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정책 위키(Public Policy Wiki)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공공정책 위키 시작하기

BRT(간선급행버스체계)

Public Policy Wiki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BRT의 개념 및 특징

BRT(Bus Rapid Transit)는 기존 버스체계에 철도 운영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주요 기반시설과 운영시스템으로, 버스통행권, 교차로 신호우선처리, 쾌적한 차량, 편리한 환승시설, 효율적 관리시스템, 운영서비스 등을 갖추어 통행속도, 정시성, 수송능력 등 버스 서비스를 지하철 수준으로 대폭 향상시킨 저비용·고효율의 대중교통시스템이다. 도심과 외곽을 잇는 주요한 간선도로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여 급행버스로 운행한다. 이미 전 세계 45개의 도시에서 운행 중이며 지속해서 확대되는 추세이다.[1]

BRT의 구성요소

  • 전용차로(BRT전용차로/도로): 버스만이 이용할 수 있는 전용차로를 설치하여 다른 차량의 방해를 받지 않고 빠르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 교차로(입체시설, 램프/BRT우선신호): 교차로에서 버스가 우선권을 가질 수 있도록 입체교차로나 BRT 우선신호를 설치한다.
  • 차량(저공해차량, 수평승하차, 대량수송): 저공해차량을 사용하여 환경을 보호하고, 수평승하차를 통해 승객의 편의를 증진하며, 대량수송을 통해 많은 승객을 수송할 수 있도록 한다.
  • 환승시설(쾌적·안전한 정류장, 환승센터): 쾌적하고 안전한 정류장을 설치하여 승객의 편의를 증진하고, 환승센터를 설치하여 다른 대중교통과의 환승을 편리하게 한다.
  • BRT 운행 및 관리시스템
  • ITS를 통한 운행관리(실시간 운행정보 BMS/BIS): 실시간 운행정보를 제공하여 승객의 편의를 증진하고, 운행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 요금관리 시스템(사전지불, 거리기준 요금방식, 스마트카드 등): 다양한 요금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승객의 편의를 증진한다.

BRT의 종류

지역의 도로 및 교통여건, 기능 요구수준에 따라 신교통형 BRT와 일반형 BRT로 구분된다.

  • 신교통형 BRT는 전용도로 및 전용차량, 입체교차로 등의 시설을 구축함으로써 경전철에 준하는 교통서비스를 제공한다.
  • 일반형 BRT는 버스전용차로, 일반형버스, 버스 우선 신호 등의 시설을 구축함으로써 신속성과 정시성을 확보하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BRT

대한민국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인천광역시에서 BRT가 운영되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의 BRT는 2012년 12월에 개통되었다. 총 연장 24.2km의 2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 대전광역시의 BRT는 2015년 12월에 개통되었다. 총 연장 17.4km의 2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BRT는 2023년 6월에 개통되었다. 총 연장 21.6km의 1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

BRT는 기존 버스체계에 비해 통행속도, 정시성, 수송능력 등이 향상된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또한, 저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대도시의 교통난 해소와 대중교통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외부링크

각주