문가를 위한 각종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참고문헌

문화체육관광부. (2023a). ’N.I.G.H.T’ 콘셉트를 통해 야간관광을 관광대국 원동력으로.

문화체육관광부. (2023b). 밤이 되면 더욱 빛나는 ‘야간관광 특화도시’ 5곳. 2023년 3월 6일.

문화체육관광부・한국관광공사. (2023). 2024년 야간관광 특화도시 조성사업 공모 안내서.

한국관광공사. (2020a). 야간관광자원 실태조사 및 야간관광 활성화방안 연구.

한국관광공사. (2020b). 야간관광, 관광산업의 새로운 활력을 찾다!. 2020 KTO 리포트.

각주

  1. 한국관광공사(2020).
  2. 한국관광공사(2020b).
  3. 한국관광공사(2020a, 2020b).
  4. 문화체육관광부・한국관광공사(2023).
  5. 한국관광공사(2020b).
  6. 문화체육관광부(2023a, 2023b); 문화체육관광부・한국관광공사(2023).
  7. 관광수용태세: 관광을 할 때, 그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여서 이해하거나 자기 것으로 삼는 태도나 자세 (출처: 우리말샘)
  8. 문화체육관광부(2023a).
  9. 문화체육관광부(2023b).
  10. 한국관광공사(2020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