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지역특화센터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지역특화센터의 개념과 특징

지역특화센터는 지역전략산업 집적화단지 또는 혁신거점을 조성하여 장비 및 시설을 구축하고 제품 연구개발, 각종 시험·분석, 시제품생산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기관이다. 지역특화센터는 지역의 우수역량을 강화하고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지역의 특화된 산업을 육성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1] 지역특화센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지역전략산업 육성: 지역특화센터는 지역의 특화된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한다. 제품 연구개발, 시험·분석, 시제품생산, 창업·보육, 기술이전 거래, 마케팅 등 지역의 특화산업 발전에 필요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 지역균형발전: 지역특화센터는 지역균형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지역의 특화된 산업을 육성함으로써 지역의 일자리 창출과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지역의 경제 발전을 촉진한다.
  • 협업과 네트워크 강화: 지역특화센터는 산학연 협업과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지역의 기술혁신을 촉진한다. 기업, 대학, 연구소 등 다양한 주체와의 협업을 통해 지역의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의 신산업 창출을 촉진한다.

지역특화센터의 유형

지역특화센터는 지역의 특색에 따라 크게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산업 특화형: 특정 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한 센터
  • 관광 특화형: 관광 자원을 활용한 센터
  • 생태 특화형: 생태 자원을 보전하고 활용하는 센터
  • 복합 특화형: 여러 분야의 산업을 복합적으로 육성하는 센터
  • 특별 특화형: 기존의 특화형에 속하지 않는 센터

지역특화센터의 기대효과 및 한계

지역특화센터는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 지역전략산업 육성: 지역특화센터는 지역의 특화된 산업을 육성함으로써 지역의 경제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지역균형발전: 지역특화센터는 지역균형발전에 기여함으로써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기술혁신 촉진: 지역특화센터는 산학연 협업과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지역의 기술혁신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지역특화센터는 지역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제공해야 하지만, 지역의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에 차별화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지역의 역량 부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지역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정책의 특성 상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사업이지만, 정부의 지원이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가 있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