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장애인 비장애인 소득 불평등 이슈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이슈 요약

코로나 19 이후의 사회 경제적 변화로 인해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소득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 장애인은 사회적 낙인과 편견으로 인해 노동 시장 참여가 어려우며, 이로 인해 경제적 취약성이 높아지고 빈곤에 노출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애인을 위한 공적 지원이 부족하고, 사회적으로도 인식이 개선되지 않은 채로 소득 불평등이 확대되고 있다.

이 이슈에 대한 이해 관계자로는 장애인, 정부 기관, 비장애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애인들은 고용 기회와 사회적 자본에 대한 접근성을 제한 받고 있다 주장하였다. 정부는 그들을 주장과 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을 신중하게 검토해 시행하고 제공하겠다 주장하고 비장애인은 정부의 정책이 만족스럽지 못할 때 집회나 시위를 한다는 점에서 이해관계가 존재한다.

이 사례는 다름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잘 보여준다. 한편으로는 한쪽으로 편향되어 경제 체재가 무너지지 않게 경제적 중립성과 행정적 자원의 적절한 사용이 중요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정부는 사회 갈등 관리 개념 중 수용형을 사용해야 하는 것도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이러한 이슈는 한국 사회에서 여러 이해관계 간의 복잡한 관계를 드러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논의와 조화로운 해결책 모색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장애인 비장애인 소득 불평등 이슈 상세 분석 및 논쟁점 심층 조명

1. 개요

코로나19 이후 장애.비장애 가구간 소득 격차가 더 벌어졌다. 장애인 가구 자산이 정체된 사이 비장애인 쪽은 10%정도 늘었다. 2022년 3월 기준 국내 장애인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8천677만원으로 집계됐다. 전전년(3억8천658만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반면 비장애인가구의 평균 자산액은 되려 늘어났는데 지지난해 3월 기준 평균 자산액은 5억6천442만원으로, 전전년 5억1천557만원보다 9.5% 늘었다.

2. 주요 논쟁점

본 이슈는 다양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주요 논쟁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있다.

소득 차이

  • 공적이전소득 문제

공적이전소득은 정부나 지자체 등에서 지원하는 각종 수당, 연금, 급여 등 사회 복지제도를 말한다. 지지난해 장애인가구 평균 공적이전소득은 999만원이고 비장애인가구는 559만원이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비장애가구 지원액이 415만원에서 27% 늘어난 반면, 장애가구는 831만원에서 18% 증가에 그쳤다.

  • 근로소득 격차

2022년 장애 여부에 따른 가구별 근로소득 격차는 2천51만원으로 집계됐다. 장애인가구 평균 근로소득은 2천267만원이고 비장애가구는 4천317만원이다.

고령화와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장애인 시장소득 빈곤율 증가

  •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장애인의 시장소득 빈곤율 증가는 장애인의 고령화, 1인 가구 증가, 근로연령대 가구원과 동거 감소 등 장애인의 인구 구조 변화에서 기인한다. 2010년대 중반 이후 장애인의 시장소득은 대체로 정체하였다. 그러나 고령화와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빈곤율 비율의 대다수를 차지하던 18~64세 비장애 가구원이 있는 3인 이상 가구 비율 감소로 인해 전체적인 장애인의 빈곤율은 증가되었다.

  • 고용률 변화

장애인 고용률은 4년에 1%씩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장애인 고용률 감소에는 장애인의 고령화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장애인 고용률 변화는 장애인 빈곤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주요 이해관계자들의 입장

장애인

  • 노동시장 진입과 사회적 활동에 제약을 받는다

정부

  • 장애인들이 만족할만한 정책을 펼쳐 자원이나 혜택의 분배에 대한 불만을 줄이겠다.

이슈 해소 방향과 과제

여러 이해관계가 교차하는 복합적인 이슈이다. 이슈 해소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 경제적 자립 지원: 장애인을 위한 특별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장애인의 고용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강화하여 장애인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할 수 있다.
  • 사회적 인식 개선: 교육과 홍보를 통해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는 프로그램을 추진하여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수용과 인식을 촉진할 수 있다.
  • 소득 기반 강화: 장애인을 위한 일자리 창출 및 직업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장애인의 경제적 활동성을 촉진하고 소득 기반을 강화할 수 있다.
  • 투명성 확보 및 정보 공개: 정부 및 지자체는 장애인 지원 정책 계획 및 진행 과정에 대한 투명성 확보와 충분한 정보 공개를 통해 시민들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 정기적인 설명회 개최, 사업 진행 상황 공개 등 적극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