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케이(K)-라이스벨트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념

한국 정부가 쌀 자급률을 향상시킨 경험을 바탕으로, 아프리카의 쌀 자급률을 높이고자 하는 사업[1]

  • 한국은 통일벼를 개발하여 농가에 보급한 경험 보유
  • 총 10개 회원국(2024년 1월 25일 현재): 카메룬, 가나, 기니, 케냐, 감비아, 세네갈, 우간다, 기니비사우, 시에라리온, 코트디부아르
    • 참고: 8개 회원국으로 시작하였으나, 2023년 10월 시에라리온과 코트디부아르가 각각 9번째, 10번째 회원국이 되었다.[2]

목표[3]

  • 2027년부터 해마다 벼 종자 1만톤 생산 → 농가 보급 후 벼 생산을 통해 약 3천만 명에게 안정적인 식량공급을 하고자 함

내용[4]

  • 벼 재배단지 확보 및 생산 인프라 조성
    • 회원국 협조를 통해 벼 종자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적합한 부지 확보 (예: 국유지)
    • 경지정리, 용배수로, 관개시설 및 경작로 등 생산 인프라 조성
  • 다수확 벼 종자 생산
    • 현지 벼 전문가 양성: 농촌진흥청의 벼 전문가를 파견하여 기술지도 수행
    • 농약이나 비료 등 투입재, 농기계 및 종자 저장시설 구축
  • 농가에 종자 보급
    • 회원국의 농업 제도와 규제 상황, 시장 유통체계/여건 조사 → 회원국별 보급체계 구축

2024년 케이(K)-라이스벨트 관련 농림축산식품부 정책 방향[5]

  • 2024년부터 쌀 원조 규모를 기존 5만 톤에서 10만 톤으로 증량
  • UN유엔 세계식량계획(WFP) 등 국제기구와 협력하여 새로운 원조 대상 국가 발굴 예정
  • 2024년 국제개발협력(ODA) 예산을 역대 최대인 1,857억원으로 2023년 1,125억원보다 65% 증액

참고문헌

K-라이스벨트 홈페이지. http://k-ricebelt.com

농림축산식품부. (2023a). 농식품부, 농진청 등 유관기관 합동으로 「케이(K)-라이스벨트 추진단(TF)」 발족. 2023년 8월 1일 농림축산식품부 국제협력관 국제협력총괄과 보도자료.

농림축산식품부. (2023b). 아프리카에 확산되는 케이(K)-라이스벨트, 한-시에라리온 식량안보 협력 모델 구축. 2023년 10월 17일 농림축산식품부 국제협력관 국제협력총괄과 보도자료.

농림축산식품부. (2023c). 케이(K)-라이스벨트 10번째 회원국이 된 코트디부아르, 한국과의 협력 적극 환영. 2023년 10월 19일 농림축산식품부 국제협력관 국제협력총괄과 보도자료.

농림축산식품부. (2023d). 아프리카에 쌀 자급 방법을 전수하는 케이(K)-라이스벨트, 한국 농업의 국제 위상을 한 단계 높이다. 2023년 12월 26일 농림축산식품부 국제협력관 국제협력총괄과 보도자료.

각주

  1. 농림축산식품부(2023d).
  2. 농림축산식품부(2023b, 2023c).
  3. 농림축산식품부(2023a).
  4. 농림축산식품부(2023a); K-라이스벨트 홈페이지.
  5. 농림축산식품부(2023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