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후천성면역결핍증(AIDS)관리정책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개요

정부는 전 국민을 에이즈의 감염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예방하기 위해 에이즈에 대한 정확한 지식 보급을 위한 홍보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감염취약계층에 대한 정기검진 등으로 조기 발견을 강화하며 발견된 감염인에 대한 상담 및 보호, 지원 등 건강관리 실시와 전파방지를 통하여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배경

(글로벌 정책방향) 유엔은 2030년까지 “HIV/AIDS 유행 종식” 선언(’16.6월 유엔총회 고위급회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투자확대 등 권고

* 신규감염 제로, 사망 제로, 차별·낙인 제로

(국내 정책환경) 국민의 건강 위협 및 전파 시 심각한 사회문제를 초래하는 후천성면역결핍증에 대한 국가 차원의 예방·관리 대책 요구

- 국내 HIV/AIDS 발생은 낮은 수준이나 새로운 치료제 개발로 생존 감염인 증가, 고령화 및 개방적 성문화 등으로 사회·경제적 비용 증가

* HIV 감염률(10만명 당) : ’16년 기준, OECD 평균 6.9, 한국 2.1(2위) 일본 1.1(1위) ** HIV 감염인 1인당 평균 의료비용이 연간 1천만원, ’18년 생존감염인 12,991명기준1,230억원 비용 발생(’10년 생존감염인 6,290명의 2배 수준)

기본방향

대국민 예방홍보활동 강화

  • 감염취약계층별 특성에 따른 홍보물 개발 및 홍보 강화
  •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홍보 강화
  • 각 지역별 특성에 따른 홍보 실시

집단별 예방교육활동 강화

  • 에이즈 관련 전문인력 양성교육 실시
  • 감염취약계층에 적합한 전문교육강화
  • 중·고등학생, 대학생, 비제도권 청소년, 노인 등 대상별 특성에 알맞은 예방교육 확대

감염인 발견

  • 감염취약계층에 대한 지속적인 검진을 실시하여 감염인 조기발견 및 전파예방
  • 검진 중요성에 대한 교육·홍보 강화로 자발적 검진 활성화
  • 정기검진대상자에 대한 검진주기를 준수하여 감염인 발견 및 전파예방
  • 발견된 감염인에 대해서는 결핵검사를 실시
  • 익명검사제도 활성화
  • 감염인·환자 신고 활성화

감염인 보호·지원

  • 감염인에 대한 역학조사 및 개인 비밀 보호 철저
  • 환자로 진전 시 환자전환보고 철저
  • 감염인 취약집단(노숙인, 구금시설 감염인) 지원
  • 감염인 지원센터, 감염인 쉼터 운영 연계
  • 에이즈 관련 진료비 지원
  • 감염인을 감염내과가 있는 의료기관에 연계
  • 의료기관감염인상담사업 운영

지역 관리체계 확립

  • 취약지역 에이즈 상담소 운영·지원
  • 지역별 공공·민간전문의료기관 활용권장
  • 보건소 담당자 교육 및 전문요원 양성

실험실 등 안전관리 강화

  • HIV 감염인 채혈검사 시 주사침 등에 의한 보건요원 사고 예방 강화
  • 실험연구자 등 실험·검사 시 발생되는 오염사고 예방

보건소 에이즈 담당자 교육

  • 지역사회 HIV/AIDS 예방 활동 및 감염인 지원·관리 역량 향상을 위하여 정기 교육 실시
  • 업무에 필요한 지식을 지속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교육 제공

기관별 업무

중양정부

질병관리청

에이즈관리과

  • 국가 에이즈 관리 정책 총괄
  •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법 등 법령 개정 및 제도 개선
  • 에이즈 관련 법인 등 관리
  • 국가 에이즈 관리사업 정책 개발 및 대책 수립과 시행
  • 국가 에이즈 관리사업 계획 수립 및 평가
  • 국가 에이즈 감시체계 구축 및 운영
  • 지자체 국가 에이즈 관리사업 지원, 관리, 평가
  • 전국단위 HIV 감염인 신고 현황, 역학적 특성 분석 및 정보 환류
  • 국가 에이즈 관련 교육·홍보 기획 및 추진

바이러스분석과

  • HIV 검사 기준 제시 및 실험실 정도 관리
  • HIV 확인검사 실시
  • HIV 병원체 감시 및 분석

지방정부

시·도

보건위생과, 보건정책과 등

  • 시·도 단위 에이즈 관리사업 계획 수립, 운영, 평가
  • 시·군·구 에이즈 관리사업 지원
  • 국가 에이즈 관리 시스템을 통한 HIV/AIDS 발견 등 보고

보건환경연구원

  • HIV 확인 검사 실시 및 결과 보고
  • 시·도 단위 HIV 실험실 정도 관리
시·군·구 보건소
  • 시·군·구 단위 에이즈 관리사업 계획 수립, 운영, 평가
  • 지역사회 HIV 감염 예방 및 편견 개선을 위한 교육·홍보 추진
  • HIV 선별검사 수행
  • 관할 지역 내 HIV/AIDS 발견(사망) 신고 접수ㆍ보고
  • HIV 감염인 역학조사 수행 및 결과보고
  • HIV 감염인 지원 및 관리(진료기관 연계 등)

선별검사기관(공공ㆍ민간의료기관 등)

  • HIV 선별검사 실시 및 확인검사 의뢰
  • HIV 감염인 발견(사망) 신고
  • HIV 진료 가능한 의료기관 연계
  • HIV 감염인과 배우자(성 접촉자) 대상 전파 방지 관련 사항 안내

현황

국내

신규 HIV/AIDS 신고 현황

2021년 한 해 975명이 신규로 신고되었으며, 내국인은 773명, 외국인은 202명임

  • 성별로는 남자 897명, 여자 78명으로 11.5:1의 성비를 나타냄
  • 내국인은 남자 742명, 여자 31명으로 남자가 96.0%이었고, 외국인은 남자 155명, 여자 47명으로 남자가 76.7%를 차지함
  • 연령 구성은 20대가 36.1%(35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30대 30.1%(293명), 40대 15.2%(148명) 순으로 20~40대가 전체의 81.3%를 차지함
  • 내국인은 20대가 37.0%(286명)로 가장 많았으며, 외국인은 30대가 38.1%(77명)로 가장 많았음
  • 신고한 기관은 병‧의원 73.0%(712명), 보건소 16.1%(157명), 기타 10.9%(106명) 이었음

2021년 신규 HIV/AIDS 신고 현황

(단위: 명)

2021년 신규 HIV/AIDS 신고 현황표 : 구분, 전체, 내국인, 외국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분 전체 내국인 외국인
975 773 202
성별 남자 897 742 155
여자 78 31 47
연령 0-4세 0 0 0
5-9세 0 0 0
10-14세 0 0 0
15-19세 17 16 1
20-24세 96 71 25
25-29세 256 215 41
30-34세 190 143 47
35-39세 103 73 30
40-44세 77 57 20
45-49세 71 49 22
50-54세 65 54 11
55-59세 47 44 3
60-64세 26 25 1
65-69세 15 14 1
70세 이상 12 12 0
신고기관 병·의원 712 555 157
보건소 157 129 28
기타 106 89 17

연도별 신규 HIV/AIDS 신고 현황, 1985‑2021

(단위: 명)

연도별 신규 HIV/AIDS 신고 현황표 : 연도에 따른 전체(계,남자,여자), 내국인(소계,남자,여자), 외국인(소계,남자,여자) 정보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도 전체 내국인 외국인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소계 남자 여자
1985 2 2 0 1 1 0 1 1 0
1986 3 0 3 3 0 3 0 0 0
1987 9 4 5 9 4 5 0 0 0
1988 23 18 5 22 17 5 1 1 0
1989 40 38 2 37 35 2 3 3 0
1990 54 50 4 52 48 4 2 2 0
1991 51 47 4 46 42 4 5 5 0
1992 92 84 8 81 77 4 11 7 4
1993 87 79 8 69 62 7 18 17 1
1994 99 87 12 89 78 11 10 9 1
1995 114 94 20 108 89 19 6 5 1
1996 112 101 11 104 93 11 8 8 0
1997 144 126 18 125 107 18 19 19 0
1998 137 118 19 129 111 18 8 7 1
1999 199 171 28 186 160 26 13 11 2
2000 244 211 33 219 194 25 25 17 8
2001 384 336 48 327 292 35 57 44 13
2002 457 402 55 397 363 34 60 39 21
2003 592 543 49 533 502 31 59 41 18
2004 763 672 91 610 557 53 153 115 38
2005 734 673 61 680 640 40 54 33 21
2006 796 717 79 749 687 62 47 30 17
2007 828 759 69 740 698 42 88 61 27
2008 900 814 86 797 743 54 103 71 32
2009 839 759 80 768 710 58 71 49 22
2010 837 762 75 773 723 50 64 39 25
2011 959 877 82 888 827 61 71 50 21
2012 953 864 89 868 808 60 85 56 29
2013 1,114 1,016 98 1,013 946 67 101 70 31
2014 1,191 1,100 91 1,081 1,016 65 110 84 26
2015 1,152 1,080 72 1,018 974 44 134 106 28
2016 1,197 1,103 94 1,060 1,000 60 137 103 34
2017 1,190 1,088 102 1,008 958 50 182 130 52
2018 1,206 1,100 106 989 945 44 217 155 62
2019 1,223 1,112 111 1,006 953 53 217 159 58
2020 1,016 935 81 818 790 28 198 145 53
2021 975 897 78 773 742 31 202 155 47

2021년 HIV/AIDS 내국인 현황

2021년 현재 HIV/AIDS 내국인은 15,196명으로, 성별로는 남자 93.6%(14,223명), 여자 6.4%(973명)임

2021년 현재 HIV/AIDS 내국인 성별, 연령별 현황

(단위: 명)

2021년 현재 HIV/AIDS 내국인 성별, 연령별 현황표 : 구분, 전체, 남자, 여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분 전체 남자 여자
15,196 14,223 973
성별 남자 897 742 155
여자 78 31 47
연령 0-4세 0 0 0
5-9세 0 0 0
10-14세 2 2 0
15-19세 27 23 4
20-24세 360 349 11
25-29세 1,650 1,619 31
30-34세 2,096 2,043 53
35-39세 1,676 1,586 90
40-44세 1,591 1,480 111
45-49세 1,878 1,767 111
50-54세 1,695 1,578 117
55-59세 1,587 1,486 101
60-64세 1,141 1,006 135
65-69세 742 650 92
70세 이상 751 634 117

* 1985년~2021년 발견 신고된 감염 내국인에서 사망으로 신고된 감염인을 제외하였고, 2021년 통계청 사망원인통계 (ʼ22.9월 발표)와 연계 시 변동될 수 있음

HIV/AIDS 관리지표

치료율

  • 정의 : HIV 감염을 진단받은 사람 중에서 항바이러스제 복용한 사람의 비율
  • 자료원: 의료기관 청구 내역(건강보험공단), HIV/AIDS 신고현황(질병관리청)
  • 산출식: 각 연도별 ‘HIV 상병으로 청구된 자 중에서 익년 6월까지 항바이러스제(Anti-retro viral therapy, ART) 처방 내역이 있는 진료’가 1건 이상인 감염인의 수/각 연도별 생존 감염인 수 * (제한점) 분모에는 익명신고 감염인 수 제외, 분자에는 익명신고 감염인 수 포함 * (제한점) 감염인의 생존 여부가 내국인에 한정되어, 진료 및 치료 인원에 대해서도 내국인을 대상으로 분석

바이러스 억제율

  • 정의: 항바이러스제 복용하는 사람 중에서 혈중 HIV 바이러스 양이 일정 수준이하로 억제되고 있는 사람의 비율
  • 산출식: ‘의료기관 감염인 상담사업’을 통해 등록된 RNA 값 중 기준년도 마지막 검사일자의 RNA 값이 1000 copies/㎖* 미만인 감염인 수/‘의료기관 감염인 상담사업’을 통해 기준년도 1회 이상 RNA 값이 등록된 감염인 수 * 근거: Consolidated guidelines on the use of antiretroviral drugs for treating and preventing HIV infection. WHO(2016)

산출결과

산출결과표 : 연도, 생존 감염인(명), 진료 실인원(명), 치료 실인원(명), 치료율(%), 바이러스 억제율(%)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연도 생존 감염인(명) 진료 실인원(명) 치료 실인원(명) 치료율(%) 바이러스 억제율(%)
2017 12,320 11,451 11,190 90.8 90.9
2018 12,991 12,338 12,129 93.4 93.0
2019 13,857 13,310 13,119 94.7 94.9
2020 14,538 13,934 13,766 94.7 96.9
2021 15,196 14,690 14,505 95.5 96.0

HIV 감염인 치료율 및 바이러스 억제율

(내국인 기준, 22.12.20)

  • 생존 감염인: 1985년 이후 각 연도별 신고된 HIV 감염인에서 사망으로 신고된 감염인 제외한 감염내국인
  • 진료 실인원: 각 연도별 HIV/AIDS로 진료받은 내국인 수
  • 치료 실인원: 각 연도별 HIV/AIDS로 진료받은 내국인 중에서 각 연도~익년 6월까지 항바이러스제(Anti-retro viral therapy, ART) 처방 내역이 있는 진료가 1건 이상인 사람의 치료 실인원
  • 치료율: 치료 실인원/생존 감염인
  • 바이러스 억제율: ‘의료기관 감염인 상담사업’을 통해 등록된 RNA 값 중 기준년도 마지막 검사일자의 RNA 값이 1000copies/㎖* 미만인 감염인 수/‘의료기관 감염인 상담사업’을 통해 기준년도 1회 이상 RNA 값이 등록된 감염인 수

국외

유엔에이즈(UNAIDS)

홈페이지 링크 www.unaids.org

유엔(UN)의 비전과 방향

UN은 2030년까지 〈HIV/AIDS 유행 종식(Ending the HIV/AIDS epidemic by 2030〉을 선언('16.6월 유엔총회 고위급회의) 하였고 이를 위하여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투자확대 등을 권고하였다.

비전

2030년까지 HIV/AIDS 유행 종식

  • 신규 감염 Zero(Zero new HIV infections)
  • 에이즈관련 사망 Zero(Zero AIDS-related deaths)
  • 차별 Zero(Zero discrimination)

정책방향

  • 지역특성에 맞는 대응방안 마련,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투자 확대
  • 감염자의 예방적 조치·치료에 대한 접근을 제약하는 징벌적 규정 철폐
  • 투명한 모니터링 체계 구축, HIV/AIDS에 관한 정보공유 강화
GETTING TO ZERO

UNAIDS는 'GETTING TO ZERO'라는 목표를 세워 신규 감염인 제로(Zero New Infections), 에이즈로 인한 사망 제로(Zero AIDS-related Deaths), 차별 제로(Zero Discrimination)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OECD 가입국 HIV/AIDS 발생 현황

(단위: 명)

OECD 가입국 HIV/AIDS 발생 현황표 : 구분, 2017년(HIV감염인, HIV감연인(10만), AIDS환자, AIDS환자(10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구분 2017년
HIV감염인 HIV감염인(10만) AIDS환자 AIDS환자(10만)
일본 1,389 1.1 413 0.3
슬로바키아 70 1.3 9 0.2
슬로베니아 39 1.9 7 0.3
한국 1,009 2.0 170 0.3
헝가리 223 2.3 52 0.5
체코 254 2.4 52 0.5
핀란드 158 2.9 18 0.3
오스트리아 270 3.1 56 0.6
터키 2,844 3.5 120 0.1
폴란드 1,325 3.5 101 0.3
호주 963 4.0 .. ..
노르웨이 213 4.1 14 0.3
뉴질랜드 197 4.1 11 0.2
덴마크 242 4.2 28 0.5
네덜란드 716 4.2 115 0.7
스웨덴 434 4.4 .. ..
이스라엘 405 4.9 27 0.3
스위스 443 5.2 51 0.6
이탈리아 3,443 5.7 690 1.1
그리스 628 5.8 112 1.0
캐나다 2,402 6.5 .. ..
영국 4,363 6.7 262 0.4
스페인 3,249 7.0 406 1.2
아이슬란드 24 7.2 - -
프랑스 5,211 7.8 392 0.6
벨기에 890 7.9 .. ..
리투아니아 263 9.1 54 1.9
아일랜드 483 10.2 16 0.3
룩셈부르크 59 10.2 6 1.0
포르투갈 1,068 10.3 234 2.3
멕시코 15,000 11.6 5,814 11.4
미국 38,281 11.8 17,803 5.4
에스토니아 219 16.6 20 1.5
라트비아 371 18.8 118 6.0
칠레 6,000 33.2 1,215 6.5

* 출처 : OECD.stat

진료기관

지역 번호 진료기관명 전화번호 소재지
서 울 1 강남세브란스병원 대표전화 1599-6114 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211
감염내과 02)2019-2330
사회사업팀 02)2019-2970~1
2 강북삼성병원 대표전화 02)200-200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29
감염내과 02)2001-1597
사회사업팀 02)2001-2886
3 강동 경희대병원

(구)동서신의학

대표전화 1577-5800 서울시 강동구 동남로 892
사회사업팀 02)440-7051
4 건국대 부속병원 대표전화 1588-1533 서울시 광진구 능동로 120-1
사회사업팀 02)2030-7090~1
5 경희의료원 대표전화 02)958-8114 서울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3
감염내과 02)958-8224~5
사회사업팀 02)958-9662~4
6 고대 구로병원 대표전화 02)2626-1114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로 148
감염내과 02)2626-1100
사회사업팀 02)2626-1327
7 고대 안암병원 대표전화 02)920-5114 서울시 성북구 인촌로 73
사회사업팀 02)920-5896
8 국립경찰병원 대표전화 02)3400-1680~3 서울시 송파구 송이로 123
감염내과 02)3400-1548
사회사업팀 02)3400-1355
9 국립중앙의료원 대표전화 02)2260-7114 서울시 중구 을지로 245
감염내과 02)2262-4741
10 삼성서울병원 대표전화 1599-3114 서울시 강남구 일원로 81
11 보라매병원(서울시립) 대표전화 02)870-2114 서울시 동작구 보라매로5길 20
사회사업팀 02)870-2004~6
12 상계백병원 대표전화 02)950-1114 서울시 노원구 동일로 1342
내과 02)950-1001~2
사회사업팀 02)950-1455
13 서울대병원 대표전화 02)2072-2114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101
내과 02)2072-2211
사회사업팀 02)2072-2161, 2790
14 서울백병원 대표전화 02)2270-0114 서울시 중구 마른내로 9
감염내과 02)2270-0001
15 서울보훈병원 대표전화 02)2225-1111 서울시 강동구 진황도로 61길53
감염내과 02)2225-1205
사회사업팀 02)2225-1644, 1862
16 서울 아산병원 대표전화 1688-7575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88
17 서울의료원 대표전화 02)2276-7000 서울시 중랑구 신내로 156
감염내과 02)2276-7801
18 신촌세브란스병원 대표전화 1599-1004 서울시 서대문구 연세로 50-1
감염내과 02)2228-5450~2
19 순천향대병원 대표전화 02)709-9114 서울시 용산구 대사관로 59번지
내과 02)709-9180~1
사회사업팀 02)709-9237
20 이대목동병원 대표전화 02)2650-5114 서울시 양천구 안양천로 1071
사회사업팀 02)2650-5260
21 중앙대병원 대표전화 02)6299-1114 서울시 동작구 흑석로 102
감염내과 02)6299-1455~6
사회사업팀 02)6299-1059~10
22 가톨릭의대 여의도 성모병원 대표전화 1661-7575 서울시 영등포구 63로 10
감염내과 02)3779-1194, 1260
사회사업팀 02)3779-2375
23 가톨릭의대 서울 성모병원 대표전화 1588-1511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22
24 한림대 강동성심병원 대표전화 02)2244-2114 서울시 강동구 성안로 150
감염내과 02)2244-2211
사회사업팀 02)2244-2441~2
25 한림대의료원 강남성심병원 대표전화 1577-5587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로 1
감염내과 02)829-5106
사회사업팀 02)829-5534, 5354
26 한양대병원 대표전화 02)2290-8114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감염내과 02)2290-8300~1
27 한일병원 대표전화 02)901-3114 서울시 도봉구 우이천로 308
감염내과 02)901-3095
인 천 28 길병원 대표전화 1577-2299 인천 남동구 남동대로 774번길21
사회사업팀 032)460-3531~2
29 부천순천향대병원 대표전화 032)621-6114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조마루로 170
감염내과 032)621-5206
사회사업팀 032)621-5129
30 인하대병원 대표전화 032)890-2114 인천시 중구 인항로 27
감염내과 032)890-2216
31 가톨릭의대 부천성모병원 대표전화 1577-0675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소사로 327
사회사업팀 032)340-2383~4
32 가톨릭의대 인천성모병원 대표전화 1544-9004 인천 부평구 동수로 56
사회사업팀 032)280-6213
경 기 33 국립암센터 대표전화 031)920-0114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일산로 323
34 고대 안산병원 대표전화 1577-7516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적금로 123
사회사업팀 031)412-5434
35 동국대병원 대표전화 1577-7000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27
감염내과 031)961-7102
사회사업팀 031)961-8360~1
36 명지병원 대표전화 031)810-5114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수로 14번길55
감염내과 031)810-6038
사회사업팀 031)810-5261~3
37 분당서울대병원 대표전화 1588-3369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173번길 82
사회사업팀 031)787-1131
38 분당차병원 대표전화 031)780-5000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59
감염내과 031)780-5209, 5210
사회사업팀 031)780-5137
39 분당제생병원 대표전화 031)779-0114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서현로 180번길
내과 031)779-0200~1
사회사업팀 031)779-0957~8
40 성빈센트병원 대표전화 1577-8588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중부대로 93
감염내과 031)249-7130
사회사업팀 031)249-7014, 7016, 7017
41 샘안양병원 대표전화 031)467-9114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덕로 9
감염내과 031)467-9131
사회사업팀 031)467-9258, 9261
42 일산병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대표전화 031)900-0114, 3114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1동 1232
감염내과 031)900-0520
43 일산백병원(인제대부속) 대표전화 031)910-7114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화로 170
내과 031)910-7200~2
44 아주대병원 대표전화 1688-6114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월드컵로 164
45 한림대(동탄) 성심병원 대표전화 031)8086-3000 경기도 화성시 큰재봉길 7
감염내과 031)8086-2385
사회사업팀 031)8086-2151~3
46 가톨릭의대 의정부 성모병원 대표전화 1544-7500 경기도 의정부시 천보로 271
사회사업팀 031)820-3469, 3470
47 한림대(안양) 성심병원 대표전화 031)380-1500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평로 170번길 22
감염내과 031)380-3720
사회사업팀 031)380-5995
강 원 48 연세의대 원주기독병원 대표전화 033)741-0114 강원도 원주시 일산로 20
내과 033)741-1205
사회사업팀 033)741-1705
대 전 48 건양대병원 대표전화 1577-3330 대전시 서구 관저동로 158
감염내과 042)600-9066
사회사업팀 042)600-9037
50 을지대학병원 대표전화 042)611-3000 대전시 서구 준산서로 96
51 충남대병원 대표전화 042)280-7114 대전시 중구 문화로 282
감염내과 042)280-7126
충 북 52 청주성모병원 대표전화 043)219-8000 충북 청주시 상당구 주성로 173-19번지
53 충북대병원 대표전화 043)219-8000 충북 청주시 흥덕구 1순환로 766
감염내과 062)220-3093
54 단국대병원 대표전화 1588-0063 충남 천안시 동남구 망향로 201
감염내과 041)550-6180
사회사업팀 041)550-6890~1
광 주 55 조선대병원 대표전화 062)220-3114 광주시 동구 필문대로 365
감염내과 062)220-3093
56 전남대병원 대표전화 1899-0000 광주시 동구 제봉로 42
감염내과 062)220-6162
전 북 57 전북대병원 대표전화 1577-7877 전북 전주시 덕진구 건지로 20
58 화순전남대병원 대표전화 1899-0000 전남 화순군 화순읍 서양로 322
사회사업팀 061)379-7347
대 구 59 경북대병원 대표전화 053)200-5114 대구시 중구 동덕로 130
감염내과 053)420-5540
60 계명대 동산병원 대표전화 053)250-7114, 7414 대구시 중구 달성로 56
감염내과 053)250-7282
61 대구 가톨릭대병원 대표전화 053)650-3000 대구시 남구 두류공원로 17길33
감염내과 053)650-4033
62 대구 파티마병원 대표전화 053)940-7144 대구시 동구 아양로 99
감염내과 053)940-7522
사회사업팀 053)940-7058
63 영남대병원 대표전화 053)623-8001 대구시 남구 현충로 170
감염내과 053)620-3145
사회사업팀 053)624-8003
부 산 64 고신대 복음병원 대표전화 051)990-6114 부산시 서구 감천로 262
감염내과 051)990-6109
65 부산백병원 대표전화 051)890-6114 부산시 진구 복지로 75
감염내과 051)890-6270
66 동아대병원 대표전화 051)240-2000 부산시 서구 대신공원로 26
감염내과 051)240-5680, 5047
사회사업팀 051)240-5840
67 부산대병원 대표전화 051)240-7000 부산시 서구 구덕로 179
감염내과 051)240-7674, 7494, 7480, 7474
울 산 68 울산대병원 대표전화 052)250-7000 울산시 동구 방어진 순환도로 877번지
감염내과 052)250-702(3)0
경 남 69 경상대병원 대표전화 055)750-8700 경남 진주시 강남로 79
사회사업팀 055)750-9101
70 양산부산대병원 대표전화 1577-7512 경남 양산시 물금읍 금오로 20
감염내과 055)360-1406
제 주 71 제주한라병원 대표전화 064)740-5000 제주도 제주시 도령로 66번지
감염내과 064)740-5007
72 제주대학교병원 대표전화 064)717-1114 제주도 제주시 아란13길 15(아라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