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지방과학연구단지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지방과학연구단지의 개념 및 기능

지방과학연구단지는 정부가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광역시·도 지역에 조성한 과학기술 집적지로, 산·학·연 협력을 바탕으로 지역 과학기술 혁신과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방과학연구단지는 크게 연구기능, 교육기능, 생산기능의 세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 연구기능은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에서 수행하는 연구개발 활동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의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신기술과 신산업을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
  • 교육기능은 대학과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활동을 지원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의 인적 자본을 축적하는 데 기여한다.
  • 생산기능은 첨단 벤처기업을 유치하거나 육성하여 지역의 경제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사업은 2004년 참여정부 때 시작된 정책으로, 과학기술기본법 제29조(과학연구단지 등의 조성 및 지원)를 근거로 지역에 과학연구단지를 지정해 산·학·연 협력 연구개발과 사업화를 지원하는 내용이다.[1] 이 사업은 정부가 지방과학연구단지를 지정하고,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에 대한 지원을 통해 지방과학연구단지의 발전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정부는 지방과학연구단지에 입주한 대학, 연구기관 및 기업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 지원
  • 민간기술개발 지원
  • 과학기술인 상호교류 지원
  • 과학기술 국제화 촉진 지원
  • 과학기술인력 양성 지원
  • 과학기술 및 국가연구개발사업 지식·정보의 관리·유통체제 구축 지원
  • 연구개발 시설·장비의 고도화 지원

지방과학연구단지의 성과 및 향후 과제

지방과학연구단지는 지역 과학기술혁신과 지역발전을 위한 중요한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지방과학연구단지의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지역의 과학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방과학연구단지 육성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 지역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
  • 신기술과 신산업의 창출
  • 지역의 인적 자본 축적
  • 지역경제 활성화

나아가, 지방과학연구단지의 성공적인 조성과 운영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 맞춤형 지원 정책의 개발: 지방과학연구단지는 지역별 특성이 다르므로,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 지역 산업과의 연계 강화: 지방과학연구단지가 지역 산업과 연계되어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 마련: 지방과학연구단지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재정과 인력 등 지속가능한 발전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