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2016년에 전국적으로 시행된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는 양육수당, 아동수당 등 출산 후 수혜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한번의 신청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로 출산자(산모) 본인 또는 배우자가 온라인(정부 24) 또는 출생자 주소지의 읍, 면, 동 주민센터 방문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1] 통합신청을 통해 수혜 누락을 방지할 수 있고 적시 서비스 수혜가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2] 2019년 이전에는 소득, 재산 하위 90% 가구를 대상으로 아동수당이 지급되었기 때문에 아동수당은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와 별도로 신청해야 했으나 아동수당법이 개정되어 부모 소득과 무관하게 만 6세 미만 아동에게 지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행복출산 서비스를 통해 아동수당도 신청가능하게 되었다.[3]

통합신청 가능한 출산지원서비스[1]
구분 전국공통
공통지원서비스
  • 부모급여
  • 첫만남 이용권
  • 양육수당
  • 출산가구 전기료 경감
  • 아동수당
  • 다자녀 전기료 경감
  • 해산급여
  • 다자녀 도시가스료 경감
  • 여성장애인출산비용지원
  • 다자녀 지역난방비 경감
  • 저소득층기저귀·조제분유지원
  • KTX 다자녀 행복
  • SRT 다자녀 가족 할인
지자체 서비스

(지역별로 상이)

  • 시도 출산지원금
  • 시군구 출산지원금
  • 출산용품
  • 다자녀출산축하
  • 다자녀 가족사랑카드
  • 다자녀 차량용 스티커 발급
  • 유축기 대여
  • 산후모유 수유교실
  • 5-Touch 건강교실

지자체 서비스 예시

지자체 서비스 예시
지역 내용
영암군[2]
  • 신생아 양육비 지원금
  • 농어촌 출산양육 지원금
  • 출산용품 지급(첫째아 이상)
  • 다문화가정 출산용품 지급
창원시[4]
  • 출산축하금 지원
논산시[5]
  • 출산지원금
  • 산모사랑 꾸러미 지원
  • 유축기대여
하남시[6]
  • 장애인가정 출산지원금
  • 출산 장려금 신청
  • 경기도 산후조리비

관련 통계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7]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출생신고 건수 281,515 362,867 334,115 308,697 275,815 263,127 254,628
서비스 이용 건수 247,430 336,743 332,217 306,952 274,999 258,517 254,667
이용률(%) 87.9 92.8 99.4 99.4 99.7 98.3 100.0

참고문헌

  1. 1.0 1.1 정부24. https://www.gov.kr/portal/onestopSvc/happyBirth
  2. 2.0 2.1 영암군청. 행복출산원스톱서비스. https://www.yeongam.go.kr/home/www/civil_information/civil_information_02_02/civil_information_02_02_13/yeongam.go?content_print=true&
  3. 행정안전부. (2019.04.25). 아동수당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로 신청하세요. https://www.korea.kr/news/interviewView.do?newsId=148860369#interview
  4. 창원시청. 행복출산 원스톱 서비스. https://www.changwon.go.kr/cwportal/10309/10377/10378.web
  5. 논산시보건소.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운영. https://www.nonsan.go.kr/health/html/sub06/060108.html
  6. 하남시청. 행복출산 원스톱서비스. https://www.hanam.go.kr/www/contents.do?key=7066
  7. 행정안전 통계. https://data.mois.go.kr/mois/visual/stat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