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향토산업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향토산업의 개념과 의의

향토산업은 학문적으로 정립된 용어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지역의 자원과 문화를 기반으로 상품화 또는 산업화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을 의미한다. 유사한 용어로 지역산업, 지역특화산업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향토산업은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향토’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1]

향토산업의 유형

향토산업은 투입단계별, 산업유형별, 향토자원 유형별로 분류할 수 있다.

  • 투입단계별 유형: 1차 산업(농업, 어업, 임업), 2차 산업(제조업, 건설업), 3차 산업(서비스업)으로 구분
  • 산업유형별 유형: 전통식품, 공예품, 관광, 농특산물 가공, 문화산업 등
  • 향토자원 유형별 유형: 자연자원, 문화자원, 인적자원으로 구분

한국의 향토산업 육성 정책

한국 정부는 향토산업의 육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농림축산식품부: 농어촌지역의 유·무형 향토자원을 발굴하여 1·2·3차 산업이 연계된 복합산업으로 육성하는 향토산업육성사업을 추진
  • 산업통상자원부: 지역별 특성에 맞는 규제개혁을 추진함으로써 민간의 활력을 최대한 활용한 차별화된 특화사업을 발굴·발전하는 지역특화발전특구사업을 추진

향토산업의 의의 및 한계

향토산업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 지역경제 활성화: 향토산업은 지역의 특화된 자원을 활용하여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고, 지역 내 일자리와 소득을 창출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
  • 문화적 자원 보전: 향토산업은 지역의 문화적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 지역민의 삶의 질 향상: 향토산업은 지역민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해 지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향토산업은 지역의 특화된 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원 고갈이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로 인해 지속가능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 또한, 대규모 자본과 기술을 요구하는 산업이 아니기 때문에, 경쟁력이 취약할 수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연구동향

박성용& 윤칠석(2006)[2]은 향토산업의 성공전략에 관한 연구-안동? 영주지역을 사례로 연구한 바있다. 무역자유화로 인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고용창출이 중요해지면서 향토산업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안동․영주지역 향토산업의 성공사례를 분석한 결과, 제품의 우수성, 품질인증제도의 도입, 시장수요 파악 및 기회 선점, 성공확신, 판매전략 개발 등이 성공요인으로 나타났다. 향토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향토산업육성정책의 내실화, 추진주체의 역할강화, 클러스터화 및 네트워킹화, 독창적인 브랜드 개발, 지적재산권화 및 마케팅 전략 강화, 전통문화와의 연계 확대 등이 필요하다.

이관률(2010)[3]은 향토산업의 선정과정과 선정기준의 영향력 분석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를 사례로 연구하였다. 충청남도에서는 향토산업을 선정하기 위해 지역성과 전통성, 시장성, 추진의지, 파급성의 5가지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연구 결과, 지역성과 전통성이 향토산업 선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토산업은 대부분 지역적으로 특화된 1차 농산품을 중심으로 선정되고 있으며, 전문화전략, 연계화전략, 다각화전략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황만길(2011)[4]은 향토산업 육성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농축산물 시장개방과 농촌의 상대적 열악함으로 농촌인구는 급감하고 있으며, 농업의 쇠퇴와 농촌의 활력이 사라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역단위 농업의 발전전망 모색과 지역의 역량강화가 핵심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정갑& 임용택(2011)[5]은 향토산업 육성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고창군 복분자 천일염의향토산업화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지역 사업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주민의 소득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 연구는 지역 사업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지역 사업 육성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외부링크

각주

  1. NABIS 정책용어사전
  2. 박성용, & 윤칠석. (2006). 향토산업의 성공전략에 관한 연구-안동? 영주지역을 사례로. 지방행정연구, 20(2), 101-134.
  3. 이관률. (2010). 향토산업의 선정과정과 선정기준의 영향력 분석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를 사례로. 지방행정연구, 24(3), 33-56.
  4. 황만길. (2011). 향토산업 육성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지역과 농업, 6, 167-192.
  5. 이정갑, & 임용택. (2011). 향토산업 육성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고창군 복분자 천일염의향토산업화를 중심으로-, 한국도서연구. 한국도서 (섬) 학회. 한국도서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