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일명 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는 기존 대학지원사업과 관계된 행·재정적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위임하는 방식으로 지역발전과 대학지원 정책을 연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책 시행 현황

RISE 시범사업 지역으로 경남, 경북, 대구, 부산, 전남, 전북, 충북 등 7개 지역이 공식적으로 지정되었다. 이들 지역에서의 시범 운영을 거쳐 2025년부터는 전국으로 RISE를 확대할 계획이다. 시범지역에서는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지역발전과 연계한 대학지원 계획을 수립하고, 지역대학 지원 관련 업무를 기획·총괄하는 지자체 내 전담부서 설치,대학지원 사업을 관리하고 선정·평가 등을 전담하는 RISE센터 지정·운영, 지역발전과 연계한 지역혁신, 산학협력, 직업.평생교육 등 대학지원 사업 등을 추진한다.

지역 RISE센터 지정 기관 조직 및 인력
경남 경남인재평생교육진흥원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센터(6명)

(대학지원팀 3명, 산학협력팀 3명)

전남 전남인재평생교육진흥원 전라남도 RISE추진단(5명)
대구 대구정책연구원 대구RISE센터(5명)
경북 경북연구원 경북RISE사업추진단(5명)
충북 충북연구원 충북지역대학혁신지원센터(10명)

(라이즈사업운영팀, 산학협력지원팀, 대학행정지원팀)

충남 충남연구원 충남라이즈센터(4명)
부산 부산테크노파크 지산학협력단(19명)

(지산학R&D사업협력팀 5명, 대학혁신인재협력팀 8명, 글로벌지산학기술협력팀 6명)

전북 전북테크노파크 JB지산학협력단 설치 예정

체계의 핵심[1]

  1. 지자체 주도의 대학 지원을 위해 현재 교육부의 약 5조 원 규모의 특수목적 대학재정지원사업을 좀 더 확대함과 동시에 그 50% 이상을 지자체 주도로 전환하고 타 부처의 대학 재정 지원도 점차 RISE로 통합 지원한다.
  2. 지역이 키우고, 지역을 살리는 대학을 육성하기 위해 지자체는 교육부와 협약하여 RISE 계획을 수립하고, 혁신적 변화를 추진하는 글로컬대학(지역발전 선도를 견인할 특화 분야의 세계적인 대학)을 선정하여 집중 육성한다.
  3. 각종 대학 규제를 완화하고 지자체의 대학 지원 권한을 확대하기 위해 지역 혁신에 필요한 규제 특례를 적용하며, 대학재정지원에 대한 각종 권한을 시·도지사에게 대폭 위임한다.
  4. 시·도에 대학지원 전담부서와 ‘지역고등교육협의회’를 신설하고, RISE 시행에 필요한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해 ‘지방대학육성법’ 개정을 추진한다.
  5. 시행착오를 줄이며 보다 안정적인 RISE 구축을 위해 2년간 5개 내외의 시범지역을 선정 운영한 후 2025년 전 지역으로 확대한다.

참고문헌

  • 주효진, 최미옥, 최희용, 정솔. (2024).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에 대한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의 정책분석평가. 지방정부연구, 28(1), 197-221, 10.20484/klog.28.1.197
  • 차성현. (2024). 지역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과 과제 탐색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42(1), 503-526, 10.22553/keas.2024.42.1.503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