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청소년건강행태조사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청소년 건강행태조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건강상태 및 행태에 대한 자료로서, 향후 학생 건강유지‧증진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조사목적

  • 대한민국 청소년의 건강행태 현황 파악
  • 청소년 건강증진사업 기획 및 평가에 필요한 보건지표 산출
  • 국가 간 비교 가능한 청소년 보건지표 산출

조사대상

  • 모집단 : 전국 중학교 1학년 ~ 고등학교 3학년
  • 표본 추출 과정

조사내용

※기준년도 : 2022년

영역 문항수 주요 조사내용
흡연 14 평생/월간 일반담배(궐련) 흡연 경험, 처음/매일 일반담배(궐련) 흡연 경험 연령, 월간 일반담배(궐련) 흡연량, 담배 구매 용이성, 금연 시도 경험, 평생/월간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 경험, 평생/월간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 경험, 월간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량, 가정/공공장소실내 간접흡연
음주 6 평생/월간 음주 경험, 처음 음주 경험 연령, 월간 음주량, 만취 경험, 주류 구매 용이성
신체활동 15 하루 60분 이상 신체활동, 고강도/중강도 신체활동 일수/시간, 근력강화운동, 주중/주말 앉아서 보내는 시간,

주간 걷기 일수/시간, 등학교나 등하원 시 신체활동 일수/시간, 주간 체육시간 운동횟수, 스포츠활동 팀 수, 신체활동 장려요인

식생활 12 아침결식/이유, 과일섭취/이유, 패스트푸드/채소/야식 섭취, 단맛나는 음료/고카페인음료/우유 섭취, 학교에서 영양식습관 교육, 물 섭취
비만 및 체중조절 7 신장, 체중, 월간 체중 조절, 신체이미지 왜곡 인지, 체중조절방법, 먹방 및 쿡방 시청빈도, 먹방 및 쿡방 시청이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 10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 주중/주말 수면시간, 우울감 경험, 자살 생각/계획/시도, 외로움,

범불안장애(GAD-7)

손상 및 안전의식 3 안전벨트 착용(승용차, 택시 앞/뒷좌석, 고속버스), 학교 손상으로 인한 병원치료, 학교에서 안전교육 경험
구강건강 10 하루동안 칫솔질, 학교에서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 취침 전 칫솔질 실천, 구강용품 사용, 치과진료 경험,

실란트(치아홈메우기) 경험, 스케일링 경험,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 구강증상 경험, 구강보건교육 경험

개인위생 2 비누이용 손씻기 실천(학교/집에서 식사 전/화장실 사용 후, 외출 후 귀가 시),학교에서 개인위생교육 경험
성행태 4 성관계 경험, 피임경험/방법, 학교에서 성교육 경험
아토피 · 천식 6 천식/알레르기비염/아토피피부염 의사진단
약물 1 습관적 및 의도적 평생 약물 사용 경험
인터넷중독 2 주중/주말 스마트폰 사용 여부/시간
건강형평성 13 성별, 태어난 연도/월, 학년, 가족구성원, 친부모/양부모와의 거주여부, 친부모 학력, 친부모 한국국적 여부,

친부모 태어난 나라, 주관적 학업성적, 주관적 경제적 상태, 현재 거주형태

폭력 1 폭력으로 인한 병원 치료 경험
기타 8 주관적 건강 인지, 코로나19 후유증
합계 114


조사방법

조사방식

  • 익명성 자기 기입식 온라인 조사
  • 학교 수업 시간 내 무선인터넷(Wi-fi) 사용 가능 교실에서 일괄 조사

조사수행 절차

  • 단계별 수행 프로세스 기준으로 조사 수행
표본학교 선정
전국 800개 표본학교 선정
조사지원 담당교사 교육
표본학교 조사지원 담당교사 지침교육
학생 현황 등록
표본학급 선정을 위한 (표본학교)학급정보 등록 ※표본학교에서 조사지원 담당교사 선정
  • 질병관리청:표본학급 선정 및 알림
조사 일정 등록
선정된 표본학급의 조사 일시 등록
  • 질병관리청:안내문(참여번호) 및 답례품 배송
조사 실시*
표본학급별로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조사 실시

결과 발표회

조사 결과 분석 및 공표
  •   * 코로나19 유행으로 조사시기 임시 변경(6월→8월, '20년~'23년)

연혁

추진경과

  • 2004년 국가 만성병 감시체계 구축 계획 일환으로 수립
  • 정부 승인통계(통계청, 승인번호 11758호)로 2005년부터 매년 조사 수행
  • 조사방법 : 익명성 자기 기입식 온라인 조사, 학교 내 컴퓨터실 일괄 참여 조사

최신순

조사

차수

조사

년도

조사기간 추가기간 조사대상 목표대상

수(명)

참여자

수(명)

참여율

(%)

제1차 2005년 10.10.~ 11.14. 11.15.~ 11.30. 중1~고2 65,482 58,727 89.7
제2차 2006년 09.01.~ 09.30. 10.01.~ 10.30. 중1~고3 78,593 71,404 90.9
제3차 2007년 09.01.~ 09.22. 10.01.~ 11.03. 중1~고3 78,834 74,698 94.8
제4차 2008년 09.01.~ 09.30. 10.01.~ 10.24. 중1~고3 79,099 75,238 95.1
제5차 2009년 09.01.~ 09.30. 10.01.~ 11.20. 중1~고3 76,937 75,066 97.6
제6차 2010년 09.01.~ 09.30. 10.01.~ 10.24. 중1~고3 74,980 73,238 97.7
제7차 2011년 09.01.~ 09.30. 10.01.~ 10.17. 중1~고3 79,202 75,643 95.5
제8차 2012년 06.01.~ 06.30. 07.01.~ 07.17. 중1~고3 76,980 74,186 96.4
제9차 2013년 06.01.~ 06.30. 07.01.~ 07.18. 중1~고3 75,149 72,435 96.4
제10차 2014년 06.02.~ 06.30. 07.01.~ 07.18. 중1~고3 74,167 72,060 97.2
제11차 2015년 06.01.~ 06.30. 07.01.~ 07.28. 중1~고3 70,362 68,043 96.7
제12차 2016년 06.01.~ 06.30. 07.01.~ 07.21. 중1~고3 67,983 65,528 96.4
제13차 2017년 06.01.~ 06.30. 07.01.~ 07.18. 중1~고3 64,991 62,276 95.8
제14차 2018년 06.04.~ 06.30. 07.01.~ 07.19. 중1~고3 62,823 60,040 95.6
제15차 2019년 06.03.~ 07.12. ~ 중1~고3 60,100 57,303 95.3
제16차 2020년 08.03.~ 11.13. ~ 중1~고3 57,925 54,948 94.9
제17차 2021년 08.30.~ 11.11. ~ 중1~고3 59,426 54,848 92.9
제18차 2022년 08.29.~ 10.25. ~ 중1~고3 56,213 51,850 92.2

청소년건강포럼

  •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서 제기된 청소년 건강행태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청소년건강포럼을 도입하여 실시
개최

차수

개최일 청소년건강포럼 내용
제1차 2006-12-14 우리나라 및 국외 청소년 보건정책 현황
제2차 2007-03-29 청소년 건강의 주요 이슈
제3차 2007-12-07 소아.청소년의 비만
제4차 2008-12-19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청소년 건강
제5차 2009-12-17 우리나라 청소년의 수면건강
제6차 2010-12-20 우리나라 청소년의 성문화
제7차 2011-12-13 우리나라 청소년의 수면건강
제8차 2012-11-02 우리나라 청소년의 정신건강
제9차 2013-10-25 학교 안전사고 예방
제10차 2014-10-28 청소년 흡연실태 및 흡연예방 전략

현황(2022 기준)[1]

청소년건강행태조사전국 800개 표본학교중·고등학생 약 6만 명을 대상*으로 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 건강행태 현황을 파악한 자료이다.

* 2022년 조사 참여율 : 92.4%(56,274명 중 51,984명 참여)

[흡연‧음주]


2022년 청소년(중1~고3) 흡연 행태는 2021년 결과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코로나19 유행 이후 개선되었던 음주 행태는 나빠졌다.


현재 흡연율*(일반담배(궐련))2022년 결과 남학생 6.2%, 여학생 2.7%로 2021년과 유사하였으며, 전자담배** 현재 사용률증가하였다.

* 시도별 현황 : 광주(7.0%)>전북‧전남(6.3%)...서울‧인천(3.3%)>대구(3.2%)

** (액상형) 남 3.7%→4.5%, 여 1.9%→2.2%, (궐련형) 남 1.8%→3.2%, 여 0.8%→1.3%


일반담배, 전자담배 중 하나라도 사용한 담배제품 현재사용률2022년 남학생 7.3%, 여학생 3.4%로 2021년 결과(남 7.0%, 여 3.3%)와 큰 차이는 없었다.


현재 음주율*남학생 15.0%, 여학생 10.9%2021년 대비 증가(남 2.6%p↑, 여 2.0%p↑)하였으며, 1회 평균 음주량이 중등도(남자 소주 5잔, 여자 3잔) 이상인 위험 음주율도 남녀학생 모두 증가(남 5.3%→6.1%, 여 4.4%→5.1%)하였다.

* 시도별 현황 : 충북(16.8%)>경북(16.5%)>광주(15.9%)...대구(11.4%)>서울‧제주(9.9%)


[신체활동]


신체활동은 코로나19 유행 첫 해인 2020년 감소 이후 지속 증가하여, 2022년에는 유행 이전보다 더 높은 실천율을 보였다.


하루 60분 주5일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2022년 남학생 23.4%, 여학생 8.8%로 2021년 대비 남녀학생 모두 증가(남 2.7%p↑, 여 0.7%p↑)하였다.

* 시도별 현황 : 울산‧충남(18.7%)>제주(18.2%)...세종(14.3%)>전북(13.3%)>충북(12.7%)


주3일 이상 고강도 신체활동 실천율2022년 결과 남녀 학생 모두 증가(남 40.8%→46.6%, 여 18.4%→25.8%)하였고, 특히 중학생에서 증가 폭(중 35.1%→45.5%, 고 24.6%→26.9%)이 컸다.


운동이나 신체활동을 하는 이유는 ‘재미있어서(33.3%)’가 가장 많았고, ‘건강을 위해(20.6%)’, ‘체중감량(16.4%)’ 순으로 나타났다.


주중 학습목적으로 앉아서 보낸 시간은 2021년과 유사(459분→457분)하나, 학습목적 이외 앉아서 보낸 시간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증가한 이래 지속 감소(주중 210분→186분, 주말 316분→293분)하였다.


학교에서 규칙적 스포츠활동팀 참여율(1개팀 이상)은 2022년 49.4%, 학교 체육수업시간 직접 운동 실천율(주2회 이상)은 64.0%였고, 3년 주기 순환조사로 2019년 결과(50.2%, 64.6%)와 비교 시 유사하였다.


[식생활]


식생활 지표는 코로나19 유행 이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아침식사 결식률*(주5일 이상)은 2022년 39.0%(1.0%p↑), 패스트푸트 섭취율(주3회 이상)은 27.3%(1.1%p↑)증가하였으며, 과일 섭취율(일1회 이상)은 2022년 17.2%(0.9%p↓)감소하였다.

* 시도별 현황 : 전북(44.3%)>인천(41.3%)>전남(41.2%)...경기(37.8%)>울산(35.5%)>세종(35.3%)


아침식사 결식 이유로는 ‘시간이 없어서(35.1%)’가 가장 많았고, ‘식욕이 없어서(21.4%)’, ‘배가 아프거나 소화가 안 돼서(14.0%)’ 순으로 나타났다.


채소섭취율(일3회 이상)과 우유섭취율(일1회 이상)은 2022년 8.3%, 18.0%였고, 3년 주기 순환조사로 2019년과 비교 시 감소(채소 2.6%p↓, 우유 4.8%p↓)하였다.


탄산‧에너지‧이온‧과즙‧커피음료, 가당우유 등 단맛이 나는 음료를 모두 포함단맛음료 섭취율(주3회 이상)은 2022년 63.6%, 에너지음료와 커피 및 커피음료를 포함고카페인음료 섭취율(주3회 이상)은 22.3%이었다.

단맛음료성별에 따라 차이(남 67.4%, 여 59.6%)가 있었고, 고카페인음료학교급에 따라 차이(중 16.6%, 고 28.4%)를 나타냈다.


[정신건강]


우울감 경험률 등 청소년의 정신건강 지표는 2020년에 감소하였다가 2021년 이후로 다시 증가 경향을 보였다.


우울감 경험률*2022년 남학생 24.2%, 여학생 33.5%로 2021년에 비해 증가(남 1.8%p↑, 여 2.1%p↑)하였고, 스트레스 인지율증가(남 32.3→36.0%, 여 45.6%→47.0%)하였다.

* 시도별 현황 : 세종(30.6%)>서울(30.2%)>경기(30.0%)...전남(26.2%)>제주(25.8%)>부산(24.6%)


외로움 경험률의 경우 2022년 결과 남녀학생 모두 전년 대비 증가(남 12.3%→13.9%, 여 19.9%→21.6%)하였고, 범불안장애 경험률(중등도 이상*)소폭 증가(남 9.3%→9.7%, 여 15.6%→15.9%) 경향을 보였다.

* 범불안장애 선별도구(GAD-7,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7) 절단점 10점 이상인 경우

외부사이트

질병관리청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303010800

  1. [보도자료 2023.04.14. 조간] 2022년 학생 건강검사 및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