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지역혁신센터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지역혁신센터의 개념과 특징

지역혁신센터(Regional Innovation Center: RIC)는 지역의 특화된 산업과 대학의 강점을 활용하여 지역의 기술혁신을 촉진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기관이다. RIC는 과거 산업통상자원부의 TIC(지역기술혁신센터)와 과학기술부의 RRC(지역협력연구센터)가 통합된 모델이다. 지역혁신센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RIC는 지역의 특화된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지원기관으로 지역의 특화된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한다.
  • RIC는 산학연 협력을 활성화하여 지역의 기술혁신을 촉진한다.
  • RIC는 지역의 연구역량을 강화하여 지역의 경쟁력을 제고한다.

지역혁신센터의 추진 경과

RIC는 1995년 산업자원부의 ‘기술하부구조확충 5개년 계획’과 과학기술부의 ‘지역협력연구센터 육성계획’에 따라 지역기술혁신센터(TIC)와 지역협력연구센터(RRC)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2005년 TIC와 RRC 사업의 연계·통합 모델로 지역혁신센터(RIC) 사업이 발굴되었으며, 2006년부터 RRC와 TIC를 RIC로 통합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1]

지역혁신센터의 유형 및 기능

RIC는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공기관 형태의 RIC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재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민간 법인 형태의 RIC는 민간의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RIC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고려한 적절한 형태의 RIC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공공기관 형태의 RIC: 지역대학이 주관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RIC이다.
  • 민간 법인 형태의 RIC: 지역대학과 기업이 공동으로 설립하고 운영하는 RIC이다.

RIC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 장비 및 시설의 공동 활용: 지역 기업과 연구기관이 장비 및 시설을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 지역 기업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지원합니다.
  • 인력양성 지원: 지역 기업과 연구기관의 인력양성을 지원합니다.
  • 정보교류 및 네트워킹 지원: 지역 기업과 연구기관의 정보교류 및 네트워킹을 지원합니다.

외부링크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