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정책연구관리시스템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정책연구관리시스템(Policy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 Management,PRISM)은 정부의 정책연구 수행과정을 관리하고, 연구결과를 공유하는 시스템으로, 여러 기관의 정책연구 정보를 제공하고, 정책연구의 관리를 종합·체계화하여 예산낭비 요인을 줄이고, 연구품질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정책연구관리시스템은 ①연구보고서를 국민에게 제공하여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민원편익 증진에 기여하며, ②과제선정→연구자선정→중간점검→연구결과평가→연구결과 활용 등의 관리절차를 토대로 연구정보를 관리하여 연구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책연구관리시스템은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행정안전부가 참여하는 운영체계를 갖는다.

  • 중앙행정기관은 사용자 등록 및 관리, 연구 수행과정 관리, 연구 결과물 공개 및 활용를 담당한다.
  • 지방자치단체는 정책연구 결과 공개를 담당하며,
  • 행정안전부는 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기관사용자 계정관리, 기관별 성과점검 및 사용자 교육 실시를 담당한다.

외부링크

정책연구관리시스테(PRISM) https://www.prism.go.kr/


근거법령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53조 행정안전부장관은 중앙행정기관이 전자적으로 정책연구과정을 관리하고 정책연구 결과를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정책연구관리시스템을 구축·운영하여야 한다.국가법령정보센터

연혁

관련법령 개정

2016. 4.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을 ‘행정 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으로 명칭 변경

2014. 2.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 개정, 지방자치단체 수행 정책연구 결과의 PRISM 등록 의무화

2011. 12. ‘정책연구용역관리규정’을 ‘사무관리규정’과 통합하여 ‘행정업무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규정’으로 개편

2005. 12. 정책연구용역관리규정(국무총리훈령) 제정, 정책연구용역종합관리시스템(PRISM) 구축ㆍ운영,


시스템 구축 및 개선

2020. 8. ~ 2021. 3. 시스템 고도화 및 전면 개편, 메인페이지 개편, 사전 중복검사기능 강화, 지능형 검색기능 추가 등

2017. 12. 시스템 고도화, 보안성 강화를 위한 OS 및 PDF 변환 SW 업그레이드 등

2015. 5. ~ 2015. 6. 시스템 고도화, 성과점검 정성평가 기능 구축 등

2013. 6. ~ 2013. 11. 시스템 고도화, 공공누리 저작물허용 기능 개발, SMS 및 e메일 발송 기능 개발

2012. 6. ~ 2012. 11. 시스템 고도화, 대국민·공무원용 포털 개편 및 성과점검 기능 개발 등

2009. 4. ~ 2009. 9. 시스템 고도화, 과제수행지원시스템 구축, 분류체계 개편 및 연구보고서 원문 보호기능 추가 등

2008. 7. ~ 2008. 12. 시스템 고도화, 정책연구용역 DB 추가, 유관시스템 연계 확대 및 전문 검색엔진 도입 등

2006. 1. 서비스 개시

2005. 8. ~ 2005. 12. 정책연구용역종합관리시스템(PRISM) 구축

연구동향

참고문헌

https://www.prism.go.kr/homepage/info/homepageIntroduction.do?menuNo=K0000002

https://www.prism.go.kr/homepage/info/homepageHistory.do?menuNo=K0000003

각주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정책연구관리규칙을 제정하여 정책연구의 관리 및 정보공개에 PRISM을 활용하고 있다.

기상청은 정책연구용역의 효율적인 관리와 정보공개에 PRISM을 활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