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지역문제해결플랫폼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의 개념 및 특징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은 지역의 다양한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 민간, 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참여하여 지역단위의 협업체계를 구성·운영하는 협업 플랫폼이다. 기존의 관 주도, 중앙정부 중심, 예산 투입 위주의 해결방식을 탈피해,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지자체가 지원, 공공기관 등의 자원을 연계하는 민·관협업형 문제 해결 방식이다.[1]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민간 주도: 주민, 시민사회단체, 기업, 전문가 등 민간이 주도하여 운영된다.
  • 협업: 민간, 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협업하여 운영된다.
  • 실행 중심: 지역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하고 추진한다.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의 도입 배경 및 운영 방식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은 지역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식으로 도입되었다. 기존의 관 주도, 중앙정부 중심, 예산 투입 위주의 해결방식은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주민의 참여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민간, 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협업하여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도입하였다.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운영된다.

  1. 지역문제 발굴 및 선정 : 주민과 공동체로부터 지역문제를 발굴하고 수렴한다.
  2. 의제 선정 : 수렴된 의제에 대해 주민, 전문가, 지자체, 공공기관이 참여하여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 선정한다.
  3. 의제실행 : 선정된 의제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한다.

지역문제해결플랫폼의 기대효과

  • 지역문제 해결의 효율성 제고 : 민간, 지자체, 공공기관이 협업하여 운영함으로써 지역문제 해결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 지역주민의 참여 확대 : 지역주민이 주도적으로 지역문제 해결에 참여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다.
  • 지역의 자생력 강화 : 지역 스스로 지역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지역의 자생력을 강화할 수 있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