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유연근무제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적 정의

유연근무제는 근무형태, 근무시간, 근무장소에 따라 시간제근무, 시차출퇴근, 재택근무 등 7가지 근무유형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공무원 사기앙양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개인, 업무, 기관별 특성에 맞게 근무형태를 다양하게 운영하도록 되어 있다. 그 가운데 원격근무제 방식의 하나인 스마트워크센터는 수도권 인근 및 도심에 13개 센터를 구축․운영하여 공직사회의 대표적인 스마트워크 환경으로 인지되고 있다.

정부조직의 유연근무제는 2010년 7월 「유연근무제 운영지침」을 수립․시행함으로써 본격화되었다. 2011년 7월에는 「국가공무원 복무규정」에 유연근무제의 근거규정을 명문화하고, 각 행정기관의 장은 유연근무를 신청한 공무원의 보수, 승진 및 근무성적평정 등에 불이익을 줄 수 없도록 하였다. 또한, 정부업무평가(인사부문)에 기관별 유연근무제 활성화 실적을 반영함으로써 유연근무제의 실행력을 확보하고 있다. [1]

연구동향 (최근 5년)

김유한(2020)[2]은 유연근무제 확산을 위한 스마트 워크 선호도 증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가정 일에 대한 상사의 지원과 협조, 법·제도적 지원, 혁신적인 조직문화가 스마트워크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직기간에 따른 남녀의 상사 협조와 스마트워크 선호도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는, 조직생활을 통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며 특히, 영·유아기 자녀 돌봄이 예상되는 연령대에서 가장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기 자녀 돌봄이 필요한 연령대의 여성공무원에 대한 조직적·제도적 지원 및 정책적 보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양정윤(2020)[3]은 유연근무제가 자기효능감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유연근무제는 종사원의 자기효능감과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유연근무제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연근무제가 종사원의 자기효능감과 고객지향성을 높여 호텔의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호텔은 유연근무제의 도입과 운영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종사원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양정윤(2020)[4]은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유연근무제는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유연근무제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연근무제가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을 높여 호텔의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호텔은 유연근무제의 도입과 운영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종사원의 직무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사용진(2021)[5]은 공공부문에서의 유연근무제 연구의 흐름과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외 유연근무제 연구는 국내 연구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연구대상은 공무원, 일반 기업 종사자 등이고, 방법은 설문조사, 인터뷰, 자료분석 등이 사용되었다. 연구주제는 유연근무제의 도입 효과, 운영 실태, 활용 의향 등이 있다. 국내 유연근무제 연구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주제와 방향이 필요하다. 첫째, 유연근무제의 도입 효과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유연근무제의 운영 실태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셋째, 유연근무제의 활용 의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김지현(2021)[6]은 유연근무제도 사용이 기혼 여성 관리자의 일-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시간외근무와 배우자 협조의 조절효과 검증에 대해 연구한 바있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 관리자의 유연근무제도 사용이 직업 및 개인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 유연성은 직업생활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생활 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장소 유연성은 두 영역의 만족도 모두에서 유효하지 않았다. 근로 유연성과 개인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써 업무시간외근무와 배우자의 협조가 중요한 변수로 검증되었다. 또한, 배우자로부터 정서적, 물리적 지지를 동시에 받을 경우 시간유연제도 사용자들의 직업생활 만족이 상승하였으나, 배우자의 지지 없이 시간유연제도를 사용한 경우에는 제도 사용이 근로자의 직업 생활에 더욱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링크

한국행정학회 행정학전자사전

각주

  1. 한국행정학회 행정학전자사전
  2. 김유한. (2020). 유연근무제 확산을 위한 스마트 워크 선호도 증대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9(3), 159-186.
  3. 양정윤. (2020). 유연근무제가 자기효능감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9(3), 95-102.
  4. 양정윤. (2020). 유연근무제가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9(4), 9-15.
  5. 사용진. (2021). 공공부문에서의 유연근무제 연구의 흐름과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0(1), 67-89.
  6. 김지현. (2021). 유연근무제도 사용이 기혼 여성 관리자의 일-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시간외근무와 배우자 협조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보장연구, 37(3), 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