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출산·양육 지원정책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1. 개요

대한민국 정부가 시행중인 출산, 육아 지원에 대한 문서.

2. 출산 지원 정책

가.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설명: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위해 출산 가정에 최대 40일까지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출생아 수에 따라 인력을 추가로 지원합니다.

지원 내용: 세쌍둥이 이상 가정 최대 40일 건강관리 서비스, 출생아 수별 인력 추가 지원

나. 배우자 출산휴가

설명: 배우자가 출산할 때 주어지는 휴가로, 단태아 출산 시 10일, 다태아 출산 시 15일의 휴가를 제공합니다. 이 휴가는 분할하여 3회에 걸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 단태아 출산 시 10일, 다태아 출산 시 15일 휴가 제공 (분할 3회 가능)

다. 출산전후 휴가

설명: 출산 전후로 사용할 수 있는 휴가로, 단태아 출산 시 90일, 다태아 출산 시 120일의 통상임금을 100% 지급합니다.

지원 내용: 단태아 출산 시 90일, 다태아 출산 시 120일 통상임금 100% 지급

라. 신생아 출산가구 주택 특별(우선) 공급

설명: 신생아가 있는 출산가구를 대상으로 주택을 특별 공급하는 제도로, 연간 7만 호를 제공합니다.

지원 내용: 연간 7만 호 주택 특별 공급

마. 신생아 출산가구 주택구입 및 전세 특례 대출

설명: 신생아가 있는 출산가구를 대상으로 주택구입 및 전세 자금을 특례 대출해주는 제도로, 연소득 1.3억 이하 출산가구에 한해 대출한도 구입 5억, 전세 3억 저리적용을 합니다.

지원 내용: 연소득 1.3억 이하 출산가구, 구입 5억, 전세 3억 저리 대출

바. 첫만남이용권

설명: 출생아에게 지급되는 첫 만남 이용권으로, 첫째아는 200만 원, 둘째아부터는 300만 원을 지원합니다.

지원 내용: 첫째아 200만 원, 둘째아부터 300만 원 지원

사. 자녀 세액공제

설명: 자녀 출산 및 입양 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제도로, 첫째아는 30만 원, 둘째아는 50만 원, 셋째아는 70만 원을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내용: 첫째아 30만 원, 둘째아 50만 원, 셋째아 70만 원 세액공제

아. 산후조리비용 세액공제

설명: 산후조리비용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지원 내용: 산후조리비용 세액공제


3. 양육 지원 정책

가. 육아휴직

설명: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최대 1.5년 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자녀 18개월 이내 부모 모두 6개월 이상 사용 시 육아휴직 급여가 최대 월 450만 원까지 지급됩니다.

지원 내용: 부모 모두 최대 1.5년 육아휴직, 6개월 이상 사용 시 최대 월 450만 원 지급


나. 부모급여

설명 : 부모급여는 자녀 양육을 위해 부모에게 지급되는 급여로, 자녀 0세에게는 월 100만 원, 1세에게는 월 50만 원이 지급됩니다.

지원대상 :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0~1세 아동('22년 이후 출생아 부터 지원)

지원 내용 : 육아휴직 신청 부모에게 월 100만 원, 1세에게는 월 50만원


다. 가정양육수당

설명: 기관 미이용 가정의 0~6세 아동에게 월 10만 원의 수당을 지급합니다.

지원 내용: 기관 미이용 시 월 10만 원 지급


라. 아동수당

설명: 아동수당은 0세부터 7세까지의 아동에게 월 10만 원씩 지급되는 수당입니다. 이는 모든 아동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지원 내용: 0~만8세미만 아동에게 월 10만 원 지급

마. 자녀장려금(CTC)

설명: 소득기준 부부 소득이 7천만 원 이하인 가구에게 18세 이하 자녀 1인당 100만 원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 내용: 소득 기준 부부소득 7천만 원 이하 가구, 18세 이하 자녀 1인당 100만 원 지원

바. 디딤씨앗통장: 취약계층 자산형성 지원

설명: 취약계층 아동의 사회 진출 시 초기비용 마련을 위한 적극적·장기적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 내용 : 대상 아동이 디딤씨앗통장에 적립하면 국가(지자체)가 1:2 매칭펀드로 월 10만 원 내에서 지원

사.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설명: 초등학교 6학년 이하 자녀를 둔 부모에게 최대 36개월까지 주 10시간 내에서 근로시간을 단축해주며, 단축 후 근로시간은 주 15~35시간으로 조정되고, 주 최소 10시간분의 통상임금 100%를 지원합니다.

지원 내용: 초 6학년까지 최대 36개월 근로시간 단축, 주 최소 10시간분 통상임금 100% 지원

아. 아이돌봄서비스

설명: 12세 이하 자녀를 둔 가정에 방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며, 다자녀 가구에는 본인부담금의 10%를 추가 지원합니다.

지원 내용: 12세 이하 자녀 가정 방문 돌봄 서비스, 다자녀 가구 본인부담금 10% 추가 지원

자. 가족돌봄휴가

설명: 연 10일의 무급 가족돌봄휴가를 제공합니다.

지원 내용: 연 10일 무급 가족돌봄휴가 제공

차. 2자녀 이상 가구 다자녀 특별공급 및 넓은 면적 우선 공급

설명: 2자녀 이상 가구를 대상으로 다자녀 특별공급 및 넓은 면적의 주택을 우선 공급합니다.

지원 내용: 2자녀 이상 가구 다자녀 특별공급 및 넓은 면적 우선 공급

카. 공공 분양: 임대 소득자산요건 완화

설명: 자녀 1인당 10%, 최대 20%까지 임대 소득자산요건을 완화합니다.

지원 내용: 자녀 1인당 10%, 최대 20% 임대 소득자산요건 완화

타. 다자녀 전기료 경감

설명: 다자녀 가구를 대상으로 전기료를 경감해주는 제도입니다. 여러 자녀를 양육하는 가구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전기요금을 할인해줍니다.

지원 내용: 다자녀 가구 대상 전기료 경감 혜택 제공

파. KTX 다자녀 행복

설명: 다자녀 가구를 대상으로 KTX 이용 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여러 자녀를 둔 가구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KTX 이용 요금을 할인해줍니다.

지원 내용: 다자녀 가구 대상 KTX 할인 혜택 제공

하. SRT 다자녀 가족 할인

설명: 다자녀 가구를 대상으로 SRT 이용 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여러 자녀를 둔 가구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SRT 이용 요금을 할인해줍니다.

지원 내용: 다자녀 가구 대상 SRT 할인 혜택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